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 2021.05.13 04:10
교육의 이해 장별문제
조회 수 1094 추천 수 1 댓글 14

1장,교육의개념, 목적및형태--정답.hwp

2장,교육과 교육학--정답.hwp ​​​​​​​

제 3장,교육의 역사적 기초--정답.hwp

​​​​​​​제 4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정답.hwp ​​​​​​​

제 5장,교육의 심리학적 기초--정답.hwp ​​​​​​​

제 6장 교육의 사회학적 기초-정답.hwp

​​​​​​​제 7장 교육의 과정과 실제-정답.hwp ​​​​​​​

제 8장 교육조직과 제도의 운영-정답.hwp

 

 

<교육의 이해>---->정답

1장. 교육의 개념, 목적 및 형태

 

1.인간의 특성을 교육과 관련하여 규정할 때 가장 적합한 것은?   3  [2010-동계]  p4

   ① 정치적인 존재       ② 유희적 존재     ③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      ④ 경제적 존재

 

2. 교육적 관점에서 인간의 특성을 규정한 것은?  4  [2014-대체]  p4

   ① 언어적 존재      ② 사회적인 존재     ③ 종교적인 존재       ④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

 

3. 인간을 ‘교육적 존재’로 규정하는 이유로서 타당한 것은?   4   [2010-기말]   p4

   ① 인간은 사회 속에서 태어나서 성장한다.

   ②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출생시 매우 나약하다.

   ③ 인간은 자연에 의해 선천적으로 선한 존재로 태어난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특성을 배우고 습득한다.

 

4.‘교육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말하는 것은?  4  [2012-대체, 2013-기말, 2015기말]  p5

   ① Homo Ludens  ② Homo Sapiens   ③ Homo Erectus      ④ Homo Educatus

 

5. 인간의 특성을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로 규정하는 관점은? 1 [2011-대체,2013-대체] p4-5

 ① 교육적 관점      ② 종교적 관점      ③ 사회적 관점      ④ 정치적 관점

     

6. 인간을 ‘교육적 존재’로 규정하는 이유로서 타당한 것은?  3  [2012-대체] p5

 ① 교육은 인가의 성장을 추구하는 활동이다.

 ②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출생시 매우 나약하다.

 ③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특성을 배우고 습득한다.

 ④ 인간의 삶에 있어서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다.

 

7.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의 짝은?   4   [2013-대체]  p6

“사회가 제시하는 기전의 문화나 가치체계를 개인이 (   )하는 과정을 통해서 수용하고 그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   )라 한다”

➀ 이론화- 인간화      ➁ 합리화- 성숙화         ➂ 추상화-실체화         ➃ 내면화-사회화

 

8. 교육을 일컬어 ‘사회의 거울’이라 하는 까닭은?  3 [2015 기말] p6

①교육은 정치적으로 가치중립적인 활동이기 때문   ➁모든 사회에 있어 교육의 목적이 동일하기 때문

➂교육은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하여 결정되기 때문  ➃ 교육은 인간의 삶에 있어 필수적인 조건이기 때문

 

9.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0-동계, 2012-대체] p7

 ①[인간사회]: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교육인간]:교육은 인간을 형성하다.

 ③[사회교육]:사회는 교육의 결과에 따라 변화한다.

 ④[인간교육]: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 성장한다.

 

 

10.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2-기말] p7

 ①[인간교육]:인간은 교육적 존재이다.

 ②[교육인간]:교육은 인간만이 할 수 있다.

 ③[인간사회]: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④[교육사회]:교육은 사회를 유지.발전시킨다.

 

11.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3-대체]] p7

 ➀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➁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➂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에 의해 발전한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만물의 영장이 된다.

 

12.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2014-기말] p7

 
 ➀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➁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➂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에 의해 발전한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만물의 영장이 된다.

 

13.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2015-기말] p7

 ➀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을 결정한다

 ➁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의 삶을 제한한다

 ➂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 성장한다

 

14. 인간, 사회, 교육의 관계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1-기말]   p5-7

 ①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교육은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15. 인간, 사회, 교육의 관계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4-대체]   p5-7

  ①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인간, 사회, 교육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16.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2011-기말,2013-대체]   p8

 ① 뒤르켕(Durkheim) : 사회화의 과정

 ② 플라톤(Platon) :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 과정

 ③ 매슬로우(A. Maslow) :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 과정

 ④ 듀이(J. Dewey) : 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안내하는 과정

 

17.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4 [2010-기말] p8

 ① 듀이(J. Dewey):사회화의 과정

 ② 매슬로우(A. Maslow):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③ 스키너(B. F. Skinnner):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18.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3   [2014-기말]   p8

 ① 플라톤(Platon):사회화의 과정

 ② 듀이(J. Dewey):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 과정

 ③ 매슬로우(A. Maslow):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뒤르켕(Durkheim):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19.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3  [2012-대체]   p8

 ① 플라톤(Platon):사회화의 과정

 ② 듀이(J. Dewey):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③ 메슬로우(A.Maslow):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뒤르켕(Durkheim):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0.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2012-기말]   p8

 ①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② 듀이(J.Dewey):인간행동의 게획적인 변화 활동

