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 게시판

조회 수 18292 추천 수 4 댓글 5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거' 이야기, 토인비 홀

 

  1880년대 영국 런던. 세상의 부가 모두 모인 듯한 화려한 도시였지만, 그 속에는 두 개의 다른 세계가 있었습니다. 웨스트엔드의 귀족들이 파티를 즐기는 동안, 이스트엔드의 노동자들은 연기 자욱한 공장과 비좁은 집에서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텨냈습니다. 찰스 디킨스의 소설보다 더 지독한 현실이었죠. 당시 명문대인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의 학생들은 가끔 빈민가에 와서 빵을 나눠주거나 돈을 적선했습니다. 그것이 그들이 아는 '선행'의 전부였습니다.

  그때, 런던 동부의 가난한 교구에서 일하던 한 목사가 기발하고도 당돌한 생각을 합니다. 그의 이름은 사무엘 바네트. 그는 생각했습니다. "진정으로 그들을 돕고 싶다면, 돈을 던져줄 게 아니라 아예 이사를 와서 '이웃'이 되어야 하는 것 아닐까?"

  '멀리서 동정하지 말고, 곁에서 함께 살자.'

  이것이 바로 세상을 바꾼 아이디어의 시작이었습니다. 바네트 목사는 1884년, 런던에서 가장 가난한 동네 한복판에 낡은 저택을 빌려, 대학생들이 이사와 빈민들과 함께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집에 한 젊은 학자의 이름을 붙입니다. 바로 아놀드 토인비.

  아놀드 토인비는 노동 문제 해결에 뜨거운 열정을 가졌던 옥스퍼드의 천재 경제사학자였습니다. 그는 계급의 벽을 허물고 싶어 했지만, 안타깝게도 서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죠. 바네트 목사는 그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해, 그가 꿈꾸던 세상을 실현할 이 집의 이름을 '토인비 홀(Toynbee Hall)'이라 지었습니다. 청년의 꿈이 서린 집, 그렇게 인류 최초의 인보관(Settlement House)은 문을 열었습니다.

  토인비 홀에 입주한 명문대 학생들은 주민들에게 글을 가르치고, 법률 상담을 해주었으며, 함께 미술을 감상하고 연극을 올렸습니다. 하지만 놀라운 일은 그 반대편에서도 일어났습니다. 학생들은 책에서만 보던 빈곤이 얼마나 끔찍한 현실인지 피부로 깨달았고, 노동 문제의 진짜 원인을 현장에서 배우게 된 것입니다.

  '가르치러 갔다가 오히려 배우고 돌아온다.' 토인비 홀은 일방적인 '자선'이 아닌, 서로의 삶을 배우는 '쌍방향 연대'의 공간이었습니다. 이곳에서 생활했던 젊은이들은 훗날 영국의 총리(클레멘트 애틀리)가 되고, 사회 개혁가가 되어 최저임금제, 실업보험 등 수많은 복지 정책의 초석을 놓게 됩니다.

  이 이야기는 바다를 건너 미국 시카고의 한 여성에게도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제인 애덤스. 토인비 홀을 방문한 그녀는 미국으로 돌아가 그 유명한 '헐 하우스(Hull House)'를 세우게 됩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 역시 보이지 않는 벽으로 나뉘어 있진 않나요? 토인비 홀의 이야기는 14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우리에게 묻고 있습니다. 진정한 이해와 변화는 멀리서 보내는 동정이 아니라, 곁을 내어주는 따뜻한 연대에서 시작된다고 말입니다.

  • ?
    보따바Best 2025.10.05 15:59

    사회복지 공부를 하면서 인보의집 운동은 저의 활동에 대해 송두리째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물론 중간에 다른 계기도 있었지만요. 아주 중요한 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빈민가나 또는 해외에 빵이나 돈을 적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그들의 삶에 더 가까이 다가가 그들과 공감대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화를 하고 한 번 더 얼굴을 마추치고 인사라도 꾸준히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그들도 그 마음을 가져도 될 수 있음을 알기 때문이지요. 

     

    앤더스 에릭슨은 1만시간의 투자를 하면 충분한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인보관 운동을 하였던 사람들도 아마 이 법칙에 따랐던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COS운동을 탐탁치 않게 보는 것은 그들의 관심은 길지 않았고, 그 시간을 돈으로 채웠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 ?
    다람쥐소녀 2025.10.05 11:41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보따바 2025.10.05 15:59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찰스배 2025.10.06 00:2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AYM 2025.10.06 09:38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사용자ID 2025.10.08 13:46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 게시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방송대 커뮤니티 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8271 0 2022.12.24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커뮤니티 홍보하고 포인트 적립하자! 73 게시판관리 3680 0 2023.09.20
공지 🎖 활동 메달 안내 및 기준 15 게시판관리 704 26 2025.07.30
공지 📢 스팸 방지 시스템 강화 안내 (자동 블라인드 + 신규 가입절차 강화) 3 update 게시판관리 2347 7 2025.10.26
6069 정보 사회복지정책론 기출문제 모음 4 newfile silsky 142 4 2025.10.29
6068 일반 실습후 실습보고서 제본관련 문의드립니다. 1 new 쏠리쥐 201 0 2025.10.29
6067 질문 기말고사 시험과목 어떻게 나누면 좋을까요 1 new 여름녀름 226 0 2025.10.29
6066 질문 방금 실습할곳 갔다왔는데요 2 new tututu 279 1 2025.10.29
6065 질문 주말실습처 다들 구하셨나요? 2 new 혤혤 275 1 2025.10.29
6064 질문 시험 절차와 신청은 어떻게 되나요? 6 new 열정핑 261 1 2025.10.29
6063 질문 혹시 Ym** 실습하시분 계실까요? new 쪼아f 273 1 2025.10.29
6062 일반 시험범위 6 new 공마음 329 3 2025.10.29
6061 정보 사례관리론 강의 노트 (1-10강) (강의노트 & 문제 & 정답 & 해설) 3 newfile 찰스배 328 2 2025.10.29
6060 질문 사회복지학과 복수전공 추천 9 new 오정우 412 1 2025.10.29
6059 일반 실습기관 등록여부 여기서 확인해 보시고 신청하셔야 합니다 ~~ 2 newfile 도리도치 383 2 2025.10.29
6058 공통 기말시험을 회차별로 구분해 봤는데 괜찮을까요...... new 동네형 451 3 2025.10.29
6057 질문 기말시험 회차나누기 커피짱 662 2 2025.10.29
6056 실습 실습 리스트에 있는 강남구/송파구 기관들의 문제점 5 Billy 971 3 2025.10.28
6055 질문 기말시험 쪼개기 5 file AYM 1051 4 2025.10.28
6054 일반 복수전공신청이 올라왔네요 3 공마음 946 1 2025.10.28
6053 정보 26_1학기 장애인복지론 교재 개편, 빈곤론 교재 신설 1 file comet 1051 5 2025.10.28
6052 정보 [세부시간표] 강릉학습관 지사복 출석수업 comet 987 1 2025.10.28
6051 일반 노인복지론 1~11강 개요, 주요용어 및 연습문제 10 file 오리온맥주요 1107 3 2025.10.28
6050 실습 실습 문의 드립니다. 3 mainman 1199 2 2025.10.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4 Next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