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2016년 4학년 1. 모내기철 가뭄을 극복하는 기술적인 방도의 특징은? ① 물이 솟거나 고이는 지형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한다. ② 오랜 시간 공을 들여 일하는 노동문화가 발달하였다. ③ 논에 볍씨를 직접 뿌리는 직파 방식의 농사를 활용했다. ④ 여성 중심적인 ‘홀앗이’가 발달했다. 2. 밭에서 재배작물을 다양화하는 방식 중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보통 근경법(根耕法)이라고 부르며, 전년 늦가을이나 간혹 당년 초봄에 파종한 보리나 밀 등 앞그루 작물을 양력 6월 중순에 수확하고, 이어서 바로 밭을 갈아 조, 콩, 팥 등 뒷그루 작물을 파종한다. ① 윤작(輪作) ② 혼작(混作) ③ 간작(間作) ④ 대우법(代耰法) 2016년 3학년 36. 모내기철 가뭄을 극복하는 기술적인 방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물이 솟거나 고이는 지형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한다. ② 단시간에 힘을 들여 일하는 노동문화가 발달하였다. ③ ‘건모를 붓는다’고 표현하는 건앙법(乾秧法)이 발달하였다. ④ 여성 중심적인 ‘홀앗이’가 발달하였다. 37. 밭에서 재배작물을 다양화하는 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타조법(打租法) ② 대우법(代耰法) ③ 혼작(混作) ④ 간종(間種) 38. 두레 공동노동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두 사람이 서로 1:1로 맞바꿔 일을 해 주는 것이다. ② ‘홀앗이’, ‘호락질’이라고 불렀다. ③ 일반 임금노동의 품삯보다 저렴하다. ④ 일고(日雇), 월고(月雇), 연고(年雇), 고지(雇只) 등이 있다. 정답 1 2 36 37 38 ① ① ④ ① ③ 제 2장 2016년 4학년 3. 남해안 지형에 적합하게 발전된 것으로 어로(魚路)를 따라 방죽을 세우고 나뭇가지로 주위를 두르는 어구는? ① 낫대 ② 방렴(防簾) ③ 주복 ④ 호망(壺網) 4. 조선 후기 동해의 대표적인 어선어업은? ① 갯문어 ② 홍합 ③ 명태 ④ 우뭇가사리 2016년 3학년 39. 다음 중 서해의 자연환경과 어업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가. 조간대(潮間帶)에 설치하는 ‘어전(魚箭)’이 발달했다. 나. 조석간만의 차가 세계적으로 큰 곳 중 하나이다. 다. 중소형 어선인 ‘떼배’가 나타난다. 라. 수심이 깊고 섬이 적다.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40. ‘통구민배’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상남도 지방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중소형 어선이다. ② 숙식이 편리해 장기 선상 생활이 가능했다. ③ 복원력이 뛰어나 다양한 어업에 전천후로 사용되었다. ④ 미역 채취 전용 어구였다. 41. 조선 후기 동해의 대표적인 어선어업은? ① 갯문어 ② 청어 ③ 홍합 ④ 김 정답 3 4 39 40 41 ② ③ ① ④ ②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