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과 건강 : 출제 예측(2018 신 교재 김동우-곽호경-김선아-김승민 저)
1. 본 과목은 영양전공을 크게 영양교육/판정(김동우교수), 영양/건강(곽호경교수), 조리/마케팅(김선아교수),
식품가공/위생/급식(김승민교수)부분 해서 총 네 분야를 담당하시는 교수별로 나뉘어 편집된 기초과목입니다.
2. 따라서 시험 출제문항 수도 네 분의 교수님께 고르게 분배되어 동일한 비율로 출제될 것으로 보이며,
시험지 배열도 담당교수 별로 묶어져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1) 대체시험 : 각 장별 5문제씩
2) 기말고사 : 4~6장(김동우교수) 9~10문제(#36~44번), 2~3&8장(곽호경교수) 9~10문제(#45~54번),
9&11장(김선아교수) 6~7문제(#55~61번), 12~14장(김승민교수) 9~10문제(#62~70번)
3. 본 과목은 2018년 전면 개편된 과목으로 기출문제에 안 나오는 분야가 있으므로
강의/교재/워크북 연습문제를 중점적으로 학습하시길 권합니다. : 경험적으로 출제확률이 높을 것으로 봄.
4. 신규로 개설된 부분은 기출문제가 없어 상위 과목이나 유사과목의 문제를 추가했습니다.
5. 동계 계절 학기를 준비하시는 학우님은 새로운 개념 도입과 내용 추가로 인하여 구 교재는 사용이 불가능한
수준임을 유념하시고, 기출문제만으로는 부족하므로 본 자료로 대비 하세요~
6. 첨부 내용
1) 정리본 : 강의록 위주로 요약 정리, 12~14장은 기출이 없어 요약이 불가함
2) 문제본 : 강의/교재/워크북 연습문제 + 기출문제 + 유사과목 문제 → 시간 부족 시 본 자료라도 탐독!!
3) 통합본 : 계절용으로 전체를 합친 것(기말 대비자는 불필요함)
|
담당교수 배당문항수 |
강의주제 |
세부내용 |
예측 |
구 교재와 비교 |
대체
15問 |
김동우 |
1.1 식생활과 건강의 관계 1.2 한국인의 건강상태 1.3 한국인의 식생활과 변화 1.4 영양관련 지식의 발전과정 |
5 |
1장과 유사 |
|
곽호경 |
제7장. 비만과 생활습관병 |
7.1 비 만 7.2 당뇨병 7.3 고혈압 7.4 동맥경화 |
5(6) |
4장과 유사 |
|
김선아 |
제10장. 건전한 식품소비 |
10.1 식품과 위해성 10.2 식품위해 커뮤니케이션 10.3 식품표시제와 정부인증마크 |
5(4) |
8장과 유사 |
|
기말
35問 |
김동우 9問 영양교육 /판정 #36~44 |
제4장. 건강한 식생활 |
4.1 건강을 위한 식생활 원칙 4.2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4.3 식사 구성안 4.4 식생활 지침 |
3 |
NEW |
제5장. 식생활 평가 |
5.1 식생활평가의 이유 및 활용 5.2 식생활평가를 위한 조사방법 5.3 식생활평가의 실제 5.4 국민건강영양조사 |
2 |
NEW |
||
제6장. 음주, 카페인, 흡연과 건강 |
6.1 음주와 건강 6.2 카페인과 건강 6.3 흡연과 건강 |
4 |
5장과 유사 |
||
곽호경 10問 영양/건강 #45~54 |
제2장. 영양소의 이해 |
2.1 수분 2.2 탄수화물 2.3 지질 2.4 단백질 2.5 무기질 2.6 비타민 |
3 |
2장과 유사 |
|
제3장. 식물성 식품과 건강 |
3.1 식물성식품의 영양성분 3.2 식물성식품의 질병예방 |
3 |
10장과 유사 |
||
제8장. 암과 영양 |
8.1 암의 특성 및 원인 8.2 암의 종류와 예방법 |
4 |
6장과 유사 |
||
김선아 7問 조리/ 마케팅 #55~61 |
제9장. 식품의 조리 |
9.1 식품조리의 이해 9.2 식품 구성성분의 이해 9.3 조리반응의 이해 9.4 식품조리와 맛 |
4 |
7장과 유사 |
|
제11장. 기능성식품 과 건강 |
11.1 기능성 식품 11.2 건강기능 식품 11.3 건강기능식품의 소비 |
3 |
9장과 유사 |
||
김승민 9問 식품가공/위생/급식 #62~70 |
제12장. 식중독 |
12.1 식품위생 12.2 식품 중 위해요인 12.3 식중독 12.4 식중독의 예방과 관리 |
4 |
NEW |
|
제13장. 식품가공 및 저장의 이해 |
13.1 식품 가공 및 저장의 개념 13.2 필요성과 이점 13.3 역사와 미래 13.4 가공 및 저장 방법 |
2 |
NEW |
||
제14장. 단체급식의 이해 |
14.1 단체급식의 개념 14.2 단체급식 대상별 유형 14.3 단체급식 관리의 직무 |
3 |
NEW |
출석수업대체시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