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교육과

청소년교육 전용게시판

조회 수 13439 추천 수 6 댓글 20

심리검사 및 측정 암기노트

 

1. 상담과 심리검사

1. 문제해결 상담모델의 5단계

1단계

문제 인식과 수용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받아들이게 한다.

문제인식을 통한 협조적 상담관계 형성

2단계

문제 정의와 구체화

문제를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정의하여 문제의 본질을 명확히 한다.

증상체크리스트, 개인일기, 성격검사, 학교생활기록부

3단계

해결책 발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찾는다.

진로흥미검사, 학습기술검가, 개인면담, 성격유형검사

4단계

의사결정

다양한 해결책의 결과를 예상하여 그 중 하나를 선택한다.

검사결과를 통한 의사결정

5단계

효과검증

상담효과와 문제해결정도를 평가한다.

구체적 행동적 목표 정하기

2. 평가(assessment)의 개념

1) 평가 : 인간, 프로그램, 사물의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방법들

평가의 대상은 사람 만이 아니라, 프로그램, 사물, 환경 등 모든 것.

3.심리검사의 유형

1)표준화검사의 특징 : 일관적인 검사시행, 객관적인 채점방식, 검사해석을 위한 규준집단설정,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 등이다

2)비표준화검사 : 투사적 기법, 행동관찰, 질문지 등이며, 비표준화 검사는 표준화검사에 비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지지만, 기존 심리검사에서 다루지 못한 측면을 융통성있게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담에서는 비표준화검사도 유용하게 많이 활용한다.

3) 평정의 타당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 평가받는 사람을 잘 아는 사람을 평정자료 활용하기

- 여러 행동, 즉 중다행동 관찰로부터 평정하기

- 타인평정 시 관찰자를 여러 명으로 하기

- 관찰가능한 영역과 장소를 활용하기

- 문제를 관찰하기 위한 행동을 정의하여 점검하기

4) 행동관찰 : 관찰되고 측정가능한 행동을, 사전에 미리 계획하여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5) 투사기법 : 로르샤흐 잉크반점 검사, 주제통각검사(TAT), 문장완성검사 등

5) 생애사적 자료 : 내담자가 보고하거나 역사적 기록으로 남아있는 개인의 성취, 경험자료로 학교생활기록부, 취업원서, 이력서, 직장 인사기록, 내담자와의 접수면접, 상담신청서를 통해 수집되는 질적인 자료

6) 생리학적 측정 : 체온, 근육수축, 혈압 등 비자발적인 신체적 기능 측정

4. 심리검사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 : 검사실시자는 심리검사의 오류나 단점을 범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심리검사는 그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보제공의 매체라고 인식하고 사용할 심리검사의 장점과 한계를 잘 파악해야 한다.

5. 우리나라 청소년 상담기관에서 많이 활용되는 검사 : MBTIMMTIC, 적성탐색검사와 진로탐색검사이며,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검사영역은 성격 > 진로·적성 > 임상·적응 > 지능 > 학습검사 순이다.

 

2. 검사 사용의 절차

1. 검사 실시전 내담자의 불안을 완화시키는 방법

검사목적이 평가를 위한 것이 아니라, 내담자를 돕기 위한 것임을 잘 전달하기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상담자가 내담자를 수용할 것임을 느낄 수 있게 하기

가능하다면, 검사 선택의 과정에 내담자를 참여시키기

2.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의 해석지는 내담자(피검자)를 직접 보고 결과가 제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컴퓨터 해석지에 전적으로 의존하거나, 컴퓨터 해석지를 그대로 내담자에게 전달하지 말고, 내담자로부터 얻은 다른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상담자(검사실시자)가 해석을 제대로 하여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3. 정신장애 진단시 유의할 점.

  • 대해 적절히 진단하도록 특별히 주의
  • 위한 검사사용시, 신중하게 선택하고 합당하게 사용할 것
  • 사회경제적, 문화적 경험을 고려하여 문제 규정
  • 대한 편견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
  • 보고함으로써 내담자나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판단될 때에는 진단이나 보고를 하지 말 것
  •  

4. 귀인과 대처 유형

자조적 유형

(내귀인-자기대처)

자신의 문제와 해결에 대해 책임을 느낌

무엇을 해야할지 상담자에게 자극받아 실천하고자 함

보상적 유형

(외귀인-자기대처)

문제에 책임은 없지만, 해결은 자신이 해야한다고 생각

문제 해결과정에서 상담자가 대변인이 되어 도와주기를 바람

의존적 유형

(내귀인-타인대처)

문제에 책임이 있지만 자신이 해결하려는 책임감은 없음

상담자가 구원자처럼 자신을 돌봐주고 도와주기를 바람

의학적 유형

(외귀인-타인대처)

문제와 해결 모두에 책임을 느끼지 않음

상담자가 해결책을 처방하면 따르겠다는 입장

5. MBTI성격유형검사

외향형 vs. 내향형 : 문제를 집단적 방식으로 해결하는가? 개인적으로 해결하는가?

감각형 vs. 직관형 : 문제해결에 있어서 사실을 중요하게 여기는가? 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

사고형 vs. 감정형 : 문제해결이 논리적인가, 가치지향적인가

판단형 vs. 인식형 : 문제해결이 중요한가,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한가

6. PF-SOC 등을 활용한 내담자의 스트레스 대처 양식 평가

반성적 유형: 문제해결에서 논리적 과정 중시

억압적 유형: 문제를 부인하거나 회피

반응적 유형: 강한 정서적 반응과 충동성

7. 호소문제 체크리스트 사용시 주의사항 : 내담자가 자기 문제를 축소하거나 과장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려하여 판단한다. 검사의 용도는 내담자의 일반적인 심리적 불편감을 알아보는 데에 있으므로 각 문항과 하위영역에 너무 의미를 두지는 않는 것이 적절하다.

8. 접수면접시 범하기 쉬운 오류와 편견

고착의 오류- 접수면접에서 얻은 자료를 지나치게 강조

활용의 오류- 상담자가 선호하는 이론이나 진단에 지나치게 의존

축소의 오류- 상담자가 관심이 없는 문제를 무시하거나 축소

귀인의 오류-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문제의 원인을 내담자에게 귀인

이와 같은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접수면접에서 상담자의 가설에 대한 지지자료와 기각자료를 동시에 고려하는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3. 검사의 측정학적 개념(1)

1. 참조체계

규준 참조체제

(norm-referenced)

다른 사람의 점수와 비교

준거 참조체제

(criterion-referenced)

검사제작자가 제시한 절대점수와 비교

내적 참조체제

(self-referenced)

동일한 개인에게서 얻어진 다른 점수간의 비교

(‘개인적 참조체제라고도 함)

규준(norm) : 원점수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자. 연령별, 성별, 지역별 규준 등

2. 집단점수의 분포에 따른 집중경향의 위치

· 정상분포곡선 : 평균치 = 중앙치 = 최빈치

· 부적편포된 경우 : 최빈치 > 중앙치 > 평균

· 정적편포된 경우 : 평균 > 중앙치 > 최빈치

 

 

3. 변인의 종류

변인명

특 징

예시

명명변인

(nominal variable)

같다’, ‘다르다의 정보만 가지고 있음

성별, 지역, 피부색 등

서열변인

(ordinal variable)

같다’, ‘다르다의 정보뿐만 아니라,

보다 크다’, ‘보다 작다는 정보를 가지고 있음.

학급에서의 석차 : 1, 2, 3...

동간변인

(interval variable)

명병변인과 서열변인이 가진 정보뿐만이 아니라 얼마만큼 크냐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

온도 등

비율변인

(ratio variable)

동간변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뿐만이 아니라 절대영점(자연적 영점)을 갖고 있는 변인. 따라서 몇 배라고 말하는 것이 가능함.

길이, 무게 등

4. 변산도(變散度) : 한 집단의 점수분포의 흩어진 정도를 요약해주는 지수를 말한다. 변산도를 나타내는 지수에는 범위, 사분편차, 평균편차, 표준편차 등 여러 가지가 있다.

1) 범위(range) : 한 점수분포에서 최고점수에서 최하점수까지의 거리

- : 5명의 국어시험 점수분포가 30, 50, 70, 80, 90점이라면

범위는 90(최고점)30(최하점)1 = 61

- 범위의 단점: 극단적인 점수의 영향을 받기 쉬움

2)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 한 집단의 산술평균으로부터 모든 점수까지의 거리들을 표현하기 위해, 편차점수를 제곱하여 모두 합하고 사례수로 나눈 뒤 제곱근을 구한 것

· 정상분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면 위치를 알 수 있다.

