1. 사회복지에 대한 범위적 관점과 복지의 차원에 대한 설명이 올바르게 연결되지 못한 것은?
① 협의적 개념의 복지 방법이란 구체적인 복지정책 및 사업계획을 말한다.
② 협의적 개념의 복지 내용이란 생활수요의 최저한 또는 평균선 유지를 말한다.
③ 광의적 개념의 복지 내용이란 모든 생활 영역에서 그 수준의 향상을 말한다.
④ 광의적 개념의 복지 대상이란 모든 공공적인 정책 및 활동을 말한다. → 복지 방법
☞ 사회복지정책의 범위적 관점 : 사회복지 객체의 범위로서 수혜 대상자를 좁게 또는 넓게 잡느냐에 따라 협의적(소극적)ㆍ광의적(적극적)의 사회복지로 분류된다.
⑴ 협의적(소극적) 개념의 사회복지
① 협의적 개념의 사회복지는 사회적 약자의 구제ㆍ보호ㆍ갱생을 위해 예방ㆍ회복 등 원조를 하는 공공기관의 정책과 방법의 실천 활동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복지정책 및 사업계획 등 사회복지의 전문적 기술ㆍ서비스가 중시된다.
② 사회복지의 대상(수혜자)을 사회적 약자ㆍ낙오자ㆍ부적응자, 불우계층 등 국민의 일부로 한정한다.
⑵ 광의적(적극적) 개념의 사회복지
① 광의적 개념의 사회복지는 일반적인 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생활의 각 측면에서 나타나는 비복지(dis-welfare)를 다루거나 해결하려는 것으로 사회적ㆍ집합적 책임의 원리에 입각한 대(對)국민 봉사와 비슷한 관점이다.
② 광의적 개념의 사회복지는 복지 대상을 국민 전체로 보며, 최근의 사회복지는 광의적ㆍ확대적인 개념으로 수용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6강 사회복지 정책의제 및 대안 형성(24문항).hwp 7강 사회복지정책의 결정, 집행, 평가(27문항).hwp 8강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및 경제적 효과(26문항).hwp 9강 사회복지정책의 설계 - 할당, 급여(23문항).hwp 10강 사회적 위험과 사회보장(34문항).hwp 11강 빈곤과 사회보장(20문항).hwp 12강 사회보험과 사회보장(17문항).hwp 13강 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보장(20문항).hwp 14강 한국 사회와 사회보장(24문항).hwp 15강 사회복지정책과 실천(21문항).hwp 사회복지정책론 369 종합문제(암기용).hwp 1강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및 영역(23문항).hwp 2강 사회복지정책의 가치(23문항).hwp 3강 사회복지정책의 이론(19문항).hwp 4강 복지국가의 이념, 역사, 위기(38문항).hwp 5강 복지국가의 유형과 가족(30문항).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