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과
국어국문학과 입학생, 재학생, 교수, 조교, 예비입학생분들을 위한 게시판입니다.
조회 수 764 추천 수 2 댓글 5

국어학개론 주요 단어 정리

 

 

국어학개론은 국어국문학을 전공하면서 계속적으로 활용될 배경지식이라 매우 중요한 과목이면서 무척 어려운 과목입니다. 그런데 국어학개론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단어가 생소하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사전식 순서로 주요단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수시로 참고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

 

구 분 내 용
가변어 문장 안에서 형태가 변하는 단어 󰃚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감탄사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거나 응답을 나타내는 품사
격(格, case) 명사가 문장 중의 다른 단어와 가지는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범주. 격조사가 주로 담당
격음(激音) 성대의 상태에 의해 구분되는 부류로는 평음, 격음, 경음이 있는데, 격음은 폐쇄음, 파찰음을 발음할 때 성문 아래에서 공기를 압축했다가 많이 방출하면서 내는 소리. ㅊ, ㅋ, ㅌ, ㅍ
구개(口蓋) 말 그대로 하면 입의 덮개라는 뜻. 목젖에서부터 윗잇몸까지 쭉 이어지는 부분이 입천장, 즉 구개. 잎천장은 가운데 높은 부분을 경계로 그 앞쪽은 딱딱하고 뒤쪽은 여린데, 딱딱한 앞쪽 부분을 경구개(硬口蓋), 여린 뒤쪽 부분을 연구개(軟口蓋)
경구개음(硬口蓋音) 설면(舌面)이 경구개에 닿아서 내는 소리󰃚 [ㅈ, ㅊ, ㅉ]
경음(硬音)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을 발음할 때 성문 아래에서 공기를 압축했다가 조금만 방출하면서 내는 소리. ㄲ, ㄸ, ㅃ, ㅉ, ㅉ
계통론 한 언어의 기원, 즉 족보를 캐는 분야. 우리나라는 알타이어족에 해당
곡용(曲用) 체언의 굴절. 체언에 붙는 어미를 곡용어미
공시론 언어를 어떤 특정 시기에 한정시켜 연구하는 방법. 공시언어학, 정태언어학
관계언(=걸림씨) 자립성이 있는 말 뒤에서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해 주는 단어. 󰃚 조사
관형사 체언 앞에 놓여 그 체언의 내용을 ‘어떠한’의 방식으로 제한하는 품사
관형사형어미 관형절로 바꾸는 ‘-는, -(으)ㄴ, -(DM)ㄹ, -던’과 같은 어미
구(句) 단어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어보다는 크지만 주어와 서술어가 갖추어진 구성이 아닌 언어형식. 명사구, 동사구, 부사구 등
구개(口蓋) 말 그대로 풀이하면 입의 덮개, 즉 입천장을 말함. 목젖에서부터 윗잇몸까지 쭉 이어지는 입천장 부분. 전설(前舌. 혀의 앞부분)쪽이 딱딱한 경구개, 후설(後舌. 혀의 뒷부분)쪽이 부드러운 연구개
구개음(口蓋音) 구개음은 설면(舌面)이 경구개에 가 닿아서 내는 소리이다. 따라서 구개음의 ‘구개’는 경구개의 의미를 가지는 셈이다. ‘ㅈ, ㅊ, ㅉ’이 여기에 속한다.
구개음화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뒤에 오는 모음 ‘ㅣ’나 반모음 ‘j’의 영향을 받아 구개음으로 바뀌는 현상. 주로 [ㄷ]과 [ㅌ]이 이들 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 구개음화는 뒤에 오는 음이 앞의 음에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역행동화, 두 음 사이에 다른 음이 기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접동화. 또한 동화되는 자음이 구개음이 되어서 ‘ㅣ’모음이나 반모음 ‘j’에 가까워지기는 했지만 이들 모음으로 바뀐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부분동화이다.󰃚 해돋이 ⇨ 해도지, 밭이 ⇨ 바치, 같이 ⇨ 가치, 굳이 ⇨ 구지방언 : 길 ⇨ 질, 기름 ⇨ 지름, 겨누다 ⇨ 저누다
구 분 내 용
구상(具象)명사↔ 추상(抽象)명사 구체적인 자연의 사물을 가리키는 명사 󰃚 바위, 강, 산, 노을, 천둥, 번개, 나무, 연필
구성(構成) 형태소 → 다너 → 구 → 절→ 문장과 같은 층위. 이처럼 보다 작은 문법단위들이 모여 이루어진 보다 큰 문법단위를 구성
구성요소 구성에 참여한 보다 작은 문법단위들
굴절(屈折) 어간에 여러 어미가 결합하는 현상, 즉 한 단어의 어미변화를 굴절. 체언의 굴절을 곡용(曲用), 용언의 굴절을 활용(活用), 체언에 붙는 어미를 곡용어미, 용언에 붙는 어미를 활용어미
굴절접사(屈折接辭:inflectional affix) 한 단어의 어미 변화, 즉 굴절을 담당하는 접사. 흔히 어미(語尾:ending)라 함󰃚 ‘뛴다, 뛰고, 뛰니, 뛰어라’의 ‘-ㄴ다, -고, -니, -어라’
기능 한 단어가 문장에서 어떤 일을 하느냐 하는 것
기본형 하나의 형태소에 대해 여러 이형태가 있을 때, 여러 이형태 중에서 기본이 되는 이형태를 기본형(基本形:basic allomorph) 또는 대표형이라 한다.

