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 시험 보고왔어요
저는 기출 도움 안됐어요ㅠ 계속 기출 붙잡고 있는 시간이 아까웠네요.
그냥 풀었을때 백점 나왔다 싶으면 그만풀고, 차라리 책을 보는게 낫겠어요
(제가 시험볼때 넘 피곤해가지고 자세히 못올려 죄송하네요...ㅜㅜ)
답이 딱 떨어지는 유형이 아니라
글자 하나에 답이 틀리는 말장난 같은 문제가 몇개 있었어요.
연도 문제는
안나온다는 후기 보고 막판에 안보고 들어갔는데
이건 몇년도인가? 하고 대놓고 나오는건 아닌데
꼭 문제 보기4번에ㅡㅡ
우리나라는 2000년에 비준했다. 00년에 시행했다. 00도에 가입했다
이런식으로 보기가 나오다 보니
몇년 제정했고 몇년도에 시행했고 <이렇게 자세히까진 아니더라도
그래도 대충 눈에 익혀두고 가야될거 같아요.
ㅇㅇㅇ대통령 정부 시절에 무슨 법이 생겼나?
이 문제는 나왔던거 같아요
대통령하고 연결지어서 외우고 가심 도움 될거 같아요
이상 허접한 후기 였어요 저 책 3번읽고 갔는데 벌써 확실히 틀린것이..........흑흑.......ㅠ
노력한 만큼 안나와서 오늘은 쫌 속상 하네요
ㅠㅠ
얼른 자고.. 상쾌한 정신으로 내일 또 힘내야 겠어요.
마지막 까지 화이팅 하세요~~
#법제 #시험 #기출
저는 오늘 법제, 행정론, 실천기술론 3개 봤어요.
-개인적인 난이도 순서
행정론- 기출에서 다 나옴. < 실천기술론 < 법제 (공부를 제대로안해서그런가.. 혼동되는게 좀 있어요~)
행정론은 진짜 기출에서 90~100%이상 나온듯해요. 저는 15~19년 기출문제 봤어요.
법제는 기출에서 나오진 않고 워크북 응용 문제 3-6문제 정도나온듯 해요.
( 년도문제는 안 나왔고 정권 시기별로 나오긴 했지만. 년도별 정권을 알고 외우신분들은 크게 어려움이 없으실듯해요.)
사실 시기 관련 문제는 1문제 정도 나왔어요.
실천 기술론은 제도적, 잔여적 구분만 하면 문제에 답이 있는경우가 더 많긴 했습니다.
일부 이론적인 문제도 5-6문제 있긴합니다.
기억에 남는 것은 저는 틀렸는지..비판이론 에 대한게 많이 기억에 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