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비평과 미학 (교재, 워크북 연습문제)
제 4 장 미 개념의 변천
1. 다음 중 취미론에 대한 설명으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3
① 미적 대상의 객관적 성질에 대한 규명에 초점을 맞춘다.
② 취미 판단 기준의 객관성을 성공적으로 수립했다.
③ 주관이 느끼는 무관심적 즐거움을 강조한다.
④ 칸트는 취미론의 관점을 철저히 배격했다.
● 취미론은 대상이 자신에게 무관심적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고 하는 주관의 판정, 칸트는 선천적인 인식능력은 인간에게 보편적인 것으로 상정되기에 취미 판단은 주관적이면서도 보편적 혹은 객관적인 것이다.
2. 장엄한 자연풍경과 같이 전통적인 미적 대상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으면서도 무관심적 즐거움을 제공해 주는 대상을 가리키는 용어는? 숭고
● 장엄한 자연풍경 등 형식적인 조화나 비례와 거리가 멀지만 무관심적 즐거움 가능, 미의 전통적 관념에 대립되는 또 다른 대상에 대한 미학적 연구 파생
3. 어떤 대상이 ‘미적인 것’일 수 있게끔 하는 주관의 태도는 과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이론들을 가리키는 용어는? 미적 태도론
4. 다음은 현대 미학에서 말하는 미적 태도와 관련된 주요 요소들이다. 이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① 비실용적 태도 ② 대상의 외재적인 가치에 주목 ③ 집중력 ④ 적절한 심적 거리
● 미적 태도의 특성은 실용적이지 않은 ‘비실용적 태도’, 그 ‘대상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에 주목’, 주체의 집중력, 적절한 심적 거리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