) 평균 ± 1 표준편차 : 총 사례의 약 68%

평균 ± 2 표준편차 : 총 사례의 약 95%

평균 ± 3 표준편차 : 총 사례의 약 99.7%

5. 상대적인 위치의 표현

1) 서열(rank): 집단 내에서 위로부터의 순서

- : 철수는 국어성적이 반에서 5등이다.

2) 백분위(percentile rank) : 어떤 점수 미만에 있는 사례의, 전체 사례에 대한 백분율

· : 민지는 문과 적성의 백분위가 98이다.

-> 문과 적성(변인)이 같은 나이 학생(규준)중 아래부터 98%에 위치한다는 뜻.

3) 학년점수(학령점수)

· 초등학교 1학년(1)부터 고등학교 3학년(12)까지의 학년 수준

: 3학년인 영숙이는 수학시험에서 5.3학년점수를 받았다.

-> 5학년학생들이 3학년 수학시험을 보았을 때 나오는 점수의 수준이라는 뜻.

4) 표준점수

·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것

· Z점수, T점수, 스테나인점수 등

· Z점수: 평균 0, 표준편차 1인 분포로 전환한 점수

: 평균으로부터 +2표준편차만큼 떨어진 원점수의 Z점수=2

· T점수: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인 분포로 전환한 점수

Z점수가 , , 소수점을 갖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만듬

cf. T(점수)= 5010Z(점수)

· 스테나인(stanine) 점수 : 수능 등급 표시에 활용

범위는 1~9이며 평균값이 5

장점: 한 자리 정수로 표시

단점: 개인간의 차이를 무시하거나 과장할 수 있다

· 지능지수 : 대개 평균 100, 표준편차 15로 전환함

7. 상관

- 상관계수의 계산에 있어서 X, Y 두 변인에 어떤 일정한 수를 가감승제(加減乘除)하여도 상관계수 r의 값은 변화하지 않는다.

- 상관계수는 1) 두 변인이 직선적 관계를 가지며, 2) XY의 어느 한 변인치에 대한 다른 변인치의 분포의 동간성(同間性)이 있다는 것, 그리고 3) 두 변인치가 정상분포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가정하고 있다.

- 상관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변산도, 중간분포집단이 제외된 경우, 극단적인 점수의 영향, 측정의 오차, 표집 오차

- 상관계수를 해석할 때 유의할 사항

* 두 변인간에 상관이 있다는 것이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 두 변인간에 상관이 있는 것은 제 3의 변인과의 관계 때문일 수 있다.

 

4. 검사의 측정학적 개념 (2)

1. 신뢰도

1) 관찰점수 = 진점수 + 오차점수

2) 측정의 표준오차 : 한 피검사자의 관찰점수(observed score)를 가지고 진점수를 추정하는 데 생기는 오차의 정도를 측정의 표준오차라고 한다.

3) 신뢰도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검사 길이가 길면 신뢰도는 높게 나온다.

· 집단이 이질적일수록 신뢰도는 높게 나온다.

· 반분신뢰도와 문항내적합치도의 경우, 검사내용에 속도요인이 많이 포함될수록 신뢰도가 사실이상 높게 나온다.

· 문항이 지나치게 어려울 경우 신뢰도는 떨어진다.

· 우연히 추측해서 맞출 수 있는 문항이 많으면 신뢰도가 떨어진다.

) 진위형 < 사지선다형

2. 객관도 : 평가자의 평가가 얼마나 신뢰롭고 일관성있느냐에 대한 개념으로 평가자간 객관도평가자내 객관도가 있다.

3. 타당도 : 측정하려고 의도하는 것을 제대로 충실하게 측정하고 있느냐의 정도

1)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2) 준거타당도 : 검사점수와 어떤 준거점수와의 상관을 구하여 타당도 추정

예언타당도(predictive validity) : 수능이나 직업검사

공인타당도(concurrent validity) : 공신력있는 다른 검사에서 얻은 점수와 어느정도의 상관관계

3) 구인타당도(construct validity) : 어떤 평가(검사)에서 아직 조작적으로 정의하지 않은 어떤 특성이나 성질을 측정했을 때 그 평가가 과학적 이론에 비추어서 얼마나 의미있는 측정치인가를 가리키는 개념

4) 처치타당도 : 상담자와 임상가들이 고안한 개념으로서, 검사결과가 내담자나 학습자를 변화시키는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내용

 

4.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신뢰도가 낮으면 타당도는 이에 비례해서 낮아진다. , 신뢰도 없이 타당도가 높은 평가도구는 존재할 수 없다.

5. 표준화 심리검사의 개발 절차

검사 개발의 계획문항 개발예비검사문항 분석본검사

규준 작성과 양호도 분석검사요강 작성

 

5. 지능검사(1)

1. 지능이론

1) 요인이론

(1) 스피어만(Spearman) : 지능은 하나의 일반 요인과 여러 개의 특수요인으로 구성

(2) 썰스톤(Thurstone) : 7가지 기초정신능력(PMA: Primary Mental Ability)을 발견.

언어이해력, 추리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언어 유창성, 지각속도, 기억력

(3) 길포드(Guilford) : 지능이 발휘되는 상황을 내용, 산출, 조작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세 차원의 조합에 따라 180개의 지적 능력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2) 위계이론 : 커텔(Cattell)의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

-유동성 지능 : 언어유추력, 단순 암기력, 도형지각능력

-결정성 지능 : 어휘력, 수리력, 일반적 지식

3) 가드너(Gardner, 1983)의 다중지능이론

- 언어적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음악적 지능, 대인간 지능, 개인 내 지능의 7가지 다중 지능

- 최근추가 : 자연관찰지능(naturalistintelligence)과 실존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

4) 스턴버그(Sternberg, 1986)의 삼원지능이론

성분, 경험, 맥락(상황)3요소를 고려한 삼원지능이론 주장

5)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 샐로비(Salovey)와 메이어(Mayer)의 정의

- 쏜다이크(Thorndike)의 사회적 지능, 가드너(Gardner)의 개인 지능(대인간, 개인내 지능), 스턴버그(Sternberg)의 실제적 지능(맥락적 요소)과 유사한 개념

6) 지능의 양적 발달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개의 경우 각 단계의 지능은 변산도(變散度)가 점점 커진다. 또한 연령 수준에 따라 지능에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가 다르다.

7) 지능의 질적 발달 : 피아제(Piaget)가 주장

유기체는 태어날 때부터 적응하려는 힘을 가지고 태어났다.

지적인 적응이란 인식 주체와 인식대상의 상호작용의 과정으로서, 생물학적 적응의 한 가지이다.

인식은 점진적인 진화의 결과이다.

유기체의 적응은 균형상태(equilibrium)를 추구하는 경향성이 있다. 즉 유기체는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자신과 외부세계, 이들 간의 관계에 관한 지식을 획득한다.

8) 지능 발달에 유전과 환경의 영향 :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설이 유력하다. 그렇다면 유전과 환경이 지능이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 비율일까? 근래에는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것은 유전보다 환경이 지능을 결정하는데 더 크게 작용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따라서 지능의 발달을 촉진하는 풍부하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지능 발달에 미치는 유전적 영향력을 강조한 연구로는 갈톤(Galton)의 천재 연구, 젠센(Jensen)의 연구, 그리고 쌍둥이나 양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등이 있다. 또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로는 헌트(Hunt), 히버(Heber), 월프(Wolf) 등의 연구가 있다.

 

2. 개인용 지능검사

1) 비네-시몬(Binet-Simon) 검사

최초의 개인용 지능검사이다(1905년 제작). 비네-시몬 검사를 개발한 목적은 학습부진아를 판별하기 위해서이다. 지능에 정신연령”(mental age)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2) 스탠포드-비네(Stanford-Binet) 검사

비네-시몬 검사에서 사용한 정신연령이라는 개념은 실제 연령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정신연령을 생활연령으로 나누어 산출한 비율 I.Q의 개념을 도입하였다(비율 I.Q.= 정신연령÷생활연령×100으로 산출). 그러나 비율 I.Q.도 실제로는 20세 이전의 사람에게만 적합한 개념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비율I.Q. 대신 편차 I.Q.개념을 지능검사에 주로 사용한다(개인의 지적 수준을 해당 연령 집단 평균치로부터의 상대적 위치로 표현한 것).

3) 최근에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개인용 지능검사로는 웩슬러(Wechsler) 지능검사, 카우프만 (Kaufman) 지능검사 등이 있다.