 

구 분 내 용
내포(內包)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의 구성요소로, 그 문장성분의 하나로 포함되는 현상.
내포문 어떤 문장이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안겨 있을 때 그 문장을 내포문, 내포문을 안고 있는 문장을 모문(母文), 명사절, 관형사절, 부사절

 

구분 내용
   
다의어(多義語, polysemant) 서로 관련성이 있는 둘 이상의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 먹다 : 밥을 먹다, 담배를 먹다, 마음을 먹다, 나이를 먹다, 겁을 먹다, 욕을 먹다, 뇌물을 먹다, 기름을 먹다, 골을 먹다, 귀를 먹다, 돈을 먹다
단어 의미를 지닌 최소의 자립 형식, 즉 다른 것의 도움을 받지 않고 문장 속에 쓰일 수 있는 단위 가운데 가장 작은 단위
   
단일어(simple word)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진 단어󰃚 1. 명사 :코, 눈, 얼굴, 이마, 부엌, 치마, 저고리, 코스모스, 물, 옷, 길, 하늘, 사람, 바람,2. 부사 : 꼭, 또, 어느, 무슨, 아직, 어서, 하물며3. 형용사·동사 : 춥다, 작다, 넓다, 예쁘다, 가깝다, 뛰다, 읽다, 때리다
대명사(代名詞) 명사를 대신하는 단어. ‘대용성’과 ‘상황의존성’을 특성
독립언(=홀로씨) 문장의 특정 요소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단어. 󰃚 감탄사
동사 사람이나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는 품사
동음이의어 소리가 같으면서 뜻이 다른 단어들. 동음어라고도 함.󰃚 배 : ‘먹는 배’, ‘타는 배’, ‘사람의 배’풀 : ‘식물로서의 풀’, ‘붙일 때 사용하는 풀’
동화 성질이 다른 두 소리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서 같아지거나 비슷해지는 현상

 

