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94 추천 수 0 댓글 4
4 학년  
 

2과목

한국어교육론

(36~70)

 



36. 다음 중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출발점이 되는 것은?

   ① 평가              

   ② 요구분석

   ③ 교수요목 설계     

   ④ 교육자료 개발

 

37. 다음 중 과정 중심 교수요목에 해당하는 것은?

   ① 화제 중심 교수요목  

   ② 과제 중심 교수요목

   ③ 문법 중심 교수요목  

   ④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

 

38. 다음은 어떤 교수요목에 대한 설명인가?

    
․학습자가 접할 가능성 있는 의사소통 장면(거리, 버스 정류장, 시장, 집, 가게, 식당, 학교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문법 교육을 배제하지는 않으나 사용 상황에서 요구되는 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지도한다.

 
   ① 절차 중심 교수요목 

   ② 내용 중심 교수요목

   ③ 상황 중심 교수요목 

   ④ 화제 중심 교수요목

 

39. 다음 중 이중모음은?

   ① ㅔ                             ② ㅜ

   ③ ㅡ                             ④ ㅑ

 

40. 한국어의 음절 말음(끝소리)은 몇 가지 소리로 발음되는가?

   ① 5가지                             ② 9가지

   ③ 7가지                             ④ 11가지

 

41. 다음은 어떤 음운 현상의 예인가?

    
낱말[난말]     밥만[밤만]     입니다[임니다]

 
   ① 연음                             ② 경음화

   ③ 격음화                             ④ 비음화

 

42. 다음은 어휘 교육 방법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풋과일이라는 단어를 공부할 때, ‘풋+사랑, 풋+사과, 풋+고추’를 함께 가르쳐 주었다.

 
   ① 조어법에 따른 교육

   ② 연어 관계를 통한 교육

   ③ 반의어를 활용한 교육

   ④ 유의 관계에 따른 교육

 

43. 한국어 숙달도 등급과 어휘 지도 내용이 맞지 않는 것은?

   ① 초급 - 일상적인 어휘 중심으로 지도한다.

   ② 중급 - 일상적인 어휘 중 유사 어휘를 변별하거나 다의어를 지도한다.

   ③ 중급 - 파생어나 합성어에 대한 개념을 갖게 하고 이를 활용하여 어휘를 확장한다.

   ④ 고급 - 고빈도 어휘를 중심으로 하며 한자어보다 우리말 어휘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국문학연습, 한국어교육론  4-1

 
4 학년   2 교시

44. 다음 중 ‘정도의 차이’로 설명하기 좋은 어휘들은?

   ① 관객 - 관람객              

   ② 자주 - 때때로

   ③ 타다 - 섞다              

   ④ 기르다 - 키우다

 

45. 문법을 선정하고 배열할 때 고려할 점이 아닌 것은?

   ① 사용 빈도를 고려해야 한다.

   ② 난이도를 살펴야 한다.

   ③ 일반화 가능성을 살펴야 한다.

   ④ 이미 학습한 어휘를 고려해야 한다.

 

46. ‘제시-연습-생성’으로 진행하는 문법 지도 모형은?

   ① TTT 모형              

   ② PPP 모형

   ③ OHE 모형              

   ④ NDAE 모형

 

47. ‘문법 규칙의 설명과 이해’는 어느 단계에서 이루어지는가?

   ① 도입 단계             

   ② 사용 단계

   ③ 연습 단계                            

   ④ 제시 단계

 

48. 문법 교육을 설명하는 다음 글에 알맞은 말은?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         )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즉 문법의 기능, 화용적인 제약을 알고, 맥락에 적절한 문법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언어의 실제성과 연결되는 것이다.

 
   ① 어휘 문법                            

   ② 문장 문법

   ③ 담화 문법                            

   ④ 문법의 정확성

 

49. 다음은 어떤 교수법에 대한 설명인가?

    
․교사의 발화를 줄이는 대신에 지시봉, 색채 도표, 색깔 막대 등의 도구를 사용한다.

․학습자가 언어 규칙을 발견하도록 하고 교사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① 침묵식 교수법              

   ② 전신반응 교수법

   ③ 직접식 교수법              

   ④ 청각구두식 교수법

 

50. 학습자들의 모국어가 다양하여 교사는 교실에서 한국어로만 수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교사의 언어 사용과 관계있는 교수법은?

   ① 자연적 접근법        

   ② 공동체 언어 학습법

   ③ 문법번역식 교수법    

   ④ 과제 중심 교수법

 

51. 청각구두식 교수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듣기와 말하기를 중요하게 다루며, 발음을 강조한다.

   ② 시청각 자료를 반복해서 듣고 모방하며 암기한다.

   ③ 학습자 모국어로 문법을 설명한 후에 반복 연습한다.

   ④ 구조주의 언어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에 이론적 바탕을 둔다.

 

국문학연습, 한국어교육론  4-2

 
4 학년   2 교시

52. Hammerly(1986)에서 분류한 문화 교육 내용 중, ‘한국인이 만든 산물(문화재, 예술작품 등)’은 어떤 문화에 해당하는가?

   ① 정보문화                             ② 행동문화

   ③ 성취문화                             ④ 사고문화

 

53. 다음에 알맞은 말은?

