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영양역학 연구의 의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4
①인구집단에서 식생활환경 요인의 특성과 현황 파악
②인구집단에서 식생활환경 요인과 관련있는 건강영향의 빈도와 분포 기술
③식생활관련 질병의 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④식생활관련 질병의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역학은 질병이 발생하는 원인을 밝혀내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데 관심이 있다.
Q2.다음 중 원인적 연관성의 강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역학적 연구방법은?1
①코호트 연구 ②환자-대조군 연구 ③단면조사 연구 ④생태학적 연구
원인적 연관성 강도 면에서 임상시험/지역사회시험이 가장 우수하며, 그 다음으로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단면조사 연구, 생태학적 연구의 순서이다.
Q3.역학적 연구방법과 관련되는 개념을 짝지은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4
①생태학적 연구: 생태학적 오류②단면조사 연구: 유병률
③환자-대조군 연구: 오즈비④코호트 연구: 무작위 배정
무작위 배정, 위약, 이중눈가림 등의 개념은 임상시험 연구과 관련된 것이다.
Q4.단면조사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
①질병과 식이섭취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같은 시점에 조사한다.
②질병의 발생률을 쉽게 산출할 수 있다.
③질병과 식이요인의 시간적인 선후관계를 판단하기 어려워 인과관계를 바로 확정할 수 없다.
④국민건강영양조사는 단면조사 연구의 한 예이다.
단면조사 연구에서는 조사시점에서 질병이 있고 없고를 조사함으로써 조사대상 인구 중 질병을 가진 사람의 비율인 유병률을 산출할 수 있다.
Q5.연구방법 측면에서 역학연구를 두 가지로 구분해 보세요.
①기술역학 연구②분석역학 연구
기술역학 연구에서 얻어지는 결과들은 향후 분석역학 연구를 시행하기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하며, 분석역학 연구에서는 기술역학을 통해 제기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식이요인에 노출된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이 질병발생 위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규명한다. 기술역학 연구에는 생태학적 연구, 단면조사 연구, 환자사례 연구 등이 포함된다. 분석역학 연구에는 환자-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 임상시험 및 지역사회 시험 연구 등이 포함된다.
Q6.영양상태는 질병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O
영양 또는 식품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외부환경이다. 과거부터 영양의 질병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은 경험적으로도 잘 알려져 왔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주요 질병의 원인과 예방에 영양 및 식이요인의 결핍 또는 과잉이 연관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