구분 내용
마찰음 발음기관 안에서 마찰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음 󰃚 ㅅ, ㅆ, ㅎ
명사(名詞) 뒤에 조사를 취할 수 있고, 앞에 관형사를 비롯한 관형어가 놓일 수 있는 단어로서 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사
명사형어미 한 문장을 명사절로 바꾸는 ‘-음, -기’와 같은 어미
모음 기류가 아무런 장애 없이 자유롭게 통과해서 나오는 소리.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ㅣ
모음조화 앞뒤 음절에 같은 계열의 모음, 즉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나타나는 현상. 모음조화도 일종의 동화라고 할 수 있지만, 다른 동화들의 경우 한 소리가 다른 소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지만, 모음조화는 처음부터 두 모음이 짝지어서 만나는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의성ㆍ의태어 : 󰃚 [사각사각], [퐁당퐁당], [풍덩풍덩]어간과 어미 : 󰃚 ‘먹어라, 주어라’와 ‘잡아라, 보아라’
무정명사(無情명사) 감정이 없는 식물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명사
문법론 형태소, 단어, 구(句), 문장 등 그 자체가 어떤 의미를 동반하고 있는 단어들을 다루는 분야
문법범주 의미범주가 문법적 장치에 의해 구분될 때, 일정한 문법형태소로 구별되어 나타날 때 문법범주. 문법범주는 어느 언어에서나 대체로 굴절, 즉 어미변화에 의해 실현. 대표적인 문법범주로는 격, 수, 인칭, 성(性), 시제, 상(相), 서법(敍法), 태(態), 비교 등
문자론 문자 자체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에 관심을 갖는 분야
문자언어 음성언어를 시각적으로 바꾸어 놓은 글

 

구분 내용
반모음 모음을 발음할 때보다 혀를 입천장에 더 가깝게 해서 내는 소리. 반모음은 한 모음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소리이기 때문에 활음 또는 과도음이라고도 한다. 󰃚 j, w
발성기관 후두 속에 있는 성대를 진동시켜 소리 자체를 내게 하는 기관
발음기관 음성, 즉 말소리를 만들어내는 데 쓰이는 신체의 각 부분. 크게 호흡기관, 발성기관, 조음기관의 세 가지
방언론 한 언어 안에서 나타나는 차이, 즉 방언 차이에 관심을 두는 분야
변별(대립) 서로 다른 두 소리가 최소의 차이를 보이면서 의미의 차이를 일으킬 때 그 두 소리를 변별적 또는 대립적. 󰃚 ‘물’과 ‘불’의 ‘ㅁ’과 ‘ㅂ’
변이 특정 언어의 화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음소의 변화
변이음(이음) 어떤 음성들이 서로 다른 자리에 나타나 발음상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뜻을 구별 짓는 일을 하지 못할 때, 그들 음성을 음운의 변이음이라고 한다. 변이를 통해 실제로 실현되는 음
보조조사 또는 특수조사 격을 나타내는 일을 하지 않고 특별한 뜻을 더해 주며, 명사에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부사나 용언의 활용형 등에도 결합하여 격조사와는 판연히 구별되는 성질. 󰃚 ‘만, 도, 은/는, 조차, 마저, 까지,부터, 이야말로’단독보조사 ‘만’은 격을 결정하는 데는 전혀 관여하지 않고 ‘단독 또는 한정의 의미를 추가’하는 일만 담당하며, 체언 이이에도 결합
복합어(compound word) 어기나 단어끼리 만나 이루어진 합성어󰃚 눈물, 잘못, 책상, 할미꽃, 어깨동무, 날뛰다, 검붉다, 굳세다, 알아듣다, 돌아서다, 앞지르다
부분동화 순행은 앞에서 뒤로 가는 것을 말함. 따라서 순행동화는 앞엣것이 뒤엣것을 동화시키는 것. 󰃚 칼날⇨칼랄
부사 용언 또는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뜻을 ‘어떻게’의 방식으로 제한하는 품사
부사형어미 한 문장을 부사절로 바꾸는 ‘-아, -게, -지, -고, -도록’ 등
불변어 문장 안에서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① 뒤에 조사가 결합 󰃚 명사, 대명사, 수사② 앞에 명사, 대명사, 수사가 결합 󰃚 서술격 조사 이외의 조사③ 앞과 뒤에 아무 것도 결합되지 않는 단어 󰃚 관형사, 부사, 감탄사
불파음(不破音) ‘입’, ‘떡’의 받침 ‘ㅂ’과 ‘ㄱ’은 기류의 흐름이 막히기만 할 뿐 파열되지는 않기 때문에 불파음이라 함
비변별적(비대립적) 두 소리가 의미의 차이를 일으키지 못하면 비변별적 또는 비대립적이라고 한다. 󰃚 국어의 설측음[l]과 설타음[r]
비음 입 안의 어떤 자리를 막고 코로 나오는 숨으로 내는 소리. 󰃚 ㅁ, ㄴ, ㅇ
비음화 비음 앞에 폐쇄음이 왔을 때 그 폐쇄음이 비음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바뀌는 것. 비음화는 뒤에 오는 음이 앞에 오는 음에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역행동화, 두 음이 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동화. 비음화는 완전동화일 수도 있고([밥물⇨밤물]), 부분동화일 수도 있다.([먹는다 ⇨ 멍는다]. ✎ 비음화는 움라우트나 구개음화와는 달리, 비음화가 일어날 조건에서는 예외 없이 일어나기 때문에 절대동화라 하기도 한다.󰃚 [먹는다 ⇨ 멍는다], [믿는다 ⇨ 민는다], [밥물 ⇨ 밤물], [앞문 ⇨ 압문 ⇨ 암문], [부엌문 ⇨부억문⇨부엉문]
비종결어미 그 어미로써 한 문장이 끝나지 않는 어미로서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로 나뉜다.

