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정신의 뿌리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침략 정복자 로마인들로부터 유머와 신랄한 비판을 즐기는 정신을 물려받았다.
② 갈로-로마 시대를 거치며 법에 대한 감각과 실용 정신을 체득하였다.
③ 프랑스인의 재치와 기지, 용맹성은 프랑스인의 조상인 골루아를 등장시킨 만화 『아스테릭스』에 잘 나타난다.
④ 골족은 넓게 보면 셀트족에 속하는데 그들로부터 개인주의적 정신을 유산으로 받았다.
2. 프랑스 정신의 일반적인 특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명석․명료하지 않은 것은 프랑스적인 것이 아니다.
② 형이상학에 몰두한다.
③ 인간성 추구에 몰두하며, 이는 문학의 모랄리스트적 경향에 잘 나타난다.
④ 현실과의 구체적 접합점에서 탄생하는 사회적 감각을 특징으로 한다.
3.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것은?
1905년 이후, 가톨릭 국교를 유지하던 프랑스가 ( ) 공화국이 됨으로 모든 종교는 국가의 관점에서 동등하게 고려된다. 종교는 개인의 사적인 영역으로 취급됨으로써 공립학교 내에서는 특정 종교의 신도임을 드러내는 표식이 금지되었다.
① 박애주의 ② 자유정신
③ 정교분리 ④ 평등사상
4. 종교에 대한 자유정신과 긴밀한 관련을 가지며, 이교도와 이민족, 반대 정치이념과의 대립에서 특히 강조되는 프랑스 정신은?
① 휴머니슴 ② 모랄리슴
③ 톨레랑스 ④ 솔리다리테
5. 2차 세계대전 전의 프랑스 문화․예술과 거리가 먼 항은?
① 다다이즘 ② 실존주의
③ 초현실주의 ④ 앙드레 브르통
6. 국립민중극단을 이끌었던 장 빌라르에 의해 1947년 개최된 이래 지속적으로 세계적 연극축제가 열리는 프랑스 도시는?
① 파리 ② 아비뇽
③ 도빌 ④ 앙굴렘
7. 프랑스 샹송의 특징과 거리가 먼 설명은?
①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샹송은 노랫말을 중시했다.
② 파리의 센 강 좌안(左岸)에 위치한 술집 등에서 태어난 지적 샹송들은 리브 고슈(좌안) 스타일의 샹송이라 불리기도 한다.
③ 「다정한 프랑스」를 최초로 부른 가수는 에디트 피아프다.
④ 중세 음유시인의 전통을 이어받은 조르주 브라상스의 샹송은 현실에 대한 시니컬하면서도 따뜻한 가사로 프랑스적 면모를 잘 보여주었다.
8. 다음 중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이오네스코 - 반연극
② 베케트 - 『고도를 기다리며』
③ 베케트 - 『대머리 여가수』, 『의자들』
④ 이오네스코 - 전용 소극장, 파리의 위세트 극장
9. “움직이는 모든 요소들이 한순간이나마 균형을 이루는 순간이 있다. 사진이란 이 순간들을 잡아내야 한다.”고 말한 사진작가는?
① 로베르 드와노
②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③ 앙드레 케르테츠
④ 에두아르 부바
10. 프랑스 영화의 현대미학을 보여준 인물로, 카메라와 녹음기에 창조의 역할을 절대적으로 부여하며, 단순미 속에서 인간성의 심오한 탐색에 몰입, 악과 영적 구원의 문제를 탐색하는 종교적 작풍을 보여 주기도 한 영화감독은?
① 로베르 브레송 ② 아네스 자우이
③ 뤼미에르 형제 ④ 프랑수아 트뤼포
11. 프랑스 영화에서 ‘누벨바그’와 가장 관련이 적은 항은?
①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의 「400번의 구타」
② 비평가 앙드레 바쟁의 ≪카이에 뒤 시네마≫ 잡지 창간
③ 독일 영화의 영향
④ 파리의 시사실 시네마테크 프랑세즈
12. 유치하는 축제의 장르가 다른 한 도시는?