 

3. 집단용 지능검사

· 육군 알파(Army α) 검사와 육군 베타(Army β) 검사가 최초이다. 알파 검사는 언어성 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베타 검사는 글을 모르는 피검사자들을 위하여 비언어성 검사로 구성되었다.

· 국내에서 사용되는 집단용 지능검사는 대부분 썰스톤(Thurstone)7가지 기초정신능력(PMA) 중 일부 능력을 측정하고 있으며, 산출점수로는 편차 I.Q를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6. 지능검사(2)

1. 웩슬러 지능검사

- 성인용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WAIS) : 17~

- 아동용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WISC):60개월~ 1611개월

- 유아용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WPPSI): 3~ 75개월

웩슬러지능검사는 10개정도의 소검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를 실시하고 문항응답점수를 통해 얻게되는 원점수가 있다. 이 원점수를 규준 등에 비추어 변환하여 척도점수를 구한다. 그리고 이들을 종합하여 언어성 IQ와 동작성 IQ, 또는 지표별 IQ값을 구할 수 있고, 전체 IQ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각 소검사의 척도점수는 평균 10, 표준편차 3인 표준점수로 얻어지며, 지표별 IQ와 전체 IQ는 평균 100, 표준편차 15인 표준점수로 얻어진다.

2. 한국판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

1)검사의 내용과 구성

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공통성

어휘

이해

(상식)

(단어추리)

토막짜기

공통그림찾기

행렬추리

(빠진곳찾기)

숫자

순차연결

(산수)

기호쓰기

동형찾기

(선택)

( )안은 보충검사 - 불가피하게 보충검사로 필수검사를 대체할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2개이상을 넘지않는게 좋다.

언어이해 소검사

소검사

설명

공통성

유추능력, 논리적 사고력 측정

어휘

성취동기, 가정환경, 부모의 관심정도가 반영

이해

논리적 사고, 가정환경, 부모관심이 반영

(상식)

성취동기, 가정환경, 부모관심이 반영

(단어추리)

추론능력, 성취동기, 가정환경이 반영

지각추론 소검사

소검사

설명

토막짜기

추상능력, 공간관계, 시각-운동능력 측정

공통그림찾기

유동성 추론능력

행렬추리

유동성 추론능력 측정

(빠진곳 찾기)

시각기억력, 주의집중, 시각예민성 측정

작업기억 소검사

소검사

설명

숫자

즉각적 회상과 집중, 단기기억 측정

순차연결

단기기억 유지능력 측정

(산수)

주의집중, 비교와 사칙연산력 측정

처리속도 소검사

소검사

설명

기호쓰기

손 운동 정교성, 집중범위 측정

동형찾기

정신 운동 속도 측정

(선택)

시각예민성, 변별 속도 측정

2) 검사환경 및 시간

- 외부의 방해와 간섭이 적은 공간 (조명, 쾌적한 방)

- 원칙적으로 검사자와 아동만 참여

- 아동이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고려(책상높이, 표면상태)

- 아동이 기록용지와 지침서, 검사도구를 볼 수 없게 하는 것이 좋다.

- 초시계 사용 주의

- 가급적 한 번에 모든 검사를 실시하되, 아동의 동기부족, 신체피로 등으로 중단할 경우에는 일주일 이내에 이어서 실시하는 것이 좋겠다.

3) 소검사 실시 순서

전문가 지침서에 기술된 소검사의 순서대로 실시한다. 아동이 특정 소검사를 거부할 경우, 검사의 순서를 바꾸어 진행하거나 보충검사로 대치할 수 있다. 단 필수검사 대신 보충검사를 사용할 경우 2개까지만 가능하다.

4) 기록용지 사용

기록용지에는 전체 소검사에서 아동의 반응에 대해 기록하도록 되어있다. 연령에 따라 검사문항의 시작점이 다르므로 주의하고, 아동이 일정문항수 이상 연속하여 틀린 답을 할 경우 중지하도록 되어있다.

5) 검사의 채점

소검사별 환산점수는 연령별로 평균 10, 표준편차 3인 표준점수이다. K-WISC-는 컴퓨터로 자동채점을 하여 환산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아동의 반응에 대한 원점수는 검사자가 채점한 후 산출된 원점수를 컴퓨터 자동채점방식에 입력하여 환산점수를 구하도록 되어있다.

6) 검사의 해석

또 언어이해지표와 지각추론지표 간의 차이는 유동성지능과 결정성지능의 차이를 보여주기도 한다. 유동성 지능이란 익숙치 않은 자극을 직면할 때 즉각적인 적응력과 융통성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지각추론지표와 관련이 있다. 지각추론지표가 언어이해지표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으면 유동성 지능이 높은 경우일 수 있다. 그리고 결정성 지능은 이전의 훈련, 교육, 문화적 자극을 통해 개발된 지적능력을 가리키며, 언어이해지표와 관련된다. 언어이해지표가 지각추론지표보다 유의하게 높은 아동은 지적자극이 많은 환경에서 자랐거나 부모가 학업성취를 강조하는 경우일 수 있는데, 어떤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물론 아동이나 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학습장애나 문화실조인 아동의 경우 언어이해지표보다 지각추론지표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곤 한다. 또 적응적이고 융통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가진 아동도 지각추론지표가 유의하게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7강 학습검사

1. 기초학습기능검사

- 대상: 유치원~ 초등학교 6학년까지의 아동

- 연령규준과 학년규준을 갖춘 개인용 학력검사

- 검사목적 : 아동의 학습수준을 동일 연령/학년의 다른 학생들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거나, 아동을 학습능력에 따라 분류 또는 반 배정을 할 때, 각 아동에 맞는 개별화 교수안을 계획하거나 그 효과성을 확인할 때, 특정 아동의 학습진전도를 평가할 때 유용

- 구성 : 정보처리, 셈하기, 읽기I(문자변별, 발음 등), 읽기II(독해력), 쓰기의 5개 소검사로 구성

- 소요시간 : 시간제한이 없는 능력검사(피검자가 충분히 생각해서 답할 수 있도록 지도)

응답시간은 셈하기 검사(30), 그 밖의 소검사(15)

총검사 소요시간은 4060, 채점 및 해석 20

- 양호도 : 공인타당도(표준화 학력진단검사와의 상관): 소검사별 .50~.80

반분 신뢰도와 문항내적합치도: 소검사별로 .80.99

- 규준집단은 학년, 성별, 지역에 따라 고르게 표집되었으나 1989년 이후 재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 이 검사의 강점

: 개인검사이므로 검사시간동안 학생 관찰 가능

: 각 소검사에 대해 연령별, 학년별 규준이 있어서, 학생의 강점과 약점 파악

- 이 검사의 단점

: 검사시간이 길어서 저학년 학생에게 힘들 수 있음

 

2. BASA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BASA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는 실제 학생을 지도하고 학생이 학습하는 상황과 같은 검사상황에서 수행행동과 결과를 평가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읽기, 쓰기, 수학 등을 측정한다.

- 김동일(2000) 제작

- 아동이 실제 학습하는 자료 자체를 평가도구로 사용하여, 교육과 평가를 동시에 실시

- 대상: 읽기, 쓰기, 수학검사는 초등학교 1~3학년

초기수학, 초기문해검사는 만4세 이상

- 목적: 아동의 읽기, 쓰기 능력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의 논의가 필요할 때, 일정 기간 동안 아동의 해당능력 진전상황을 평가할 때, 특수교육대상자나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육방법을 계획하고 효과성을 확인할 때 유용

- 체제: 기초평가(기초선 측정) + 형성평가(향상도 점검)

- 검사신뢰도 : 평정자간 합치도(객관도) 99%이상

동형검사신뢰도= .96, 공인타당도=.76~.80

3. 김아영(2003)의 학업동기검사

- 다양한 동기변인 중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실패내성을 측정

- 형식: 리커트식 6점 척도, 44문항

- 대상: 초등학생~대학생

 

4. 김동일의 ALSA 청소년 학습전략검사

척도

측정내용

학습동기

학습에 대한 선택, 잠재성, 강도, 지속성

자아효능감

학업적 과제수행에 필요한 행위를 잘 조직할 수 있는지

인지-초인지 전략

학습과 관련된 인지적전략, 정교화전략, 조직화전략의 사용여부

자원관리전략

시간, 환경, 노력, 타인의 조력을 관리하는 능력

- 특징: 검사결과를 토대로 학습전략 프로그램 연계 지도 가능

5. 박동혁의 MLST 학습전략검사(일반학생 수준)