구분 내용
상보적(배타적) 분포 어떤 소리들이 나타나는 자리가 겹치지 않고, 또한 빈자리도 없을 경우
생략 어떤 소리를 빼버리는 현상. 탈락이라고도 한다.󰃚 솔+나무⇨소나무, 딸+님⇨따님, 파랗-+-ㄴ⇨파란, 쓰-+-어라⇨써라,거우루>거울, 나라ㅎ>나라, [동양⇨도양] : 동음생략
서수사 사람이나 사물의 ‘차례’를 나타내는 수사
선어말어미(先語末語尾) 말 그대로 하면 어말어미 앞에 오는 어미라는 뜻. 그 뒤에 반드시 다른 어미, 즉 어말어미가 와야만 하는 어미. 󰃚‘-었-, -겠-, -더-, -시-’선어말어미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시제와 주체경어법. 시제는 ‘-었-, -더-’ 등, 주체경어법은 선어말어미 ‘-시-’가 담당
설측음화 설측음화는 일반적으로 유음화라 함
성문 두 개의 성대 사이
성절음 독자적으로 음절을 이룰 수 있는 음. 국어는 모음만이 성절음
수사(數詞) 사람이나 사물의 수량(수효)이나 차례(순서)를 나타는 품사
수식언(=꾸밈씨) 다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어. 󰃚 관형사, 부사

 