① 안시 ② 앙굴렘
③ 도빌 ④ 칸
13.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프랑스 영화는?
- 1840년대 루이 필립 치하의 파리를 무대로 한 인간극
- 팬터마임 연기자와 스테이지 무희(舞姬)의 사랑
- 나치에 저항하는 프랑스 서민들의 예술 애호 기질과 사랑의 대서사시
① 「안개 낀 부두」
② 「사탄의 태양 아래서」
③ 「인생유전(천국의 아이들)」
④ 「그랑 블루」
14. 다음 중 프랑스 건축과 관련이 없는 항은?
① 가우디의 구엘 공원
② 이오 밍 페이의 피라미드
③ 장 누벨의 아랍 연구소 (문화원)
④ 미테랑 대통령의 프랑스혁명 200주년 프로젝트
15. 다음 묘사가 가리키는 장소는?
거대한 철골 구조 속에 여러 시설들을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며, 설비 배관이 그 기능별로 적색과 청색 등 원색으로 칠해져 바깥으로 드러나 있다. 현대 기술 사회에 대한 오마주인 이곳은 문화를 통한 새로운 프랑스 혁명의 현장 혹은 문화의 공장처럼 느껴진다.
① 퐁피두 센터
② 기메 박물관
③ 프랑스국립도서관
④ 케 브랑리 박물관
16. ‘예술의 수호자’로서 프랑스 정부가 기울인 노력이 아닌 것은?
① 드 골 정권하에 문화부장관을 역임한 앙드레 말로는 주요도시에 ‘문화의 집’을 설립하여 문화의 대중화․지
① 침략 정복자 로마인들로부터 유머와 신랄한 비판을 즐기는 정신을 물려받았다.
② 갈로-로마 시대를 거치며 법에 대한 감각과 실용 정신을 체득하였다.
③ 프랑스인의 재치와 기지, 용맹성은 프랑스인의 조상인 골루아를 등장시킨 만화 『아스테릭스』에 잘 나타난다.
④ 골족은 넓게 보면 셀트족에 속하는데 그들로부터 개인주의적 정신을 유산으로 받았다.
2. 프랑스 정신의 일반적인 특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명석․명료하지 않은 것은 프랑스적인 것이 아니다.
② 형이상학에 몰두한다.
③ 인간성 추구에 몰두하며, 이는 문학의 모랄리스트적 경향에 잘 나타난다.
④ 현실과의 구체적 접합점에서 탄생하는 사회적 감각을 특징으로 한다.
3.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것은?
1905년 이후, 가톨릭 국교를 유지하던 프랑스가 ( ) 공화국이 됨으로 모든 종교는 국가의 관점에서 동등하게 고려된다. 종교는 개인의 사적인 영역으로 취급됨으로써 공립학교 내에서는 특정 종교의 신도임을 드러내는 표식이 금지되었다.
① 박애주의 ② 자유정신
③ 정교분리 ④ 평등사상
4. 종교에 대한 자유정신과 긴밀한 관련을 가지며, 이교도와 이민족, 반대 정치이념과의 대립에서 특히 강조되는 프랑스 정신은?
① 휴머니슴 ② 모랄리슴
③ 톨레랑스 ④ 솔리다리테
5. 2차 세계대전 전의 프랑스 문화․예술과 거리가 먼 항은?
① 다다이즘 ② 실존주의
③ 초현실주의 ④ 앙드레 브르통
6. 국립민중극단을 이끌었던 장 빌라르에 의해 1947년 개최된 이래 지속적으로 세계적 연극축제가 열리는 프랑스 도시는?
① 파리 ② 아비뇽
③ 도빌 ④ 앙굴렘
7. 프랑스 샹송의 특징과 거리가 먼 설명은?
①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샹송은 노랫말을 중시했다.