차원

내용

성격적 차원

효능감, 자신감, 실천력

정서적 차원

우울, 짜증, 불안

동기적 차원

학습동기, 경쟁동기, 회피동기

행동적 차원

시간관리, 공부환경, 수업태도, 노트필기, 집중전략, 책읽기, 기억전략,시험준비

6. 황매향과 김영빈(2010)의 학습유형검사

- 대상 : 학습부진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특화된 검사

- 목적 : 학습부진학생이지만 이들의 학습관련 특성 중 강점과 취약점을 파악하고, 검사결과를 토대로 후속지도 방법이나 개인의 공부방법 등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집단활동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문제를 효과적으로 도와주려는 목적

 

8. 진로검사 (1)

1. 진로지도와 진로교육, 진로상담의 관계

 

2. 진로지도의 목표

자신에 관한 보다 정확한 이해 증진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증진

정보탐색 및 활용능력의 함양

- 대표적인 인터넷 사이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커리어넷(www.careernet.re.kr)

노동부의 워크넷(www.work.go.kr)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및 태도 형성

 

3. 진로결정관련 검사

. 진로미결정검사 (Career Decision Scale; CDS) : 내담자의 진로미결정 원인 탐색

. 진로정체감검사 : 목표, 흥미, 성격, 재능 등에 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상

 

3. 의사결정유형검사

· 의사결정과정에서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유형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지 측정

 

4. 진로발달관련 검사

. 진로성숙도검사의 하위유형

영역

하위검사

정의

태도

독립성

진로결정 책임을 수용하고 자기스스로 진로를 탐색·선택하려는 태도

일에 대한 태도

직업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직업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정도

계획성

자신의 진로 방향을 설정해보고 그것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보는 태도

능력

자기이해

능력, 흥미, 가치, 신체적 조건, 환경적 제약 등 개인이 진로선택에서 고려해야할 개인적 특성들에 대한 이해 정도

정보활용 및

진로결정능력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직업에 대한 지식

일반적 직업에 대해 알고있는 정도

자신이 관심을 갖는 직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있는 정도

행동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자신의 진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준비하는 정도

. 홀랜드 진로발달검사

· 이 검사에서는 진로성숙도자아의 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를 자율적, 능동적으로 계획하고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식이나 행동으로, 동일한 연령층의 학생들과 비교하여 나타나는 상대적인 진로의식 및 준비 정도라고 정의한다.

· 하위영역: 진로지향성, 직업 이해, 진로선택의 합리성, 직업적 성편견, 자기이해, 자긍심, 자율성

 

9. 진로검사 (2)

1. 홀랜드 진로탐색검사

. 홀랜드 진로탐색검사 각 유형의 특징

유형

특징

대표적인 직업

실재형

(R)

·체계적이고 신체적인 일을 좋아한다.

·자연, 야외, 기계, 건설 연관분야에서 일을 찾는다.

조종사, 운동선수,

공학자, 기술자, 군인

탐구형

(I)

·분석적이고 지적탐구를 즐긴다

·학문적 조사연구, 의학시설, 컴퓨터관련 분야에서 일을 찾는다.

과학자, 인류학자,

의사, 의료기술자,

대학교수

예술형

(A)

·예술적 자질, 자기표현의 기회를 중시한다.

·미술, 음악, 드라마 등의 창작활동이나 박물관 등에서 일을 찾는다.

화가, 무용가, 소설가,

디자이너, 무대감독

사회형

(S)

·함께 일하며 사람들을 교육시키거나 돕고, 정보를 알려주는 일을 좋아한다.

·교육, 상담, 성직, 레크리에이션 분야에서 일을 찾는다.

교사, 상담가,

사회복지사, 간호사,

종교지도자

설득형

기업형

(E)

·경제적 성취나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남을 이끌고 영향을 끼치며, 관리하는 일을 좋아한다.

·기업경영, 세일즈, 정치분야에서 일을 찾는다.

기업경영인, 정치가,

판사, 영업사원,

연출가

관습형

(C)

·정확성을 요하는 체계적 활동을 좋아한다.

·금융기관, 회계사무소와 대기업에서 일자리를 찾는다.

은행원, 경리사원,

회사원, 비서, 치과보조원

. 검사의 구성 및 실시

검사명

검사대상

하위영역

홀랜드 진로탐색검사

·고생용

직업적 성격유형찾기, 활동, 성격, 유능감, 직업능력 평정

홀랜드 적성탐색검사

대학생·성인용

6개 영역에 가치영역 추가

. 검사결과의 해석

· 홀랜드 검사를 해석할 때에는 일관도, 변별도, 긍정응답률, 진로정체감, 검사 전후의 진로코드, 최종 진로코드 등을 살펴본다.

일관도

· 검사의 진로코드가 RIASEC 육각형모형에서 자리잡고 있는 위치에 의해 결정

· 인접유형이면 일관도가 높은 것

변별도

· 내담자의 RIASEC 프로파일이 어느 정도 분화되어 있는가

· 높고 낮은 구분이 뚜렷하면 변별도가 높은 것

· 유형별 총점이 모두 낮거나 모두 높아서 변별도가 낮은 경우(프로파일이 평평한 경우)는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 내담자가 진로발달에 경험이 부족하거나 미성숙한 경우

- 높게 평평한 경우: 활기 넘치고 광범위한 흥미와 재능

- 낮게 평평한 경우: 문화적 경험의 부족, 자기거부, 정체감 혼란

긍정응답률

· 검사 전체 문항에 대한 내담자의 긍정반응의 백분율

· 긍정응답률이 낮은 경우(24%이하) : 특정직업을 선택하여 다른 가능성을 배제한 경우, 자아개념이 부정적이고 우울한 경우, 무력하고 매사에 흥미가 없는 경우, 성격적으로 편협한 경우 등

· 긍정응답률이 높은 경우(65%이상): 너무 다양한 흥미나 성격, 능력을 보이고 있어서 딱히 무엇으로 특징지을 수 없는 경우, 진로성숙도가 너무 비현실적이거나 환상적 수준에 있어서 모든 것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

진로정체감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어떤 진로유형을 선택하고 개발시켜 왔는지에 관한 안정성 정도

· 일관도, 변별도, 긍정응답률을 종합하여 진로정체감 진단

일관도와 변별도가 높고 긍정응답률이 적정수준이면 진로정체감이 잘 발달되었다고 본다.

최종진로코드

· 성격, 활동, 직업, 가치, 유능감, 가치평정 문항들의 긍정응답수의 백분율인 P점수를 RIASEC 척도별로 제시

· 전체 요약점수분포에서 가장 높은 코드와 두 번째로 높은 코드를 순서대로 기록한 것이 최종 진로코드가 됨

프로파일의 해석

· 최종진로코드를 근거로 성격, 흥미, 능력 등 피검사자의 특성 기술

진로선택

· 검사결과를 토대로 진로선택에 활용(진학할 고교유형, 학과, 취업분야 등)

2. 스트롱 검사

검사명

검사대상

하위영역

스트롱 진로탐색검사

·고생용

일반직업분류(GOT), 진로성숙도척도

스트롱 직업흥미검사

대학생·성인용

일반직업분류(GOT), 기본흥미척도(BIS), 개인특성척도(PSS)

일반직업분류(GOT) : Holland이 제시한 직업적 성격유형(RIASEC)에 근거한 것

· 그 유형 사람들이 좋아하는 활동, 적합한 직업종류, 편안한 환경, 어떤 사람들이 그들의 마음을 끄는지 등

기본흥미척도(BIS ): GOT의 하위척도로, 상관이 높은 문항들을 집단화시켜서 특정활동과 주제에 대해 25개의 세부척도를 제시한 것(특정 흥미분야에 더 집중)

개인특성척도(PSS) : 일상생활과 일의 세계에 관련된 광범위한 특성에 대해 개인이 선호하고 편안하게 느끼는 것을 측정

PSS척도

특징

업무 유형

사람과 함께 일하는 것을 좋아하는지, 자료/사물/아이디어 등을 다루는 것을 좋아하는지

학습 유형

학문적인 분야에 관심을 두는지, 실용적인 분야에 관심을 두는지

리더십 유형

타인과의 업무접촉이나 지시, 설득, 지도력을 측정하는 항목

조직화된 상황에서 조직의 일부 혹은 전체를 책임지기를 좋아하는지, 다른 사람을 지도·통솔하는 것을 좋아하는지

모험심 유형

신체적인 위험상황을 감수하거나 위기상황을 극복하는 정도

 

3. 노동부 직업선호도검사

하위검사

내용 및 특징

흥미검사

홀랜드의 직업적 성격유형이론(RIASEC)에 기초하여 개발

성격검사

성격의 5요인구조 이론에 기초하여 개발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정서적 불안정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생활사검사

과거행동을 토대로 직무상의 성패, 미래의 수행능력 예측

대인관계지향, 독립심, 야망, 학업성취, 가족친화, 예술성, 운동선호, 종교성 등 8개 구성요인

4. 직업카드분류

비표준화된 질적방법인 직업카드분류는 점수나 규준이 따로 없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직업적 흥미와 선호도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도구인데, 직업에 대한 흥미와 직업에 대한 관심 유발, 자신이 좋아하는 직업과 싫어하는 직업의 특징을 탐색하는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10. 성격검사 (1)

 

1. 성격과 관련된 용어들

인격(character)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의 가치, 도덕, 관습 등을 강조하여 한 사람의 성격을 언급할 때 사용함

기질(temperament)

생물학적인 배경을 강조하여 한 사람의 성격을 언급할 때 사용함.