구분 내용
양수사 사람의 ‘수효’나 사물의 ‘수량’을 나타내는 수사
양순음(兩脣音) 두 입술이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소리󰃚 ㅂ, ㅍ, ㅃ, ㅁ
어간 어미와 직접 결합할 수 있는 어기 󰃚 ‘뛰-’ : ‘뛰-ㄴ다’, ‘뛰-고’, ‘뛰-니’, ‘뛰-어라’
어근 어미와 직접 결합하지 못하는 어기 󰃚 ‘깨끗-’ : ‘*깨끗-고’, ‘*깨끗-으니’
어기(語基:base) 단어의 중심부를 이루는 형태소
어말어미(語末語尾) 그 어미로써 한 단어가 끝나는 어미. cf) 종결어미 : 문장을 종결하는 어미‘뛰는, 뛰고, 뛰면, 뛰어라, 뛴다’의 ‘-는, -고, -면, -어라, -ㄴ다' 등은 그것으로 ’뛰다‘라는 단어의 어형이 마무리되므로 어말어미이고, ’뛰었다, 뛰겠다. 뛰더라, 뛰신다‘의 ’-었-, -겠-, -더-, -시-‘ 등은 이들 뒤에 다시 어말어미가 오므로 선어말어미이다.
언어능력(linguistic competence) 자기 모국어에 대해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 머릿속에 영구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언어규칙
언어수행(linguistic performance) 실제로 말을 하는 행위.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실제적인 언어사용
역행동화 역행은 거스르는 것, 즉 뒤에서 앞으로 가는 것을 말람. 따라서 역행동화는 뒤엣것이 앞엣것을 동화시키는 것. 구개음화, 움라우트, 비음화 󰃚 신라⇨실라
연결어미 선행절과 후행절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어미
연구개음 설배(舌背) 부분이 연구개에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내는 소리 󰃚 ㄱ, ㅋ, ㄲ, ㅇ
용언(用言 = 풀이씨) 주체를 서술하는 단어. 󰃚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완전동화 앞뒤의 소리가 완전히 같아지는 것 󰃚 신라⇨실라, 믿는다⇨민는다
운소(韻素) 운율적 자질로 이루어진 음소. 다른 음성에 얹혀서 발음되면서 말의 뜻을 달라지게 하는 것. 비분절음소, 초분절음소, 초분해음소라고도 한다. 󰃚 음장, 억양, 연접, 강세, 성조 등
움라우트 뒤에 오는 ‘ㅣ’ 모음이나 반모음 ‘j’의 영향으로 그 앞의 [ㅏ, ㅓ, ㅗ, ㅜ] 모음이 [ㅐ, ㅔ, ㅚ, ㅟ]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 ‘ㅣ’ 모음 역행동화라고도 함. 움라우트는 뒤에 오는 ‘ㅣ’, ‘j’ 모음의 영향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역행동화, 대체로 두 모음 사이에 자음이 하나 들어 있기 때문에 원격동화, 두 소리가 비슷해지기 때문에 부분동화󰃚 [아비⇨애비], [죽이다⇨쥑이다], [토끼⇨퇴끼], [먹이다⇨멕이다]
원격동화 두 소리 사이에 어떤 소리가 개입되어 있는 경우 󰃚 손잡이⇨손잽이
원순모음 발음할 때 입술을 둥글게 하는 모음. 󰃚 ㅗ, ㅜ, ㅚ, ㅟ
유음(流音) 기류가 물 흐르듯이 잘 흐르면서 발음되는 소리. 󰃚 ㄹ[ㄹ]은 설측음(‘달’, ‘발’ 등의 ‘ㄹ’)과 설타음(또는 탄설음 : ‘다리’의 ‘ㄹ’)으로 나뉜다.
유음화 [ㄴ]이 유음 [ㄹ]의 영향으로 인해 [ㄹ]로 바뀌는 현상역행적 유음화 : 󰃚 [천리⇨철리], [논리⇨놀리]순행적 유음화 : 󰃚 [칼날⇨칼랄], [불능⇨불릉]