    
(                 )은 학습 목적에 따라 학문 목적 한국어와 직업 목적 한국어로 구분된다.

  
   ①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② 다문화가정 대상의 한국어교육

   ③ 일반 목적의 한국어교육

   ④ 특정 목적의 한국어교육

 

54. 다음 중 자모와 이름이 맞게 연결된 것은?

   ① ㄱ - 기윽                             ② ㅋ - 키읔

   ③ ㄷ - 디읃                             ④ ㅅ - 시읏

 

55. 다음 중 표기가 맞는 것은?

   ① 정답율                             ② 백분율

   ③ 남여노소                             ④ 년간

 

56.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① 수진이는 공부 밖에 모른다.

   ② 우리 선생님은 엄마처럼 따뜻하게 대해 주신다.

   ③ 한국에 온지 반년이 되었다.

   ④ 네가 말한바를 알 것 같다.

 

57. ‘뉴스 보도, 강의, 연설’은 구어 형태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① 계획적 독백              

   ② 비계획적 독백

   ③ 사교적 대화              

   ④ 정보교류적 대화

 

58. 두 사람이 대화를 통해 서로 알고 있는 정보를 알아내도록 하는 말하기 활동은?

   ① 역할극          

   ② 대치 연습

   ③ 문제 해결 활동              

   ④ 정보 결함 활동

 

59. 다음 중 문법의 ‘화석화’ 현상의 원인이 되는 것은?

   ① 반복 연습을 하는 것

   ② 지나치게 유창성을 강조하는 것

   ③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

   ④ 듣기를 배제하고 말하기만 연습시키는 것

 

60.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교육 내용이 아닌 것은?

   ① 교수님과 상담하기

   ② 도서관 이용하기

   ③ 강의 듣고 질문하기

   ④ 거래처와 협상하기

 

61. 읽기 수업에서 ‘읽기 단계’ 활동으로 알맞은 것은?

   ① 읽으면서 중요한 내용에 표시하기

   ② 글의 내용에 대해 토론하기

   ③ 시각 자료 보고 내용 예측하기

   ④ 어휘, 표현 학습하기

 

국문학연습, 한국어교육론  4-3

 

 

한국한문학의 이해 기말시험(2017).hwp

한국한문학의 이해 기말시험(2018).hwp ​​​​​​​

한국어교육론 기말시험(2015).hwp ​​​​​​​

한국어교육론 기말시험(2016).hwp ​​​​​​​

한국어교육론 기말시험(2017).hwp

​​​​​​​한국어교육론 기말시험(2018).hwp

​​​​​​​한국어교육론 기말시험(2019).pdf ​​​​​​​

한국한문학의 이해 기말시험(2019).pdf

​​​​​​​한국한문학의 이해 기말시험(2016).hwp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6441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2915
공지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4 file 게시판관리 2326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게시판관리 73939
26 4학년 [한국한문학의이해] 2022년 2학기 기말결시자 추가과제물 9 file chorom 45049
25 4학년 [한국한문학의이해] 2022년 2학기 기말결시자 추가과제물 3 file chorom 44365
24 4학년 [한국어교육학개론] 2022년 2학기 기말결시자 추가과제물 3 file chorom 44847
23 4학년 [언어와의미] 2022년 2학기 기말결시자 추가과제물 2 file chorom 44210
22 4학년 [언어와 의미] 2019년 2학기 기말시험 4 file chorom 21392
21 4학년 [언어와 의미] 2018년 2학기 기말시험 2 file chorom 19673
20 4학년 [언어와 의미] 2017년 2학기 기말시험 1 file chorom 19421
19 4학년 [언어와 의미] 2016년 2학기 기말시험 2 file chorom 17677
18 4학년 [한국한문학의이해] 2019년 2학기말 기출문제 3 file chorom 5790
17 4학년 [한국한문학의이해] 2018년 2학기말 기출문제 4 file chorom 6035
16 4학년 [한국한문학의이해] 2017년 2학기말 기출문제 1 file chorom 5399
15 4학년 [한국한문학의이해] 2016년 2학기말 기출문제 1 file chorom 5420
14 4학년 [국문학연습] 2019년 2학기말 기출문제 1 file chorom 5277
13 4학년 [국문학연습] 2018년 2학기말 기출문제 1 file chorom 5388
12 4학년 [국문학연습] 2017년 2학기말 기출문제 1 file chorom 5208
11 4학년 [국문학연습] 2016년 2학기말 기출문제 1 file chorom 5199
10 4학년 구비문학의 세계 교재정리 및 장별 기출문제 8 file 서예지(국문과) 11965
9 4학년 근현대문학사 기말,대체,하계계절시험문제 모음 4 file 서예지(국문과) 325
8 4학년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및 대체시험문제 모음 4 file 서예지(국문과) 535
» 4학년 [국문4] 한국어교육론, 한국한문학의 이해 4 file 서예지(국문과) 6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