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조회 수 3402 추천 수 2 댓글 31
Atachment
첨부 '1'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식물의학 
(1강 ~ 3강)
1. 벼의 감수, 미질 저하시키는 병충해 : 이삭도열병, 벼흰잎마름병, 세균성벼알마름병, 혹명나방, 벼멸구
2. 식물의학 방향 : 환경친화적 고품질의 농산물 생산
3. 유수형성기 : 벼흰잎바름병 발생에 의한 수량 감소가 가장 큰 생육시기

4. 혹명나방 : 등숙률,현미수량,현미 완전미 ↓, 이삭수 NO( 이삭 수 결정 이후 이삭수 감소는 않나타남)
5. 병해 :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수량감소 가장 大), 세균성벼알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벼흰잎바름병
6. 병의 발생 : 재배품종, 재배법, 기상환경 따라 변천
7. 식물병  
 ① 전염성 병원: 균류(진균,유사균류), 원핵(세균, 파이토플라스마),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선충, 기생식물, 응애, 원생동물
 ② 비전염성 병원 ~ 토양조건(양분,수분의 과부족, 부적당한 ph, 유해물질의 축적)
                  ~ 기상조건 : 지나친 고온 및 저온, 건조 및 과숩, 광선부족, 바람, 폭우

                   ~ 약해, 대기오염, 수질오염

8. 발병 세요인 : 환경(유인), 기주식물(소인), 병원체(주인)


(4강)

1) 접종원 : 식물체에 도달, 접촉하여 감염을 시작하는 병원체의 모든 부분 총칭
2) 1차 전염원(1차 접종원의 소재) : 1. 병든 식물의 잔재
                                 2. 번식기관(종자,,괴경,인경,구근,묘목)
                                 3. 토양, 잡초, 곤충
3) 직접침입(각피,표피침입) : 균류  /    자연개구 : 균류, 세균    /      상처 : 균류, 세균, 바이러스

4) 병원체

병원체

                             침입방법 및 관련 병원균

균류

1. 직접침입       ① 단일균사 각피침입 : 벼도열병균, 탄저병균
(각피,표피침입)    ②감염욕, 균사속 형성 침입  : 벼잎집무늬마름병균, 뽕나무자주날개무늬병균
2. 자연개구침입  : 흰가루병균, 녹병균, 노균병
3. 상처침입      : 고구마무름병균, 감귤푸른곰팡이병균

세균

1. 자연개구침입 : 양배추검은썩음병균, 벼흰잎마른병균 : 수공통해
2. 상처침입     : 채소류무름병균, 과수뿌리혹병균 등

바이러스

상처침입 : 매개충 통한

   1. 절대 기생체  ① 살아있는 식물체만 이용

                   ②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파이토플라스마, 균류(노균병균, 흰가루병균, 녹병균, 무사마귀병균)
  2. 비절대 기생체 : 살아있는 식물, 죽은 생물, 식물 잔재 이용
     ① 조건 부생체 ~ 대부분의 식물병원균(균류, 세균)   ex : 벼도열병균, 고추탄저병
                    ~ 생활 대부분 식물에 기생, 나머지 일부 죽은생물, 유기물 이용/ 인공배공 가능

      ② 조건 기생체 ~ 채소류모잘록병균, 감귤푸른곰팡이병균, 고구마무름병균
                    ~ 보통 유기물에 의존, 조건에 따라 식물에 기생, 인공배양 쉬움.