유일형태소(unique morpheme) 단 하나의 형태소하고만 결합하는 형태소󰃚 ‘오솔길’의 ‘오솔’, ‘아름답다’의 ‘아름’
유정명사(有情名詞) 감정을 가진 생물(사람과 동물)을 가리키는 명사. 여격조사 ‘에게’나 ‘한테’를 취할 수 있으나, 무정명사는 ‘에’만 취할 수 있다.
구분 내용
음성언어 사람의 입을 통해서 발음되는 언어. 일반적으로 ‘언어’라고 하면 ‘음성언어’를 가리킴
음성학 인간의 발음기관은 어떻게 생겼으며, 이들이 어떻게 작용해서 말소리를 만들어내는가, 이것들이 공기를 통하여 전파될 때 음향학적으로 어떤 특성을 가지며, 이들이 어떻게 들리는가 등 주로 자연과학적인 입장에서 음성에 대한 연구를 하는 분야.음운론이, 이런 소리들이 한 언어에서 어떤 체계를 이루며, 어떤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와 같은 주로 기능적인 측면을 관심사로 하는 것과 대조적.
음소(音素, phoneme) 특정 언어에서 하나의 소리로 인식되며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는 말소리의 최소 단위󰃚 음소는 의미를 분화시키는 최소의 단위로 기능한다. 예를 들어, ‘물’과 ‘불’ 두 단어에서 [ᅟᅮᆯ]이라는 조건이 같은데도 그 뜻이 다른 것은 [ㅁ]과 [ㅂ]의 소리의 차이 때문이다. 이와 같이 어떤 한 가지 음의 차이에 의해서 두 단어의 뜻이 달라진 두 짝을 최소대립어(minimal pair)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최소의 짝을 만든 두 소리는 각각 음소가 된다. 즉 국어에서 [ㅁ]과 [ㅂ]은 각각 별개의 음소가 되는 것이다.
음운도치 한 단어 안에 있는 두 소리, 또는 두 음절이 서로 자리를 바꾸는 현상󰃚 [하야로비>해오라기], [시혹>혹시]
음운론 자음, 모음, 악센트, 음장(音長), 음절(音節) 등 언어의 소리 쪽을 연구하는 분야
음절(音節) 소리의 낱덩이, 즉 홀로 발화할 수 있는 최소의 단위. 모음(반모음 제외)은 모두 홀로 발화될 수 있는 단위, 즉 음절이지만 자음은 반드시 모음과 결합해야만 한 음절을 이룰 수 있다.
의미론 단어, 구, 문장 등 여러 언어 단위의 의미를 연구하는 분야
의미범주 의미적으로 묶이는 범주
의존명사(=형식명사=불완전명사) 반드시 관형어의 도움을 받아야만 문장 안에서 쓰일 수 있는 명사. 󰃚 것, 바, 줄, 수, 따름, 채, 만큼, 데, 분, 때문
의존형태소 다른 형태소의 도움을 받아야만 문장 속에 쓰여서 하나의 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는 형태소󰃚 ‘읽어라’의 ‘읽-’, ‘-어라’, ‘문을 닫았다’의 ‘-을’, ‘닫-’, ‘-았-’, ‘-다’
이중모음 반모음과 단모음이 결합된 음. 󰃚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이형태 하나의 형태소가 음성적인 환경에 따라서 소리를 바꾸는 것을 교체(交替:alternation) 또는 변이(變異:variation)라 하고, 교체로 인해 달라지는 형태소의 여러 모양을 그 형태소의 이형태라고 한다.󰃚 ‘흙’흙+이/으로⇨[흘기]/[흘그로]⇨[흙]흙+도⇨[흑또]⇨[흑]흙+만⇨[흥만]⇨[흥]
이화 서로 같거나 비슷한 소리에서 그 어느 하나를 다른 소리로 바꾸는 현상󰃚 중세국어 : [붚⇨북], [거붑⇨거북]
인공언어 인위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기호화된 언어. 형식언어라고도 함
인접동화 두 소리 사이에 어떤 소리가 개입되지 않은 경우 󰃚 신라⇨실라, 굳이⇨구지, 믿는다⇨민는다

