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와 유물유적 -기말시험 준비요약 1장~15장】
¶ 제1장 궁궐
【1】 어원과 제도: 국왕이 거주+의례를 거행하는 건축물을 궁궐대상으로 설정
①궁(宮=집+주거의 의미로 사용, 한 황제가 궁으로 칭하자 권위 있는 건물에 사용)
②궐(闕=방어를 위해 설치한 높은 전각, 경복궁의 동·서 십자각과 창경궁 홍화문 양 옆 각루)
③고려(궁, 전을 혼용하여 사용), 궁(왕실구성원의 거주지), 인물의 격을 표현(예: 연덕궁주)
④조선(국왕과 관련된 장소에 사용, 운현궁·어의궁, 온양행궁·시흥행궁, 사당인 선희궁·육상궁 등)
1. 중국의 후대 경학자들은 궁궐의 기본 형식과 구성을 전조후침+삼문삼조로 해석
①전조후침(전각 앞쪽에 조정, 뒤쪽에 침전 배치)
②삼문삼조(궁궐 안을 3개의 문으로 구분하여 구역설정, 기능에 따라 구별하는 것으로 평가)
2. 궁궐에는 생활공간·의례·정치공간이 혼재 ==>①정전(규모·격식이 있는 의례 공간, 조정=편전)
②침전(국왕과 왕후의 거처, 사적인 장소, 왕후 중심으로 의례·연회 중심장소로 이용)
③동궁(세자 거주), 궁궐 안팍에 여러 관서 포진(궐내각사와 궐외각사)
【2】 삼국의 궁궐: 도성 방어체계나 의례, 사상적 측면에서 궁궐에 대하여 연구
①고구려는 졸본에서 건국(국내성으로 천도), 장수왕(평양천도, 6세기 후반 인근지역으로 천도)
②백제가 수도를 옮긴 것을 토대로 위례성시대, 웅진시대, 사비시대로 구별
③신라의 도읍은 경주(천년), 박혁거세(금성=경주 읍성 부근으로 추정), 파사이사금(월성=반월성)
-문무왕(7세기 안압지와 동궁 건설), 궁궐은 월성(대궁·재성·본피궁 명칭으로 확인)
【3】 고려의 궁궐: 본궐과 이궁들 -왕건이 철원에서 개경으로 천도
1. 본궐의 역사와 구조: 여러 시기를 거쳐 증축+다양하고 복잡한 건물군 구성
①고려의 수도 개경(주산은 송악, 분지), 송악 아래 구릉지에 법궁(만월대=본궐) 건축
-전란·반란·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중창, 지형에 따른 복잡한 구성 보유(시기별로 구역 변화)
-현종 대에 중창되어 12세기 중엽까지 본궐이 고려 법궁으로서의 위상·기능
¶ 제1장 궁궐
【1】 어원과 제도: 국왕이 거주+의례를 거행하는 건축물을 궁궐대상으로 설정
①궁(宮=집+주거의 의미로 사용, 한 황제가 궁으로 칭하자 권위 있는 건물에 사용)
②궐(闕=방어를 위해 설치한 높은 전각, 경복궁의 동·서 십자각과 창경궁 홍화문 양 옆 각루)
③고려(궁, 전을 혼용하여 사용), 궁(왕실구성원의 거주지), 인물의 격을 표현(예: 연덕궁주)
④조선(국왕과 관련된 장소에 사용, 운현궁·어의궁, 온양행궁·시흥행궁, 사당인 선희궁·육상궁 등)
1. 중국의 후대 경학자들은 궁궐의 기본 형식과 구성을 전조후침+삼문삼조로 해석
①전조후침(전각 앞쪽에 조정, 뒤쪽에 침전 배치)
②삼문삼조(궁궐 안을 3개의 문으로 구분하여 구역설정, 기능에 따라 구별하는 것으로 평가)
2. 궁궐에는 생활공간·의례·정치공간이 혼재 ==>①정전(규모·격식이 있는 의례 공간, 조정=편전)
②침전(국왕과 왕후의 거처, 사적인 장소, 왕후 중심으로 의례·연회 중심장소로 이용)
③동궁(세자 거주), 궁궐 안팍에 여러 관서 포진(궐내각사와 궐외각사)
【2】 삼국의 궁궐: 도성 방어체계나 의례, 사상적 측면에서 궁궐에 대하여 연구
①고구려는 졸본에서 건국(국내성으로 천도), 장수왕(평양천도, 6세기 후반 인근지역으로 천도)
②백제가 수도를 옮긴 것을 토대로 위례성시대, 웅진시대, 사비시대로 구별
③신라의 도읍은 경주(천년), 박혁거세(금성=경주 읍성 부근으로 추정), 파사이사금(월성=반월성)
-문무왕(7세기 안압지와 동궁 건설), 궁궐은 월성(대궁·재성·본피궁 명칭으로 확인)
【3】 고려의 궁궐: 본궐과 이궁들 -왕건이 철원에서 개경으로 천도
1. 본궐의 역사와 구조: 여러 시기를 거쳐 증축+다양하고 복잡한 건물군 구성
①고려의 수도 개경(주산은 송악, 분지), 송악 아래 구릉지에 법궁(만월대=본궐) 건축
-전란·반란·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중창, 지형에 따른 복잡한 구성 보유(시기별로 구역 변화)
-현종 대에 중창되어 12세기 중엽까지 본궐이 고려 법궁으로서의 위상·기능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