(5강)

1) 1. 무성포자 : 분생포자, 유주포자

   2. 유성포자 : 난포자, 접합포자, 자낭포자(벼키다리병균),유성포자(담자포자:배나무붉은별무늬병균, 버섯-자실체)
2) 다당 : 균체보호, 수침상 병반 형성, 도관 폐쇄에 의한 위조유발, 세포간 표면부착, 유도저항성 발현 제어

3) 식물호르몬 : 식물조직에 혹을 형성,  ex : 인돌초산, 사이토키닌
4) 식물바이러스   ① DNA, RNA 中 핵산, 소수단백질만 갖고 있음
                 ② 식물바이러스 핵산의 대부분은 RNA, 외가닥 RNA> 두가닥 RNA
                 ③ 전자현미경 사용, 인공배양 NO(기주세포 도움없이 증식 NO)
                 ④ 단백질 합성에 기주세포의 리보솜 이용
                 ⑤ 소독,열 : 세균보다 강함  /     ⑥ 항생물질에 저항성 有                               -1-

(6강)
1. 진단 ① 병원구분, 정확한 병명 결정

∎ 세균

  1. 점질층(협막), 2분법으로 증식

  2. 세포벽 : 형태유지, 파지 감염부위, 박테리오신 수용체, 영양 수동흡수, 유해물질 장벽, 항원성, 접합연락 기능
 3. 세포막
  4. 세포질  ① 염색체 : 핵막이 없어 세포질 중에 노출

             ② 리보솜
  5. 편모, 섬모 : 운동기관
 6. 아포  ① 환경 불리할 때 그람양성세균에 의해 형성
          ② 열, 건조, 약제 등의 불량환경에 대해 강한 저항성, 환경조건 좋아지면 발아하여 영양세포로 분열
  7.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NO

  8. 세균에 따라 플라스미드, 내생포자 가지고 있는 것 있음 (모든 세균이 있는 것은 아님)

 

        ② 목적 : 병해 판정, 병의 발생, 피해추정, 방제여부→적절한 관리대책 강구

                  정확한 진단 초기에 적절한 방제대책 수립→방제효과 높힘.
2. 균류병의 병징 ① 전신병징 : 시들음, 웃자람, 모잘록(유모줄기 잘록해져 넘어지고 나중 말라죽음)

                 ② 국부병징 : 점무늬, 마름, 뿌리썩음

3. 바이러스 병의 병징 ① 외부병징 : 모자이크, 괴저, 겹무늬, 증생, 황화, 엽맥투명, 기형
                     ② 내부병징(바이러스 진단 자료): 세포 내 봉입체, 체관부 괴저, 세포 내 변성물

4. 병의 진단

  ① 포장진단 : 병이 발생한 포장에 가서 판단

  ② 식물진단 : 식물개체를 대상으로 진단
           
(7강)

1

육안진단(병징에 의한 진단)

식물체에 나타난 병징, 표징을 관찰하여 병명 알아내는 방법

2

해부진단

 

3

혈청진단(효소결합항체법)

바이러스병 진단에 널리 이용, 최근엔 세균, 균류 진단에도 이용

4

유전자진단

∎장점 ① 생물 고유의 핵산은 변화되지 않음
       ② 병원체의 모든 유전정보가 검토의 대상
          →병원체 순수분리 할 필요 없음
      ③ 고유 염기서열은 병원균의 직접 검출과 같음.

∎단점 : 고비용, 고가장비, 특별숙련 필요→현장 응용 한계 있음

5

생물진단

① 지표식물 : 바이러스
② 최아법(괴경지표법) : 감자바이러스

③ 박테리오파지 : 세균 중 기주세균만 공격  ex : 벼흰잎마름병

1) 전염원

  1. 병든 식물의 조직 및 잔재 : 벼도열병, 벼깨씨무늬병균, 배나무검은무늬병균, 사과탄저병 등
  2.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 종자 ~ 벼깨씨무늬병균, 벼도열균, 채소류균핵병균, 맥류맥각병균

 3. 토양 ① 월동 : 채소류균핵병균(배추무사귀병균), 모잘록병균, 시들음병균
        ② 생존 : 가지과작물풋마름병균, 맥류오갈바이러스  
                                             
 4. 잡초 및 곤충 ① 잡초(겨풀, 둑새풀) : 벼흰잎마름병균 /  벼누른오갈병균 : 둑새풀, 갈풀, 개밀
                 ② 곤충 : 벼줄무늬잎마름병바이러스
2) 기주교대=이종기생균
  1. 두 종의 기주에서 다른 번식체 만들어 생활사 완성
 2. 잣나무털녹병, 배나무붉은병무늬병, 맥류줄기녹병                                                        -2-