 

구분 내용
자립명사 문장 안에서 관형어의 도움을 받지 않고 홀ㄹ로 쓰일 수 있는 명사
자립형태소 다른 형태소의 도움을 받지 않고 문장 속에 쓰여서 하나의 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는 형태소󰃚 손, 발, 코, 얼굴, 마당, 나무, 어느, 무슨, 벌써, 무척
자연언어 사람이 태어나서 저절로 배우고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 일상언어라고도 함
자음 기류가 어디에선가 일단 완전히 막혔다가 나오든가, 그렇지는 않더라도 통로가 아주 좁아져서 발음기관들이 마찰을 일으킬 정도로 많은 장애를 받으면서 나오는 소리.󰃚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전설모음 발음할 때 혀가 앞쪽으로 쏠리는 모음. 󰃚 ㅣ, ㅔ, ㅐ, ㅚ, ㅟ
전성어미(轉成語尾) 용언으로 하여금 명사, 관형사와 같은 일을 하게 하는 어미. 한 문장을 한 단어에 대당(對當)되는 절로 바꾸어 다른 문장에 내포시키는 일을 맡아 하는 어미. 명사형어미(󰃚-음, -기), 관형사형어미(󰃚-는, -(으)ㄴ, -(으)ㄹ, -던), 부사형어미(󰃚 -아, -게, -지, -고, -도록)
절(節) 구와 마찬가지로 단어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단어보다 크지만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구와 다르다.
접두사 어기의 앞에 나타나는 접사 󰃚 ‘맨발, 왼손, 풋과일’의 ‘맨-, 왼-, 풋-’
접미사 어기의 뒤에 나타나는 접사 󰃚 ‘잠보, 덮개, 넓이’의 ‘-보, -개, -이’
접사(接辭:affix) 단어의 주변부를 이루는 형태소. 위치에 따라 접두사, 접요사, 접미사로 나뉨
접요사 어기의 한가운데에 나타나는 접사. 국어에는 없음
조어 한 단어의 어간이 형태소 하나 또는 여러 개로 이루어지는 것
조어법 조어의 방식에 따라 단어가 이루어지는 것
조음기관 구강과 비강을 중심으로 혀와 입술이 움직여 여러 가지 음성이 특색을 달리하게 되는 기관. 입술, 치조, 경구개, 연구개, 혀, 목젖, 성문 등
조음점 조음을 할 때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조음체의 상대로만 기능하는 부위. 입천장, 윗니, 윗잇몸, 윗입술 등
조음체 조음을 할 때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 아랫입술, 혀 등
종결어미 그 어미로써 한 문장이 끝나는 어미. 종결어미는 문장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대경어법을 실현하는 기능을 한다.󰃚 ‘간다, 가니, 가라, 가자’에서 ‘-ㄴ다, -니, -아라, -자’ 등이 종결어미
중화(中和) 애초에는 대립되던 음소들이 특정 환경에서 그 대립이 없어지게 되는 현상

구분 내용
첨가 생략과 반대로, 없던 소리를 덧붙이는 현상󰃚 소+아지⇨송아지, 더디다>더지다>던지다, 고치다⇨곤치다(방언), 솜+이불⇨[솜니불]
체언(體言 = 임자씨) 문장에서 주어의 기능을 하는 단어. 󰃚 명사, 대명사, 수사
최소대립어 단어의 동일한 위치에서 단 하나의 소리만 다른 단어의 쌍. 최소대립쌍이라고도 함󰃚 ‘물’과 ‘불’, ‘물’과 ‘뿔’, ‘불’과 ‘뿔’, ‘가발’과 ‘고발’
추상명사(抽象名詞) 실체성을 가지지 못한 대상을 나타내는 명사. 󰃚 사랑, 미움
축약 두 개의 소리가 하나의 소리로 통합되는 현상이다.󰃚 보이다 ⇨ 뵈다, 누이다 ⇨ 뉘다, 보아라 ⇨ 봐라, 주어라 ⇨ 줘라, 좋다 ⇨ [조타], 놓다 ⇨ [노타] : ‘ㅎ’축약
치조음(齒槽音) 혀의 끝이나 앞부분이 윗잇몸에 닿거나 가까워지면서 나는 소리.󰃚 ㄷ, ㅌ, ㄸ, ㅅ, ㅆ, ㄴ, ㄹ

 

구분 내용
통사론(統辭論) 문장의 구조와 이것을 지배하는 규칙 등 두 개 이상의 단어와 관련되는 현상을 기술하는 분야. 넓은 의미의 문법론은 음운론까지 포함, 좁은 의미의 문법론은 형태론과 통사론만 포함
통시론 언어를 여러 시대에 걸쳐 사적(史的)으로 연구하는 방법. 통시언어학, 역사언어학

 