개성(individuality)

다른 사람과 구분되는 한 사람의 특징적인 성격을 언급할 때 사용함.

성격(personality)

personality의 어원(語源)“persona”는 고대 그리스 시대의 연극배우들이 얼굴에 쓰던 가면(假面)을 뜻함.

개인과 개인을 구별시켜주는 개인의 심리적 구조라고 할 수 있음.

 

2. 성격이란?

- 올포트(Allport) : “개인 내부에 있는, 한 사람의 특징적인 행동과 생각을 결정해주는 정신신체적 체제의 역동적 조직

- 라자루스(Lazarus)개인으로 하여금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하게 하는 개인내의 제반 구조의 고정적 조직체

- 구쓰리(Guthrie): “안정되고 변화에 저항적인 것으로서 사회적 가치를 지니는 습관의 체제

- 성격이란 피상적인 사회적 이미지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개인을 구별시켜주는 개인의 심리적 구조로서 보다 복잡한 개념임을 알 수 있다.

 

 

3. 성격의 특징

. 성격은 겉으로 드러난 각종 사인(sign)을 관찰하여 그것으로부터 추론하여 추상화한 것으로 우리 안에 있는 어떤 가설적인 구조 또는 조직체이다.

. 성격은 개인차가 있다.

. 한 사람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성장사, 생활사, 발달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성격은 고정된 조직체이다.

 

4. 성격검사의 개발

. 성격검사란?

개인의 독특한 행동 및 사고유형을 예언하거나 기술해주는 도구이다. 성격의 개념에는 성장과정에서 획득된 개인의 동기수준, 정서적 반응성, 태도, 신념, 도덕적 가치 등의 요인이 포함된다. 성격에 있어서의 개인차는 능력의 차이에서처럼 수량적 차원에서 판단하는 우열의 차원이 아니라 한 개인의 고유성이라는 질적인 차원에서 해석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성격검사의 결과는 좋다’, ‘나쁘다라는 가치판단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개인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는 관점에서 활용되어야 한다.

. 성격검사의 개발방법

아나스타시(Anastasi, 1988)가 구분한 성격검사의 개발방법 4종류

논리적- 내용적 방법

· ‘이론이나 모델을 바탕으로 문항을 구성하는 연역적 방법

· 평가하려는 심리 특성과 관련된 이론의 내용에서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표현

· : 스트롱 흥미검사 중 일반직업분류(GOT)

· 제한점: 개인이 자기 성격특성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고, 사실그대로 응답할 것이라고 가정함.

이론적 방법

· 특정 성격이론이 제시하는 심리적 구인을 측정하기 위해 문항을 개발

· 문항들을 관련 소검사로 분류한 후 검사결과가 이론과 일치하기 위한 구인타당도 산출

· : Jung의 성격유형이론에 바탕을 둔 성격유형검사(MBTI)

준거집단 방법

· 실제 임상자료를 바탕으로 검사를 개발하는 경험적 방법

· 개발방법 예시: 정신분열증으로 진단된 집단의 사람들에게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성격특성을 표집하고, 이를 준거로 하여 예비문항 구성 정신분열증 집단과 정상집단(통제집단)의 사람들에게 실시하여 두 집단을 구별할 수 있는 문항 선정

· : 다면적 인성검사(MMPI), KPI인성검사

요인분석 방법

· 요인분석을 이용한 경험적 방법

(* 요인분석이란, 문항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하여 문항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요인(Factor)으로 묶기 위해 사용하는 통계기법이다.)

· 1: Cattell16성격요인검사(16PF) : 인간의 성격특성을 기술하는 수천 개의 형용사 목록으로부터 문항을 개발하고 이 중 171개 문항을 요인분석하여 검사 구성

· 2: NEO-PI검사 : 다양한 성격검사들을 요인분석하여 주요 성격영역 5개를 발견한 후(Big5), 5개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

 

 

5. 캘리포니아 성격검사

· 미국에서 개발된 캘리포니아 성격검사의 국내판은 KPI (Korea Psychological Inventory)이다.

· 적응적인(심리적으로 건강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며, 대학생 및 성인용, ·고생용의 두 종류가 있다.

· 목적: 전형적인 행동유형과 태도를 측정함으로써 성격, 대인관계, 문제해결양상을 이해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 구성: 4개 요인 10개 하위척도로 구성

요인

하위척도

대인관계

주도성, 사교성, 자신감

사회적 성숙도

책임감, 자기통제성, 호감성, 동조성

성취 성향

성취욕구

흥미 상태

유연성, 여향성

· 표준점수(T점수) : 평균 50, 표준편차 10인 프로파일

· 높은 점수=심리적 건강함, 낮은점수=심리적 어려움을 의미한다.

단 여향성 척도(F/M척도)는 예외이다.

· KPI의 소척도별 신뢰도 Cronbach α = .41~.78

 

6. 16성격요인검사 (16PF)

· 16PF를 개발한 커텔(Cattell), 만약 인간에게 특성이 존재한다면, 언어 속에 단어로서 표현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하여 사전을 통해 인간에게 적용되는 모든 형용사 목록을 살펴서 4,500개의 성격특성 목록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중 인간특성을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171개 단어목록을 선정하여, 대학생들이 단어를 아는 정도를 평정하고, 단어들을 요인분석하여 16개 요인을 발견하였다.

· 국내판 다요인 인성검사의 구성 및 검사결과지

타당도 척도

무작위 반응 척도, 동기왜곡 척도

성격 척도(16)

온정성, 지능, 자아강도, 지배성, 정열성, 도덕성, 대담성, 민감성, 불신감, 공상성, 실리성, 자책성, 진보성, 자기결정성, 자기통제성, 불안감

· 검사의 특징 : 주어진 문항에 대하여 아주 그렇다’~‘전혀 아니다의 리커트 5점 척도로 응답

· 이 검사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 척도와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즉 일반인과 임상환자의 변별이 가능한 검사라고 할 수 있다.

· 이 검사는 피검사자의 성격을 이해하고, 임상적 진단이나 직업적성의 진단을 내릴 목적으로도 활용되며, 연구목적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3. NEO 성격검사, Big5 성격검사

· Big5 성격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검사이다.

성격의 5요인

하위요인 (*검사에 따라 다소 다름)

N: 심리적 민감성(신경증)

불안, 분노·적개심, 우울, 자의식, 충동성, 스트레스 취약성

E: 외향성

온정성, 군거성, 주장성, 활동성, 흥분 추구, 정적 정서

O: 지적 개방성

환상, 심미성, 감정, 활동, 사고, 가치

A: 친화성

신뢰성, 솔직성, 이타성, 순종성, 겸손, 공감

C: 성실성

유능성, 질서, 충실성, 성취추구, 자제성, 신중성

4. 에니어그램

사람들의 다양한 행동양식을 이해하여 개인의 심리특성과 장단점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검사. 에니어그램의 주요개념으로는 기본성격유형, 힘의 중심, 날개, 통합과 퇴화방향 등이 있다.

 

11. 성격검사 (2)

1. MBTI 성격유형검사(Myers-Briggs Type Indicator)

- 자기이해 목적의 성격검사이다.

- 마이어스(Myers)와 브리그스(Briggs)가 문헌 및 여러 사람들을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C.Jung)의 성격유형이론과 접목하여 개발하였고, 성격유형론의 입장으로 성격을 설명하고 있다.

