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국어국문학과 개설 교과목표
2021.01.04.
21.1 | 구분 | 교과목명 | 평가 방법 |
교재 | 워크북 | 20.2 | 구분 | 교과목명 | 평가 | 교재 | 워크북 |
1-1 | 교양 | 글쓰기 | 출석 | 2019 | 0 | 1-2 | 교양 | 대학영어 | 과제 | 2017 | 0 |
전공 | 생활환문 | 출석 | 2016 | 0 | 전공 | 국어학개론 | 출석 | 2016 | 0 | ||
전공 | 현대소설의이해와감상 | 출석 | 2020 | 0 | 전공 | 국문학개론 | 출석 | 2013 | x | ||
전공 | 글과생각 | 과제 | 2010 | 0 | 교양 | 심리학에게묻다 | 과제 | 2020 | 0 | ||
교양 | 세계의역사 | 과제 | 2016 | 0 | 일선 | 한국문화자원의이해1 | 과제 | 2017 | x | ||
일선 | 중국문화산책 | 과제 | 2016 | 0 | 교양 | 언어의이해 | 과제 | 2015 | 0 | ||
2-1 | 교양 | 한국사의이해 | 출석 | 2017 | 0 | 2-2 | 전공 | 고전시가강독 | 과제 | 2015 | 0 |
전공 | 국문학의역사 | 출석 | 2012 | 0 | 전공 | 맞춤법과 표준어 |
출석 | 2017 | 0 | ||
전공 | 한국근대작가론 | 출석 | 2015 | x | 교양 | 문학의이해 | 출석 | 2013 | x | ||
전공 | 언어와생활 | 과제 | 2016 | 0 | 전공 | 현대소설론 | 과제 | 2016 | 0 | ||
교양 | 세상읽기와논술 | 과제 | 2017 | 0 | 교양 | 철학의이해 | 과제 | 2016 | 0 | ||
교양 | 동서양고전의이해 | 과제 | 2021 | 0 | 교양 | 취미와예술 | 과제 | 2020 | x | ||
3-1 | 전공 | 고전시가론 | 출석 | 2013 | 0 | 3-2 | 전공 | 고소설론과작가 | 출석 | 2018 | 0 |
전공 | 문학비평론 | 출석 (온라인 (화상)) |
2012 | 0 | 전공 | 한국근현대문학사 | 과제 | 2011 | 0 | ||
전공 | 우리말의구조 | 출석 | 2020 | 0 | 전공 | 중세국어의 이해 |
출석 | 2020 | 0 | ||
전공 | 고전소설강독 | 과제 | 2016 | 0 | 전공 | 현대시론 | 과제 | 2015 | 0 | ||
전공 | 서사문학의이해와창작 | 과제 | 2012 | x | 교양 | 인간과교육 | 과제 | 2012 | x | ||
일반 선택 |
신화의세계 | 과제 | 2019 | 0 | 교양 | 생활법률 | 과제 | 2020 | 0 | ||
4-1 | 전공 | 소리와발음 | 출석 | 2013 | 0 | 4-2 | 전공 | 언어와의미 | 과제 | 2012 | x |
전공 | 시창작론 | 출석 (온라인 (화상)) |
2021 | x | 전공 | 한국희곡론 | 과제 | 2016 | 0 | ||
전공 | 구비문학의세계 | 과제 | 2013 | 0 | 전공 | 국문학연습 | 과제 | 2014 | 0 | ||
전공 | 우리말의역사 | 과제 | 2008 | 0 | 전공 | 한국어교육학개론 | 과제 | 2020 | x | ||
전공 |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 | 과제 | 2018 | 0 | 전공 | 한국한문학의이해 | 과제 | 2016 | 0 | ||
교양 | 생활과건강 | 과제 | 2020 | 0 | 교양 | 성·사랑·사회 | 과제 | 2016 | 0 |
※ 20.2학기 출석→과제로 변경은 빨간색으로 표시.
※ 21.1학기 개편은 음영으로 표시. 출석수업→(온라인(화상강의))변경은 빨간색으로 표시.
※ 21.2학기 1학년 <언어의이해>는 폐지예정.
전공 교과 소개
(* 학과홈피-전공교과소개 참조)
학기 | 국어학 | 고전문학 | 현대문학 | 언어와문장 | 작품창작 |
1-1 | 생활한문 | 한국현대소설의 이해와감상 |
글쓰기(교양) 글과생각 |
||
1-2 | 국어학개론 | 국문학개론 | |||
2-1 | 언어와생활 | 국문학의역사 | 한국근대작가론 | ||
2-2 | 맞춤법과표준어 | 고전시가강독 | 현대소설론 | ||
3-1 | 우리말의구조 | 고전시가론 고전소설강독 |
문학비평론 | 서사문학의 이해와창작 |
|
3-2 | 중세국어의이해 | 고소설론과작가 | 한국근현대문학사 현대시론 |
||
4-1 | 소리와발음 우리말의역사 |
구비문학의세계 |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
시창작론 (2021) |
|
4-2 | 언어와의미 한국어교육학개론 |
국문학연습 한국한문학의이해 |
한국희곡론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