구분 내용
파생어(derived word) 구성 요소의 어느 한쪽이 접사인 합성어󰃚 맨맨손, 군말, 풋사랑, 시누이, 빗나가다, 새파랗다, 새빨갛다(접두파생어)잠보, 울보, 일꾼, 덮개, 넓이, 높이, 점쟁이, 조용히, 이롭다, 신비롭다, 정답다, 자랑스럽다(접미파생어)
파생접사(派生接辭:derivational affix) 어기에 결합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접사󰃚 모든 접두사 : ‘맨발, 왼손, 풋과일’의 ‘맨-, 왼-, 풋-’, ‘잠보, 덮개, 넓이’의 ‘-보, -개, -이’
파열음(폐쇄음) 조음위치에서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일시에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파찰음 처음에는 파열음처럼 폐쇄되는 과정을 가지지만 파열음처럼 한꺼번에 터지지 않고 마찰음처럼 마찰을 일으키는 자음.󰃚 ㅈ, ㅊ, ㅉ
평순모음 발음할 때 입술을 평평하게 펴서 발음하는 모음. 󰃚 ㅣ, ㅔ, ㅐ, ㅡ, ㅏ, ㅓ
품사(品詞) 단어를 문법적인 성질에 따라 부류별로 나눈 갈래

 

 

 

구분 내용
합성어(complex word)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손목, 눈물, 잘못, 책상, 할미꽃, 어깨동무, 손쉽다, 알아보다, 앞지르다, 돌아가시다
형식류 문장 안에서 하는 일이 같은 것끼리 묶은 것 󰃚 문장성분(주어, 보어, 목적어), 품사, 구, 절
형용사  
형태 문장에서 단어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것
형태론(形態論)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인 형태소나 단어의 내적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
형태소 형태소란 문법 단위 가운데 의미를 가지는 언어 단위 중 가장 작은 단위, 즉 ‘최소의 유의적 단위(minimal meaningful unit)’󰃚 ‘코. 얼굴. 구름, 나무, 저고리, 도토리, 비둘기, 코스모스, 흙’어휘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 ⇨ 어휘형태소[실질형태소]문법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 ⇨ 문법형태소[형식형태소]
후설모음 발음할 때 혀가 뒤쪽으로 쏠리는 모음. 󰃚 ㅜ, ㅗ, ㅓ
  • ?
    xodide 2021.05.17 14:02
    감사합니다
  • ?
    보리부 2021.08.27 17:06
    감사해용
  • ?
    butterring 2022.11.10 08:52

    감사합니다

  • ?
    이스라지 2023.10.05 20:11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달둘 2023.10.31 20:23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259 게시판관리 3317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13 게시판관리 567
공지 ChatGPT 인공지능 기능을 포함하여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해보세요 ⬆️ 6 file 게시판관리 737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hahah 73702
143 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hahah 73702
142 국어국문학과 신입생입니다. 6 이에스더 3091
141 국문 3 5 명화 2513
140 4학년 국어국문학과 4학년 20대 계시나요~~ 1 숨길 1221
139 1학년 원격대학교육의이해 - 2014.02.20 기출문제 16 file 주댕 1346
138 3학년 편입 인사 2 소운 424
137 2학년 안녕하세용~ jang9521 251
136 3학년 국어 국문학과1,2,3년 서울 서부(강서,양천,구로,금천,영등포) 스터디 희망자 모집합니다.. 항마이 724
135 2학년 새로가입했네요 1 silver5950 310
134 3학년 3학년 편입생 입니다.*^^* 라온제나 491
133 4학년 기말셤이 anwjd 333
132 4학년 안녕하세요. anwjd 349
131 1학년 안녕하세요 용암택93 343
130 3학년 안녕하세요! 편입생입니다. 소금 315
129 1학년 안녕하세요.. 군금이 219
128 1학년 전남 곡성군 옥과면에요 1 군금이 268
127 1학년 발표일이라 본원홈피 접속이 안되는 군요ㅠ 군금이 325
126 1학년 국문1... 3 한은금현 283
125 1학년 세계의 역사-일본역사연표 8 file 자동로봇 2767
» 1학년 국어학개론 주요 단어 정리 5 자동로봇 7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