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복지론] 중간과제물 설명 및 참고문헌 수정본 알림
작성자 보건환경학과 조회수 6 등록일 2021.09.13
안녕하세요. 보건환경학과입니다.
21학년도 2학기 의료사회복지론 중간과제물 관련하여 교수님의 부연 설명과 참고문헌 수정본을 올려드리오니 수강생 분들은 과제 작성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의료사회복지론 중간과제물에 대한 질문이 있어서 설명드립니다.
설명이 불충분했네요. 먼저 참고문헌을 추가하였습니다. 밑줄과 붉은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수정합니다.
<과제명>
공공 보건의료에서 의료사회복지사업의 필요성을 정리하고(4강, 14강), 공공병원, 공공의료재단, 사회서비스원과 같은 공공기관의 코로나19 지속 상황에서의 역할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30점)
<참고문헌>
의료사회복지론 4강, 14강 강의, 교재 10장
아래는 예시로 언급되지 않은 공공기관을 선정해도 됨
지역거점공공병원 알리미 https://rhs.mohw.go.kr/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재단 http://www.seoulhealth.kr/main?isMobile=N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https://www.ggpi.or.kr/
사회서비스 중앙지원단 https://www.pass.or.kr/
대구시 사회서비스원 https://daegu.pass.or.kr/
다음으로 이 과제문제의 배경을 말씀드립니다.
의료사회복지사업은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질병양상의 변경, 인구고령화 등으로 건강 및 질병의 원인이 복합적이 되었고, 질병 치료에서 초점을 두던 과거 의료기관의 역할에서 질병 예방과 종합적 지원/연계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공공보건의료기관에서 주된 역할을 하며, 확대될 필요가 있어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문제로 드렸습니다.
특히, 코로나19 대응을 위해서 공공보건의료기관은 최전선에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직접 환자를 돌보거나, 감염확산을 위한 행정가/교육자/조사자 역할, 취약계층을 위한 연계/조정자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수준은 다르지만)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사회복지임상, 행정, 교육 및 연구조사)을 관통하는 맥락도 공공성입니다.
공공기관 (공공보건의료기관) 중 한 기관을 골라서 사업을 정리하고, 코로나19 지속 상황에서 이들 기관의 역할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제시합니다.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서 교재 10장 '공공보건의료와 사회복지' 325, 330-338페이지 내용을 기준(하단 정리)으로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2) 공공보건의료사업
(2000년 1월 법률 제정 당시에는 '공공보건의료사업'에 대한 별도의 정의가 없었으나) 2012년 2월에 개정된 법률에서는 다음의 사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보건의료 공급이 원할하지 못한 지역 및 분야에 대한 의료공급에 관한 사업
보건의료 보장이 취약한 계층에 대한 의료공급에 관한 사업
발생규모, 전파속도, 심각성 등을 고려할 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이 필요한 질병의 예방과 건강증진에 관한 사업
그밖에 국가가 관리할 필요가 있는 보건의료로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업 "
"4. 공공보건의료와 의료사회복지 (내용이 길어서 소제목 정리)
1) 공공보건의료에서 의료사회복지의 필요성
2) 취약계층에 대한 정의
3) 공공보건의료에서 의료사회복지실천모델
(1) 추진배경
(2) 지원대상
(3) 핵심 조직 및 인력
(4) 연계기관"
정영일 드림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