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고철님의 글을 보면서 유노캠퍼스에 슬쩍 한번 살펴봤거든요.
저도 용어정리 파일만 봤지 실제 내용을 보진 않았던터라...
막상 보니 일반상식으로는 모르는 내용들이 많네요;;;;
그래서 일단 가져 와봤습니다.
시작하기전에 대충 한번 읽어보셔요.
다른 과목들은 대부분이 4~7강에 중요한 내용이 집중되어 있던데
조사론은 지난 강의 목차를 살펴보니 뒤로 갈수록 제목들이 어렵네요.
그래도 해야만 하는 과목이니 다들 힘내서 으쌰으쌰 화이팅입니다!!!
사회복지사 1급 국가자격시험의 1교시 '사회복지조사론' 과목 기출문제를 대충 봤는데,
말씀하신 고등학교 수학의 정규분포를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가 1문제 정도 출제됐더라고요. ^^
물론, 계산 문제는 아니고요. 계산 문제는 전혀 출제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매년 출제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에서 선택지 보기가 다음과 같더라고요.
신뢰수준을 높이면 표집오차도 증가한다. (O)
표본 크기가 커지면 표집오차는 감소한다. (O)
이것을 이해하려면, 고등학교 수학의 정규분포를 알아야 하죠.
하지만, 유튜브에서 1급 기출문제 해설 동영상 어디에도 이것을 언급하지 않더라고요.
왜냐하면, "이것도 알아야 해?" 라는 질문이 반드시 나오기 때문이죠.
이 1문제를 맞추기 위해서 말이에요.
아, 물론 저는 '1급 대비 기본 이론서' 를 보지 않았기에, '기본 이론서' 에서는 어떻게 설명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차라리, 이 1문제를 포기하고,
기존에 많이 출제되었던 문제들을 더 잘 맞추기 위해 공부하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 드는 거죠.
그럼, 지금 수험생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표집오차 (표본오차. 신뢰구간) d = ± z * (σ / √ n)
(z : 신뢰계수, σ (시그마) : 표준편차, n : 표본 크기) 이고,
90% 신뢰수준에서 표집오차 (표본오차. 신뢰구간) d = ± 1.645 * (σ / √ n) (신뢰계수 z = 1.645),
95% 신뢰수준에서 표집오차 (표본오차. 신뢰구간) d = ± 1.96 * (σ / √ n) (신뢰계수 z = 1.96),
99% 신뢰수준에서 표집오차 (표본오차. 신뢰구간) d = ± 2.58 * (σ / √ n) (신뢰계수 z = 2.58)
이죠.
따라서, (표본 크기 n 이 같을 때) 90% → 95% → 99% 로 신뢰수준을 높이면, 표집오차는 증가한다.
그리고 신뢰구간은 넓어지고, 정확도는 낮아진다.
(신뢰수준을 높이면 표집오차 (표본오차. 신뢰구간) 가 감소할 것 같은데, 사실은 증가하죠.
완전 사기 같은 이야기이죠. ^^)
또한, 표본 크기 n 이 분수 아래쪽에 있기에,
(신뢰수준이 같을 때) 표본 크기가 커지면, 표집오차 (표본오차. 신뢰구간) 는 감소한다.
그리고 신뢰구간은 좁아지고, 정확도는 높아진다.
아무도 이렇게 설명을 안 하죠.
그럼, 왜 95% 신뢰수준에서 신뢰계수 z = 1.96 인가 하면,
고등학교 수학 '확률과 통계' 부분에서 배웠던 '표준정규분포표' 를 언급해야 하죠.
그 외에도 1급 시험에서는 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과목에서 배우지 않았던 내용들도 아주 조금 출제되는 것 같네요.
찾아보니,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이라는 법정선택과목에서 언급되는 내용들이네요.
이건 진짜 확률, 통계 내용인 것 같네요. SPSS 통계 프로그램도 사용하는 것 같고요. 실제로 계산도 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러나, 이 과목을 방송대 사회복지학과에서 개설해도 아마 수강하는 학우들은 적을 것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