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4년도 1학기 3학년 편입생(예정) 입니다.
알기로는 전공과목으로만 꽉 채워야 하는걸로 알고있는데요
전공과목도 전학년치가 있다보니 너무많아 다 못들으니 선택적으로 수강신청을 해야할텐데요
관심사는 가축보다는 식물,원예,농업 등입니다.
기초도 없고 하다보니 선행되어야할 과목 그리고 후에 들어야할 연계되는 과목 추천부탁드립니다.
------
제가 짠거로는 현재
3학년1학기 - 원예학,농학원론,재배학원론,숲과삶,농업생물화학,농업생물화학
3학년 2학기 - 재배식물생리학, 자원식물학, 생활원에, 해충방제학, 생물통계학, 농축산식품이용학
4학년 1학기 - 식물의학, 토양학, 재배식물육종학,식용작물학,원예작물학,농업경영학
4학년 2학기 - 식물분류학, 잡초방제학, 시설원예학, 원예작물학, 식용작물학, 푸드마케팅
이렇게하면될까요?
저는 농학과는 아니고 보건환경학과에 재학중입니다만, 나중에 농학을 하고자 생각하는 사람중 1인입니다.
처음 3학년 1학기 편입을 하시면
최초 수강지정교과목이라는 게 있습니다. 내년에는
원격대학교육의이해, 농축산환경학, 원예작물학1, 가축사양학1, 식물의학, 자원식물학, 재배식물육종학
이렇게 7개 과목입니다. 추후 수강과목은 변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선 원격대학교육의이해는 웹강의만 들으면 되고 1학점이 주어지는데 따로 시험은 없으니 그냥 수강만 하시면 됩니다.
결국 전공 6개를 듣게 되는 셈입니다.
만약 제 입장이라면
원격대학교육의이해, 농학원론, 숲과삶, 원예학, 원예작물학1, 농업생물화학, 농축산환경학 정도로 수강할 것 같습니다.
축산에는 관심이 없다고 하셨지만, 위 과목 중 농축산환경학은 축산에 관한 과목이 아닙니다.
농축산 생산 환경의 요인들을 이해하고, 이들의 상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 보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이므로 필수적으로 수강이 필요한 과목 같습니다. 농업환경, 농업생태계, 토양, 수질, 대기환경, 농약, 동물산업, 농축산ICT, 스마트팜 등 농업, 축산업 환경 전반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재배학원론은 매우 기초적이고 중요한 과목인데 2학기에 수강이 가능한 과목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