 ③ 매슬로우(A.Maslow):사회화의 과정

 ④ 스키너(B.F. Skinner):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21.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2  [2013-기말]  p8

 ➀ 플라톤(Platon):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➁ 듀이(J. Dewey):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➂ 스키너(B.F. Skinner):문명된 삶의 형식으로의 입문식

 
 ➃ 피터스(R.S.Peters):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2.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4  [2014-대체]  p8

 ➀ 뒤르켕(E. Durkheim):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➁ 매슬로우(A.Maslow):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➂ 스키너(B.F. Skinner):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➃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3. 다음 중 타당하지 않은 진술은?   4   [2011-대체]  p8-13

 ① 교육은 인간형성의 과정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인간, 사회, 교육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④ 교육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다.

 

 

24. 피터스(Peters)가 제시한 교육의 개념적 요소로 맞게 설명된 것은?   2   [2015-대체]  p8

 ① 규범적 요수 : 교육은 학습자의 인간적 존엄성과 권리존중

 ② 인지적 요소 : 교육은 지식과 이해, 지적 안목의 형성 추구

 ③과정적 요소 : 교육은 가치로운 것의 전달을 내포

 ④ 중립적 요소 : 교육은 정치적인 중립성을 추구

 

25. 교육의 개념적 요소들로 바르게 묶은 것은?   4   [2012-기말, 2013-대체]  p10

  ➀ 의도성, 가치중립성, 훈련과 주입

  ➁ 의도성, 정치적 발전, 경제적 효율성

  ➂ 의도성, 가치중립성, 교육자에 대한 존중

  ➃ 의도성, 가치지향성, 전인적 인간 변화에 대한 관심

 

26. 교육과 훈련의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1-기말]   p12

 ① 교육은 지식을, 훈련은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② 교육은 학교에서, 훈련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진다.

 ③ 교육은 학습자를 존중하나, 훈련은 학습자를 존중하지 않는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훈련은 지엽적 능력의 형성을 추구한다.

 

27. 교육과 훈련의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4-기말]  p12

 ① 교육은 지식을, 훈련은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② 교육은 학교에서, 훈련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진다.

 ③ 교육은 교사가 하지만, 훈련은 누구나 할 수 있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훈련은 지엽적 능력의 형성을 추구한다.

 

28. 교육의 개념적 조건중 ‘가치지향성’을 설명한 것은?   3 [2013-기말]   p12

 ① 교육은 가치중립성을 추구한다.

 ② 교육은 인간행동의 변화를 추구한다.

 ③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의 변화를 추구한다.

 ④ 교육은 인간형성을 통한 사회변화를 추구한다.

 

29. 교육의 개념적 조건 중 ‘가치지향성’을 설명한 것은?  3   [2011-대체, 2012-대체, 2014-기말]  p12
 ① 교육은 가치중립성을 추구한다.

 ② 교육은 지식과 기술의 전달을 추구한다.

 ③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의 변화를 추구한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추구한다.

 

30. 교육의 개념적 요소로 보기 어려운 것은?    2   [2015 기말)   p9~13

①가치지향성  교육방법의                           ②경제적 효율성

③전인적 인간변화에 대한 관심                      ④피교육자의 인간존엄성에 대한 존중

 

31. 전인적 인간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1-대체, 2015 기말]   p12

 ① 자율적 사고능력을 갖춘 인간                  ② 주체적인 지적 안목을 지닌 인간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6848 2022.12.24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3046 2023.09.20
공지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5 file 게시판관리 2389 2024.03.11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 교육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14 게시판관리 16309 2014.02.10
701 방송통신대학교 - 교육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14 게시판관리 16309 2014.02.10
700 공부하는 법 좀 알려주세요~^^ 14 포기하지마~! 3684 2014.02.22
699 도움이 필요해요 2 바다사랑 1988 2014.04.07
698 4학년 안녕하세요 신지숙 306 2015.02.16
697 4학년 반갑습니다 예쁜여우 190 2015.02.16
696 4학년 안녕하세요^^~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226 2015.02.16
695 4학년 안녕하세요 1 예쁜미소 319 2015.02.16
694 4학년 반갑습니다 이아리 180 2015.02.16
693 4학년 4학년 평생교육 실습생..등업요청 1 최금순(전북) 476 2015.02.16
692 4학년 안녕하세요^^ 파란 246 2015.02.16
691 4학년 반갑습니다 복딩이 230 2015.02.16
690 4학년 평생교육실습 3 여행자 525 2015.02.17
689 4학년 반갑습니다!!! 1 하연사랑 353 2015.02.18
688 1학년 반갑습니다.. 2 해든 265 2015.03.23
687 1학년 반가와요 1 달리아리 294 2015.03.26
686 3학년 반갑습니다. 사랑샘 317 2015.04.27
685 1학년 교육학과 1학년입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2 홍아 589 2015.05.04
684 1학년 만나서 반갑습니다. 백대현 334 2015.07.04
683 3학년 만나서 반가워요. 1 뚱이맘 327 2015.07.28
682 1학년 안녕하세요 1 이한솔 257 2015.08.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