② 파리의 센 강 좌안(左岸)에 위치한 술집 등에서 태어난 지적 샹송들은 리브 고슈(좌안) 스타일의 샹송이라 불리기도 한다.
③ 「다정한 프랑스」를 최초로 부른 가수는 에디트 피아프다.
④ 중세 음유시인의 전통을 이어받은 조르주 브라상스의 샹송은 현실에 대한 시니컬하면서도 따뜻한 가사로 프랑스적 면모를 잘 보여주었다.
8. 다음 중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이오네스코 - 반연극
② 베케트 - 『고도를 기다리며』
③ 베케트 - 『대머리 여가수』, 『의자들』
④ 이오네스코 - 전용 소극장, 파리의 위세트 극장
9. “움직이는 모든 요소들이 한순간이나마 균형을 이루는 순간이 있다. 사진이란 이 순간들을 잡아내야 한다.”고 말한 사진작가는?
① 로베르 드와노
②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③ 앙드레 케르테츠
④ 에두아르 부바
10. 프랑스 영화의 현대미학을 보여준 인물로, 카메라와 녹음기에 창조의 역할을 절대적으로 부여하며, 단순미 속에서 인간성의 심오한 탐색에 몰입, 악과 영적 구원의 문제를 탐색하는 종교적 작풍을 보여 주기도 한 영화감독은?
① 로베르 브레송 ② 아네스 자우이
③ 뤼미에르 형제 ④ 프랑수아 트뤼포
11. 프랑스 영화에서 ‘누벨바그’와 가장 관련이 적은 항은?
①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의 「400번의 구타」
② 비평가 앙드레 바쟁의 ≪카이에 뒤 시네마≫ 잡지 창간
③ 독일 영화의 영향
④ 파리의 시사실 시네마테크 프랑세즈
12. 유치하는 축제의 장르가 다른 한 도시는?
① 안시 ② 앙굴렘
③ 도빌 ④ 칸
13.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프랑스 영화는?
- 1840년대 루이 필립 치하의 파리를 무대로 한 인간극
- 팬터마임 연기자와 스테이지 무희(舞姬)의 사랑
- 나치에 저항하는 프랑스 서민들의 예술 애호 기질과 사랑의 대서사시
① 「안개 낀 부두」
② 「사탄의 태양 아래서」
③ 「인생유전(천국의 아이들)」
④ 「그랑 블루」
14. 다음 중 프랑스 건축과 관련이 없는 항은?
① 가우디의 구엘 공원
② 이오 밍 페이의 피라미드
③ 장 누벨의 아랍 연구소 (문화원)
④ 미테랑 대통령의 프랑스혁명 200주년 프로젝트
15. 다음 묘사가 가리키는 장소는?
거대한 철골 구조 속에 여러 시설들을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며, 설비 배관이 그 기능별로 적색과 청색 등 원색으로 칠해져 바깥으로 드러나 있다. 현대 기술 사회에 대한 오마주인 이곳은 문화를 통한 새로운 프랑스 혁명의 현장 혹은 문화의 공장처럼 느껴진다.
① 퐁피두 센터
② 기메 박물관
③ 프랑스국립도서관
④ 케 브랑리 박물관
16. ‘예술의 수호자’로서 프랑스 정부가 기울인 노력이 아닌 것은?
① 드 골 정권하에 문화부장관을 역임한 앙드레 말로는 주요도시에 ‘문화의 집’을 설립하여 문화의 대중화․지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5)(1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5)(4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6)(1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6)(4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7)(1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7)(4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8)(1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8)(4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9)(1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기말시험(2019)(4학년).hwp 오늘날의 프랑스 하계계절시험(2019).hwp 오늘날의 프랑스 하계계절시험(2015).hwp 오늘날의 프랑스 하계계절시험(2016).hwp 오늘날의 프랑스 하계계절시험(2017).hwp 오늘날의 프랑스 하계계절시험(2018).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