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생물화학의 워크북+강의내용 정리
제 1장 물질의 기본 구성
1.1 물질 구성 체계
1.2 물질 구성 원소
1.3 원자
제 2장 화학결합
2.1 원자 특성과 전자배치
2.2 원자 간 화학결합
2.3 분자 간 결합
제 3장 화학반응
3.1 화학량의 표현
3.2 화학반응의 표현
3.3 화학반응 평형
3.4 화학반응의 에너지 변화
3.5 반응속도
제 4장 수용액의 화학
4.1. 용액
4.2. 물
4.3. 완충용액
4.4. 중화반응과 산-염기 적정
4.5. 산화와 환원
제 5장 유기화학
5.1. 유기화합물의 특성
5.2. 유기화합물의 분류
5.3. 탄화수소
5.4. 유기화합물의 작용기
5.5. 유기화합물 이성질체
제 6장 생체물질
6.1. 탄수화물
6.2. 단백질
6.3. 지질
6.4. 핵산
6.5. 비타민
제 7장 세포
7.1 세포의 일반 특성
7.2 세포구조에 따른 생물계의 분류
7.3 진핵생물
7.4 원핵생물
7.5 비세포성 인자
제8장 효소반응
8.1. 효소의 구성
8.2. 효소의 구조
8.3. 효소의 종류와 명칭
8.4. 효소반응
8.5.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6. 효소와 대사반응 조절
제 9장 호르몬
9.1. 내분비선과 호르몬
9.2. 호르몬의 특성
9.3. 호르몬의 화학적 분류
9.4. 호르몬의 일반 기작
9.5. 호르몬의 작용기작
9.6. 호르몬의 분해
9.7.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9.8 호르몬과 페로몬
제 10장 탄수화물 대사
10. 1. 생물체 대사골격
10.2. 탄수화물 대사골격
10.3. 에너지생산 대사
10.4. 펜토오스-인산경로
10.5 탄수화물 합성
제 11장. 지방질 대사
11.1. 지방질 대사골격
11.2. 지방질의 분해
11.3. 지방분해물의 이용
11.4. 지방질 합성
제 12장. 단백질 대사
12.1. 단백질 대사골격
12.2. 단백질 분해
12.3. 아미노산 합성
12.4. 단백질 합성
12.5. 아미노산의 분해생산물의 이용 및 처리
12.6. 아미노산에서 특수 성분 합성
제 13장 핵산 대사
13.1. 유전자 구조
13.2. 유전암호
13.3. DNA 복제
13.4. 전사
13.5. 번역(합성)
13.6. 유전정보 발현 조절
제 14장 작물의 생산
14.1. 작물 몸체의 구성
14.2. 물질의 수송
14.3. 작물의 영양
14.4. 식물호르몬
14.5. 작물 생산
15강. 가축의 생산
15.1. 가축 몸체의 구성
15.2. 체액
15.3. 가축의 생산
농업생물화학
제 1부 화학의 기초
제 1장 물질의 기본 구성
⦁원자(atom) :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을 구성하는 최소단위체
⦁분자(molecule) :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의 단위체
⦁이온(ion) : 원자 혹은 분자에 전자가 첨가되거나 전자가 제거된 형태
⦁주양자수(principal quantum number) :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핵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양자수
⦁각운동량양자수(azimuthal quantum number) :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운동모양을 나타내는 양자수
⦁자기양자수 (magnetic quantum number) :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운동방향을 나타내는 양자수
⦁스핀양자수(magnetic spin quantum number) :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자전방향을 나타내는 양자수
⦁궤도함수(orbital) : 전자가 원자에서 존재하는 양태를 표현하는 함수, 즉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양자수를 기호로 표현한 식
1.1 물질 구성 체계
1.2 물질 구성 원소
1.3 원자
제 2장 화학결합
2.1 원자 특성과 전자배치
2.2 원자 간 화학결합
2.3 분자 간 결합
제 3장 화학반응
3.1 화학량의 표현
3.2 화학반응의 표현
3.3 화학반응 평형
3.4 화학반응의 에너지 변화
3.5 반응속도
제 4장 수용액의 화학
4.1. 용액
4.2. 물
4.3. 완충용액
4.4. 중화반응과 산-염기 적정
4.5. 산화와 환원
제 5장 유기화학
5.1. 유기화합물의 특성
5.2. 유기화합물의 분류
5.3. 탄화수소
5.4. 유기화합물의 작용기
5.5. 유기화합물 이성질체
제 6장 생체물질
6.1. 탄수화물
6.2. 단백질
6.3. 지질
6.4. 핵산
6.5. 비타민
제 7장 세포
7.1 세포의 일반 특성
7.2 세포구조에 따른 생물계의 분류
7.3 진핵생물
7.4 원핵생물
7.5 비세포성 인자
제8장 효소반응
8.1. 효소의 구성
8.2. 효소의 구조
8.3. 효소의 종류와 명칭
8.4. 효소반응
8.5.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6. 효소와 대사반응 조절
제 9장 호르몬
9.1. 내분비선과 호르몬
9.2. 호르몬의 특성
9.3. 호르몬의 화학적 분류
9.4. 호르몬의 일반 기작
9.5. 호르몬의 작용기작
9.6. 호르몬의 분해
9.7.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9.8 호르몬과 페로몬
제 10장 탄수화물 대사
10. 1. 생물체 대사골격
10.2. 탄수화물 대사골격
10.3. 에너지생산 대사
10.4. 펜토오스-인산경로
10.5 탄수화물 합성
제 11장. 지방질 대사
11.1. 지방질 대사골격
11.2. 지방질의 분해
11.3. 지방분해물의 이용
11.4. 지방질 합성
제 12장. 단백질 대사
12.1. 단백질 대사골격
12.2. 단백질 분해
12.3. 아미노산 합성
12.4. 단백질 합성
12.5. 아미노산의 분해생산물의 이용 및 처리
12.6. 아미노산에서 특수 성분 합성
제 13장 핵산 대사
13.1. 유전자 구조
13.2. 유전암호
13.3. DNA 복제
13.4. 전사
13.5. 번역(합성)
13.6. 유전정보 발현 조절
제 14장 작물의 생산
14.1. 작물 몸체의 구성
14.2. 물질의 수송
14.3. 작물의 영양
14.4. 식물호르몬
14.5. 작물 생산
15강. 가축의 생산
15.1. 가축 몸체의 구성
15.2. 체액
15.3. 가축의 생산
농업생물화학
제 1부 화학의 기초
제 1장 물질의 기본 구성
⦁원자(atom) :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을 구성하는 최소단위체
⦁분자(molecule) :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의 단위체
⦁이온(ion) : 원자 혹은 분자에 전자가 첨가되거나 전자가 제거된 형태
⦁주양자수(principal quantum number) :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핵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양자수
⦁각운동량양자수(azimuthal quantum number) :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운동모양을 나타내는 양자수
⦁자기양자수 (magnetic quantum number) :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운동방향을 나타내는 양자수
⦁스핀양자수(magnetic spin quantum number) :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자전방향을 나타내는 양자수
⦁궤도함수(orbital) : 전자가 원자에서 존재하는 양태를 표현하는 함수, 즉 원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양자수를 기호로 표현한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