2. 성격유형론

- 무작위로 보이는 인간행동의 질서와 일관된 경향을 찾아, 인간행동의 다양성을 개인의 인식과 판단에 대한 선호방식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융은 성격을 외향성과 내향성, 신경증적 성격으로 유형화하였다. 이 중 극단적 외향성은 히스테리와, 극단적 내향성은 정신쇠약증과 관련된다고 하였다.

- 성격유형론을 꼬리표 달기(labeling)나 낙인찍기로 오해해서는 안된다.

- 성격유형론의 특성

· 각 성격유형은 그 가치에 있어서 동등하며 상황에 따라 더 쉽게 기능하는 유형이 있다.

· 성격유형은 하나의 틀이면서 동시에 역동적인 과정적 속성을 갖는다.

· 성격유형은 선천적이면서 또한 후천적으로 발달하는 것이다.

· 성격유형은 한 인간이 맺는 관계의 맥락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맥락을 통해 진정한 성격유형이 형성되기도 한다.

3 MBTI의 구성

MBTI는 에너지 방향, 인식기능, 판단기능, 생활양식을 설명하는 4개축의 양 방향으로 총 8개의 선호지표를 갖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 및 그림과 같다.

그리고 4개 축의 양방향 선호지표의 조합에 따라 총 16개의 성격유형으로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고 있다. 성격유형은 ISTJ, ISTP 등으로 불린다.

4. MBTI 검사 실시 방법

. 검사종류 : 대상에 따라 MBTI(성인용), MMTIC(어린이 및 청소년용)이 있다.

. 검사의 채점

MBTI검사는 자가채점용(Form G)과 컴퓨터 자동채점용(Form K)이 있다.

. 검사의 활용

MBTI 검사결과는 피검사자가 자신의 성격을 이해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융통성있게 행동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데에도 유용하다. 그 밖에 진로탐색, 조직내 의사소통 과정을 이해하는데에도 널리 활용되며, 상담에서는 초기 내담자를 이해하는데에 유용하다.

, 모든 검사가 그러하듯이 MBTI 검사결과 얻어진 성격유형으로 사람을 범주화하거나 명명하는데에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12. 부적응검사

1. 한국판 결혼만족도검사

- 미국의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MSI)를 기초로 하여, 권정혜와 채규만(2001)이 우리나라 부부상담 사례를 고려하여 한국판 검사로 개발

- 부부관계 내 공격행동배우자 가족과의 갈등척도 추가

- 이 검사의 척도는 타당도척도 2, 전반적인 불만적을 측정하는 척도 1, 세부적인불만적 척도 11, 문항수는 총 160문항이다.

척도명

내용

타당성척도

비일관적 반응

얼마나 일관적인 방식으로 응답했는가를 평가

관습적 반응

부부관계를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제시하고 왜곡하려는 경향성

전반적

불만족

전반적 불만족

결혼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불만족인 분위기를 말해주는 지표

세부적인

불만족

척도

정서적 의사소통 불만족

배우자에게 느끼는 애정, 정서적인 친밀성의 결여 정도

문제해결 의사소통 불만족

부부간의 의견 차이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상의 문제나 비효율성

공격행동

배우자의 언어적 위협과 신체적인 공격행동 수준

공유시간 갈등

배우자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정도 및 동지애의 정도

경제적 갈등

가계관리와 관련된 부부간의 불일치 정도

성적 불만족

성관계나 관련된 성적 활동의 양과 질에 대한 불만족

비관습적 성역할 태도

성역할, 가사활동, 자녀양육 등에 대한 비관습적·개방적 태도

원가족 문제

불행한 어린 시절, 가족 또는 부모의 결혼생활 분열 등 원가족 내의 갈등 반영

배우자 가족과의 갈등

배우자 가족으로 인한 부부갈등 정도

자녀 불만족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질 및 자녀의 정서·행동적 상태에 대한 걱정

자녀양육 갈등

실제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부부간에 겪는 갈등 수준

2.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

부모-자녀관계에서 오는 양육스트레스 및 자녀들의 행동·정서문제 발견하는데에 유용하다. 검사는 크게 부모영역과 아동영역으로 구성되며, 하위척도는 아래 표와 같다.

 

3. 가계도(genogram)작성 표시

 

4. 청소년행동평가척도(ABAS)

- 인터넷중독, 청소년 성매매, 집단괴롭힘 등 청소년기의 부적응 문제를 평가하는데에 유용하다.

- 응답자에 따라 청소년용(ABAS-S), 교사용(ABAS-T), 부모용(ABAS-P)의 세 종류가 있다. 청소년용은 자기보고형식이고, 교사용과 부모용은 관찰자보고형식이다.

척도구분

하위 척도

타당도 척도

비일관성, 긍정반응경향, 부정반응경향

문제 척도

인터넷중독, 섭식, 가족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 학업/주의, 진로, 공격행동, 지위비행, 범죄성비행, 충동/과다행동

중요문항

[설명] 한국문화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청소년문제나 사회적이슈가 되는 문제 (집단괴롭힘 피해, 학교중퇴, 청소년 성매매, 가출 등)

5. 한국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

- 의존성 및 금단증상, 부정적 결과, 내성의 3개 요인을 묻는 20문항으로 구성된다.

- 인터넷중독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국가에서도 인터넷중독대응센터를 만들었다. 인터넷사이트 www.iapc.or.kr을 통해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온라인게임 중독 진단척도,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인터넷 이용습관 진단검사를 온라인으로 무료 이용할 수 있다.

6.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 대인관계에의 문제 특성을 파악하는데에 유용한 검사

- 고등학생부터 성인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99문항으로 구성된다.

 

13. 정신건강검사 (1)

1. 정신건강 평가에 대해 알아야하는 이유

- 우리나라 정신질환 평생유병율은 전체인구의 27.6%(보건복지부, 2011)이 달한다.

- 불안장애를 경험하는 사람이 17%로 가장 많고, 약물오남용 11%, 정서장애가 11% 순이다. 이것만 보아도 정신질환의 유병율이 전염병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 정신건강 평가는 위기개입, 상담과 자문, 의뢰 등의 의사결정을 위해 교육자가 갖추어야할 전문성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2. 정신장애진단

· DSM-의 다축적 진단체계(muliaxial diagnostic system)

내용

문제유형

사례1

사례2

임상적 증후군

불안장애, 기분장애, 섭식장애 등

대인공포증

알코올중독

성격장애

오랫동안 지속된 성격특성으로 인한 적응상의 어려움

회피성 성격

반사회성 성격

신체적 질병

신체장애나 신체증상

없음

간경화증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사건

가족, 직업, 경제문제 등

최근 취직

아내사망

현재의 기능수준

0~100

60

30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정신장애 분류체계로 DSM 체계가 있다. 현재까지 DSM 4판인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가 사용되고 있고, 2013년부터는 DSM-가 사용될 예정이다.

DSM-의 분류체계는 정신장애의 원인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이상행동의 형태나 증상군으로 장애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개념으로 진단조건, 단서, 배제조건 등이 포함된다.

3. 자살의 이해

. 자살 : 행동을 감행한 당사자가 자신이 살게 될지 죽게 될지 모르는 채 짧은 기간에 행한 의도적인 자해행위라고 보았다.

. 자살 실태 : 우리나라 사람들의 연령대별 사망원인을 조사한 결과, 10~30대의 사망원인 1, 40~50대 사망원인 2위가 자살로 조사되었다(통계청, 2010). 60대 이상에서는 자살의 사망원인이 다소 낮지만, 자살률이 적어서가 아니라 그 연령대의 더 많은 건강상의 사망원인이 있기 때문이지, 60대 이상의 자살률도 낮지 않다.

. 자살위기자의 특징

인지

자살과 구제되기를 바라는 양가감정

정서

절망감, 무기력감, 외로움

상황

심리적 고통, 좌절된 욕구

동기

문제해결

. 자살의 원인

자살에는 기질, 정서,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대표적으로 주어진 상황을 피할 수 없고, 견딜 수 없고, 멈출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자살위기상담의 목적은, 이 중 하나 이상 가능하다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 자살에 대해 질문하기

자살 관련 질문에 대해, 내담자가 그렇다고 답한다면, 이러한 생각이 얼마나 진지한지, 오래 지속되었는지, 구체적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자살위험을 평가할 때, 차분하면서도 직접적으로 질문하라. 상담자가 이런 자세를 취함으로써 내담자는 자살 등 아무리 큰 문제를 말하더라도 수용될 수 있구나하고 느낄 수 있다.