 


3) 병원체의 전염

1

바람

도열병균, 밑줄기녹병균, 배나무붉은별무늬병균

2

오이역병균, 고추역병균, 감자역병균, 사과나무불마름병균, 사과나무탄저병, 고추탄저병

3

종자

벼도열병균, 벼키다리병균, 보리겉깜부기병균

4

토양

모잘록병, 맥류마름병균,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

5

곤충

 

6

전목전엽

과수바이러스병의 전염경로

 

4) 식물병의 발생과 환경
  1. 온도 : 벼도열병, 감자바이러스 X, 감자바이러스 S→저온 발병
 2. 수분 : 흰가루병균 → 상대습도 낮고, 건조한 지역 발병

  3. 일조량, 바람, 강우, 토양반응, 토양비옥도


(8강)
1) 기주 특이적 독소 생산하는 균류→기주식물의 침입 억제작용 제어해서 침입 가능하게 만듬⇛감수성 유도물질이라 함.

2) 균류 : 큐티클층 관통  /  세균 : 자연개구부(기공,수공,밀선,피목)으로 침입

3) 식물내 침입해 표면에 정착, 발병 과정에는 균체 표면의 균체 외 다당이 중요 역할 함.

   세균은 증식하며 효소, 독소 등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여 세포중간막을 파괴하면서 인접한 세포간극으로 이행.

4) 병징발현 ① 균체 외 생리활성물질(다당, 효소, 독소)이 관여    

            ② 뿌리혹병균 : 상처 난 식물세포 흡착 후 호르몬 합성해 혹 형성
5) 바이러스 : 매개충(즙액, 진딧물)의 구침 통해 식물체내 감염

6) 식물의 방어반응 ① 병원균의 특이성분을 식물이 갖고 있는 인식분자에 의해 저항성 반응이 유도되는 것

                   ② 기주식물의 방어기작 : 엘리시터, 파이토알렉신, 서프레서

7) 레이스 1. 병원균의 한 종이나 한 분화형 , 변종 중에서 기주의 품종에 대한 기생성이 다른 것
         2. 판별품종 ① 레이스를 구분하는 기준품종

                      ② 기주식물 중 저항성 형질 차이 뚜렷, 형질 고정, 판별에 알맞은 여러종 고름

                      ③ 레이스는 판별품종에 접종해 나타나는 병징에 따라 감수성, 저항성으로 판정

8) 병 저항성 종류
 1. 수직저항성(레이스 특이저항성, 진정저항성) : 품종 간 레이스에 대해 감수성이 다른 상호관계가 존재하는 경우
 2. 수평저항성(레이스 비특이적 저항성, 포장저항성)

     ① 기주품종과 레이스 사이 특이적 상호관계가 없는 저항성
    ② 원인 : 식물성분 종루, 함량, PH, 형태학적인 성질

     ③ 병원균의 병원성 변이에 대해 안정성 有(유)

  3. 침입∙저항∙확대 저항성

  4. 면역성(비기주저항성) : 병원체를 접종해도 기주식물이 전혀 병에 걸리지 않는 것

9) 병 저항성 기구(식물이 병원균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자신을 방어)

  1. 정적 저항성
    ① 물리적 저항성(표면) : 왁스, 큐티클의 양∙질, 표피 세포벽의 구조∙두께, 기공∙수공,피목, 분포, 밀도, 털

     ② 화학적 저항성

  2. 동적 저항성                                                                                            
       
10) 바이러스병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

  1. 바이러스의 국재화 : 접종 부분만 감염, 증식

  2. 바이러스의 상호작용에 의한 저항현상
    ① 교차방어 : 처음 접종한 바이러스가 나중 접종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방어적으로 작용
    ② 획득저항성 :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식물이 동종∙타종 바이러스에 대해 저항성 나타내는 현상