. 자살위험평가

자살위기

체크리스트 체크

자살생각

여부

자살계획

여부

자살기도

여부

자살금지

서약서 거부

정신장애여부

(1) 자살생각

자살생각을 직접 질문하여, 자살생각의 정도를 탐색한다.

(2) 자살계획

자살에 대한 계획 정도, 위험성과 긴박성을 파악한다. 성공률이 높고 구체적인 자살계획을 갖고 있다면 즉각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럴 때는 가족에게 알리고, 입원 또는 정신과적 평가와 치료 등을 받도록 의뢰 및 연계하여야 한다.

(3) 자살시도 경험(자살력)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지, 있다면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하였는지 질문한다. 자살한 사람의 30~40%는 이전에도 자살시도를 한 사람들이다(Maris, 1992). 자살시도를 했던 사람의 10%는 결국 자살에 성공한다 (Murphy, 1985). 그만큼 자살시도 경험에 대한 탐색과 대처는 중요하다. 과거 자살 시도를 했을 때의 상황이 어땠는지, 자살시도를 실패했을 때의 감정과 생각은 어떠했는지를 탐색한다. 그리고 가족이나 친구 중 자살한 사람이 있는지 묻는다. 만약 있다면, 자살한 사람과 어떤 관계였는지, 그 사람의 자살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그 사람의 자살시기 등을 질문한다. 특히 유의미한 사람의 기일에 자살충동을 더 느끼는 경우가 있다. 자살주변 생존자에게도 애도교육과 상담이 필요하다.

(4) 심리적 증상

자살생각이나 시도를 한다고 응답한 내담자의 정신장애나 심리적 고통 여부를 파악한다. 종종 심리적 증상이 개선되는 과정에 자살위험이 높아지니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자살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라면 항우울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5) 환경적 스트레스

내담자의 환경을 점검하고 환경적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한다.

· 환경 점검

- 왜 특정시기에 자살충동을 느끼는가?

- 자살충동을 촉진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 내담자가 자살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점이 무엇인가?

·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검

- 문제의 해결가능성을 판단할 줄 아는가?

- 죽고 싶다는 것과 문제를 피하고 싶다는 것을 구분할 줄 아는가?

: ‘스트레스 상황을 피하는 방법은 자살밖에 없어.’(터널관점)

· 인생의 중요한 변화 여부

- 이혼, 가족의 죽음, 질병, 실직, 진학실패, 부담스런 일을 맡음, 승진 등

- 인간관계, 중요한 역할, , 돈의 상실 등

- Life Events Scale, 생활경험조사 질문지 활용

- 때로는 수년 전의 경험을 다루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6) 유용한 자원

내담자가 자살에 대한 생각이나 시도 시에 도와줄 사람이 있는지 파악하고 있다면 연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 사회적 지지체계에 대한 점검

- 주변의 가족이나 도와줄 사람 있는지 탐색

- 가족 연락처 확보, 자살금지서약서 작성

그리고 내담자 자신의 내적 자원이 있는지, 즉 자살하고싶은 상황에서 자살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는 내적인 힘에 대해 점검한다.

- 과거 비슷한 상황에서 무엇이 도움이 되었나?

- 무엇이 내담자를 자살하지 않도록 해주었는가? (미래계획, 사람 등)

- 24시간 위기전화상담(전화 1577-0199), 긴급상담센터 등

. 자살척도

대표적으로 Beck의 자살척도(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가 있다.

- 구성: 3점척도, 19문항, 총점범위 0~38

- Cronbach α=.92

- 타당도(자기도피, 우울, 절망, 자살생각척도와의 상관)=.45~.69

- 문항

 

14. 정신건강검사 (2)

1. MMPI-2(다면적 인성검사)

. MMPI의 개발

- 1943년 미네소타 대학병원에서 개발

- 효율적이고 신뢰로운 정신과적 진단이 가능하고, 진단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필요로부터 이 검사가 개발

- MMPI는 경험적인 문항 선정 방법으로 개발된 최초의 성격검사이기도 하다.

- 검사의 응답방법은 그렇다또는 아니다중 하나를 선택하는 강제선택형이며,응답자의 수검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타당도 척도를 포함하고 있다.

- 10개의 임상척도와 4개의 타당도척도를 합하여 표준척도라고 부른다.

. MMPI-2의 개발

- MMPI-1의 척도와 정보를 보강하면서도 원판 MMPI와의 연속성을 유지할 것을 개정방향으로 정하고, 수년에 걸쳐 문항향상, 규준설정, 타당도척도 보강, 보충척도 개발 등의 과정을 거쳐, 1989, MMPI-2가 개발되었다. MMPI-2의 문항수는 총 567문항이다.

- 한국판은 2005년 완성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판 MMPI-2MMPI-A(청소년용)가 사용되고 있다.

2. MMPI-2 척도의 이해

. 타당도 척도

척도명

약어

목적

무응답

?

일관성: 충실하게 응답했는지?

무선반응 비일관성

VRIN

고정반응 비일관성

TRIN

비전형

F

Faking 'Bad': 자신을 나쁜 방향으로 과장해서 응답했는지?

비전형(후반부)

F(B)

비전형(정신병리)

F(P)

증상타당도

FBS

부인

L

Faking 'Good': 자신을 좋은 방향으로 과장해서, 방어적으로 응답했는지?

(*K척도 점수를 교정점수로 사용)

교정

K

과장된 자기제시

S

. 임상 척도

 

척도명

약어

문항내용 및 특성

1

건강염려증

Hs

모호하고 신체전반에 걸친 기능이상과 이에 대한 집착

2

우울증

D

검사당시 느끼는 비관, 슬픔의 정도 등 기분상태

3

히스테리

Hy

스트레스상황에서 신체증상, 정신기능저하 호소 등

4

반사회성

Pd

가정불화, 권위불화, 소외, 사회적침착성, 분노, 충동 등

5

남성성-여성성

Mf

생물학적인 성과 반대되는 성향

6

편집증

Pa

피해의식, 의심과 경계심, 적개심 등

7

강박증

Pt

불안하고 걱정이 많음, 자의식, 완벽성향 등

8

정신분열증

Sc

사회적·정서적 소외, 비논리적인 생각 등

9

경조증

Ma

과잉활동, 자신만만,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 등

0

내향성

Si

사회적 불편감, 무흥미, 수줍음, 자기비하 등

3. MMPI-2 검사의 실시와 채점

. 검사의 실시

· 검사자 조건: MMPI-2는 실시와 채점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적절한 해석을 위해서는 심리측정 및 임상분야의 전문지식과 검사 윤리 준수가 필요하다.

· 피검사자 조건: MMPI-2 문항을 이해하고 제대로 응답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6학년 이상의 읽기수준이 요구되며, 검사수행이 가능한 신체적·정서적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 MMPI-219세 이상, MMPI-A13~18세를 대상으로 한다. 단 피검사자의 지적 수준, 상황 등을 고려하여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

. 채점

· 방법: 피검사자가 답안지에 표기한 내용을 검사자가 컴퓨터에 입력하여, 컴퓨터 자동채점 프로그램으로 채점한다.

· 이유: 채점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고 정확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추가적인 여러 척도의 점수를 산출하는데에 컴퓨터 자동채점 프로그램에 유용하다.

. 표준점수

· 타당도척도, 임상척도 중 척도 5(남성성-여성성)와 척도0(내향성)은 선형T점수, 일반적으로 T점수라고 하는 점수를 사용한다 (T=50이면 상위50%, T=60이면 상위16%, T=70이면 상위2.5%의 위치를 의미한다.)

· cut-off점수 : (동형)T=65(상위8%)을 기준으로 하되,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정신과정 진단을 한다.

 

4. 투사적 검사

. 로샤 잉크반점검사

- 일부는 흑백이고 일부는 컬러이며 총 10장으로 구성

- 로샤 해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높지 않은 편

- 목적: 다른 진단용 검사의 보충검사로서 활용됨

. 주제통각검사 (TAT)

· Murray의 욕구이론에 기초하여 MorganMurray(1935)가 개발

· 검사도구: 31개의 흑백사진 카드로 구성되며, 피검사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이 중 20장의 카드를 선택하여 제시

cf. 아동용 회화통각검사 : 아동기에 주로 나타나는 심리적 문제가 쉽게 투사될 수 있는 그림, 동물 주인공 등을 활용하여, 주요 인물이나 충동에 대한 아동의 대응방식을 파악함, Bellak(1976)이 개발.

4. 문장완성검사(SCT)

· 미완성된 문장을 피검사자가 완성하도록 하는 검사형식으로, 다른 투사검사에 비해 보다 의식된 수준의 심리적 현상들이 반응되는 경향이 있다.

· 문장완성검사의 장점

- /아니오 식의 답변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대로 답할 수 있다

- 검사목적을 피검사자가 의식하기 어려워 비교적 솔직한 답을 얻을 수 있다

- 검사 실시·해석이 쉽다

- 집단으로 실시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 문장완성검사의 단점

- 피검사자가 지능, 언어표현력이 낮을 때, 검사에 비협조적일 때는 검사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5. -나무-사람검사

· 피검사자에게 일정한 과제를 부여하고 거기에 대해 그림을 그리게하는 과제그림검사의 한 종류로, , 나무, 인물에 대한 그림을 통해 성격을 진단하는 투사적 검사법

· 해석

- 전체적 평가(그림의 전체적 인상·조화여부·구조 등), 구조적 평가(그려나가는 순서, 그림 위치와 크기, 생략 등), 내용분석(그림의 이상한 부분, 강조된 부분의 의미 분석) 등 해석방법 다양

- 다른 심리검사의 결과, 질문에 대한 피검사자의 답, 행동과 검사태도 관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6. 초기아동기억

· 아들러(A. Adler) : 초기경험의 중요성

· 내담자가 기억하는 최초의 사건을 회상하도록 하는 기법

· 방법: 긴장이완 후, 8세이전 어린 시절 있었던 일을 자세하게 말하도록 하고 세부적인 것들을 질문을 통해 채워나감

 

15. 정신건강검사 (3)

1. Beck의 우울검사

·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 형식: 5학년이상 읽기수준, 21개 문항, 0~3점의 4점척도

· 응답방법: “지난 한 주동안 자신이 어떻게 느꼈는지증상의 심한 정도 표시

· 특징: 검사실시와 채점 간편

자기보고식 우울검사 중 신뢰도, 타당도, 효율성이 높음

상황적 요인, 기분변화에 민감한 검사임

· 결과활용: 내담자 우울 진단, 상담 중 변화 모니터링, 상담효과 점검

 

· 해석: cut-off 점수

0~9

10~16

17~29

30~63

우울수준이 낮음

경미한 우울수준

중간정도의 우울수준

심한 우울수준

- cut-off점수를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으로 보되,

증상의 기간, 원인 등 더많은 정보를 토대로 우울 정도를 판단할 것

- 일주일 간격으로 2회 실시한 점수가 모두 25점이상이면, 의뢰 권장

 

2. 아동용 우울검사 (CDI)

· Kovacs(1992)가 개발, 8~17세 아동 및 청소년 대상, 27개문항

· 하위요인: 부정적 기분, 대인관계 문제, 무능감, 무쾌감, 부정적 자기효능감

(*무쾌감: 어떤 행동에 대해서도 즐거움이 느껴지지 않음

 

3. 해밀턴 우울검사

· BDI와 달리, 우울증상의 심각정도와 빈도를 동시에 평가함

 

4. 불안

. 상태-특성 불안검사

·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 구성: 2개 척도, 20문항, 4점척도

· 상태불안(S불안): ‘지금느끼는 우려, 긴장, 신경과민, 걱정 등의 느낌

시간과 환경에 따라 변화

· 특성불안(T불안): 일상생활에서 전반적으로 느끼는불안 정도

내적일관성이 높고 시간흐름에 비교적 안정적

불안 외에, 삶에 대한 전반적인 불만족 정도도 알 수 있음

· 검사실시 및 채점 간편, 단 역채점문항의 채점 주의

· STAI 아동용 검사(STAIC): 4, 5, 6학년 규준, 읽기수준이 높은 편

 

. Beck의 불안검사

· Beck's Anxiety Inventory; BAI

· 구성: 21개 문항, 4점척도

· 내담자의 진전도 모니터링, 불안장애의 유형 구별에 유용

 

5. 상태-특성 분노검사

·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 분노에 대한 2개 척도

- 상태분노: 어떤 한 순간의 분노

- 특성분노: 분노 잠재성

기질분노 : 다양한 상황에서 쉽게 화냄

반응적 분노 : 그를 화나게 하는 특정 상황에서 화냄

6. 알코올 남용

. 알코올 의존

- 우리나라 알코올남용+알코올의존의 평생유병율: 남성의 경우 20.7%

- 면담법, 자기점검법, 생리적지표(혈중알코올농도 등) 등으로 평가

- 내성, 금단증상등

. 알코올남용

· 의존 규준에는 미치지 않지만 술과 관련된 문제행동들

[] 직장이나 가정에서 자기역할을 못함, 위험한 상황에서(환각 등) 계속 음주, 계속해서 법적, 사회적, 대인관계적 문제를 일으킴에도 음주 지속

. CAGE질문지

C

cut down(금주)

술을 끊을 필요가 있다고 느끼나?

A

annoyed(불편감)

술마시는 것에 대해 비난을 들어서 성가시다고 느낀 적이 있나?

G

guilty(죄책감)

술마시는 것에 대해 죄책감이 드나?

E

eye-opener(낮술)

낮술 또는 일어나자마자 술을 마시나?

7.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비교 가능한 발달수준에 있는 일반아동에게서 관찰되는 행위와 비교했을 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의 지속적인 패턴이 더 빈번하고 심각한 상황으로 두 가지 이상의 환경에서 나타나고, 기능적인 문제를 일으킴

8. ADHD 진단 과정

· 놀이관찰 및 면담 : 증상, 역할수행정도 평가

· 부모면담 : 병력, 행동 평가

· 심리검사 : 심리상태와 주의력 평가

CBCLADHD문항, 반데르빌트 평정척도, 코너스 평정척도 등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2022.12.24 6692 0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2023.09.20 3008 0
공지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4 file 게시판관리 2024.03.11 2367 3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 청소년교육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23 게시판관리 2014.02.10 12011 0
342 질문 청교과에서 평생교육사자격증 이수 하는 선배님 계세여? 1 도도와주스 2025.05.09 53 0
341 일반 [완료] 혹시 Koko님 계세요? ^^ 2 데미안 2025.04.24 89 2
340 일반 [2025학년도 4월 학점과정] 수강생 모집 안내 file 플라워피그 2025.03.22 76 0
339 질문 사회복지행정론 중간과제물 좀 알려주세요. 청교청지청상 2025.03.21 108 0
338 질문 학교교육과청소년 과제관련 문의ㅠㅠ도와주세요ㅠㅠ 3 file 마요미 2025.03.20 149 0
337 3학년 청소년 지도 방법론 5강 청소년 지도매체 1 file 호수 2025.03.18 50 0
336 3학년 청소년지도 방법론 4강 청소년지도 file 호수 2025.03.18 53 0
335 3학년 청소년지도 방법론 3강 청소년지도자 file 호수 2025.03.18 42 0
334 3학년 청소년 지도 방법론 2강 청소년지도방법의 이론적 토대 1 file 호수 2025.03.18 47 0
333 3학년 청소년지도 방법론 1강 청소년 지도방법의 의의와 원리 2 file 호수 2025.03.18 95 2
332 질문 사회조사방법론 과제 OT 들으신 분? 도와주세요! 가치 2025.03.17 39 0
331 3학년 2024년 32회 (8월 24일 시행) 청소년지도사 2급 1차 시험 기출문제 1 file 호수 2025.03.14 50 0
330 3학년 2024년 제32회 청소년지도사 3급 청소년지도방법론 기출문제 2 file 호수 2025.03.14 56 0
329 3학년 2023년 제31회 청소년지도사 2급 1교시 청소년지도방법론 기출문제 file 호수 2025.03.14 40 0
328 3학년 2022년 제30회 청소년지도사 2급 1교시 기출문제 file 호수 2025.03.14 36 0
327 3학년 2023년 제31회 청소년지도사 3급 1교시 청소년지도방법론 기출문제 file 호수 2025.03.13 30 0
326 3학년 2022년 제30회 청소년지도사 3급 1교시 청소년지도 방법론 기출문제 file 호수 2025.03.13 55 0
325 질문 청소년리더십개발 교재가 있나요? 1 이쁜보석 2025.03.07 98 0
324 일반 [강원지역대학 - 춘천] 2025학년도 1학기 출석수업 폐강 및 일정 변경 교과목 안내 플라워피그 2025.03.05 41 0
323 일반 [강릉시학습관] 2025학년도 1학기 출석수업 폐강 및 일정 변경 교과목 안내 플라워피그 2025.03.05 42 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