                                                                                                            -3-

 


(9강)

1) 식물검역 : 법적 규제 의해 병해충 국내침입 막고, 국내 다른 지역 이동∙확산 예방→병해충에서 보호

2) 금지병원체 12종 : 벼이삭미라병, 감자암종병, 감자걀쭉병, 담배노균병, 배들불병, 사과빗자루병, 자두곰보병, 감귤그린병,                       포도황화병, 포도피어슨병, 소나무종유석병, 참나무역병

1)

생물적 방제
(바이오컨트롤)

1. 미생물들의 길항작용,교차방어 등 토대로 개발할 기술을 식물병의 방제에 적용

2. 화학적 방제 문제점 해결

3. 환경보전, 지속적 농업에 잘 부합

4. 문제점 : 신속∙정확 어려움, 치료효과 낮음, 처리효과 일정치 않음, 광범위활용 어려움.

2)

경종적 방제


~ 재배환경(유인) 개선, 재배법 조절하여 병 예방하거나 발병 줄이는 방법

1. 포장위생과 건전종묘의 사용

2. 윤작 ① 연작장해(기지) : 같은 장소 한가지 작물 재배함 병원체 밀도↑ 토양전염병 격발

        ② 인삼 : 10년(비기주작물 심어 병원체 밀도 낮춰야 함)
        ③ 기주범위 넓은것(풋마름병균, 흰비단병균, 자주날개무늬병균)→벼과작물로 바꿈

3. 재배시기의 조절 : 졍 발생 최성기 피해 작물 재배해 병 피해 줄임.

4. 접목재배, 수분관리, 토양의 비배관리, 토양산도 조절, 중간기주 제거, 차단

3)

물리적 방제

열(온탕) →종자소독 /  태양열→토양소독/   광질이용 병원체 제어→자외선 제거 필름 사용

4)

저항성 품종

특별 경비∙자재 불필요, 까다로운 방제작업 불필요, 농약 잔류독성 걱정 無

5)

화학적 방제


~ 부작용 : 잔류독성, 생태계파괴, 약제 저항성 균의 출현
1. 보호살균제 : 식물병 예방, 발병 전 살포해 병원체가 부착∙칩입 막아줌
2. 직접살균제  ① 강한 살균력, 높은 침투성

               ② 식물병의 치료효과 효과, 감염 후에도 균사∙포자에 접촉해 살멸

(10강)

 식량작물의 주요 병해
                                                                                                          - 4 -

 채소의 주요 병해

1

벼도열병

① 방제 : 종자소독, 저항성품종 재배, 포장저항성(레이스 비특이적 저항성) 강한품종 사용
② 질소비료, 녹비과용 피함, 적기에 약제 살포
③ 논물 얕게 마르지 않도록 함, 퇴비→충분히 부숙시켜 사용
④ 종합관리방제

2

벼키다리병

종자전염(대표적), 볍씨 소독 불완전하면 크게 발생, 친환경재배 확대로 큰 피해 줌.

3

벼잎집무늬마름병

벼 수확시 논바닥에 떨어져 월동→물을 댄 논위에 떠다니다 벼에 부착 발아→잎집 감염

4

벼흰잎마름병


① 한국,일본,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널리분호
② 수량감수, 미질저하
③ 태풍, 침관수에 이해 피해 급증
④ 월동 : 피해종자, 수로에 자생하는 겨풀
⑤ 수공(잎 선단)이나 상처로 칩입→도관→유관 속 증식
⑥ 방제 : 저항성 품종 재배

5

세균성벼알마름병


① 상자육묘 시 묘부패병도 일으킴
② 처음(갈변)→생육 정지→쭉정이 되어 이삭 직립
③ 종자의 내외영에서 월동→출숙기에 기공으로 칩입
④ 무병종자 사용, 종자소독(차아염산나트륨, 가스가마이신액제),
   유수형성기~출수기 전후 농약 살포

6

벼줄무늬잎마름병

애멸구에 전염

 

1

고추탄저병

① 열매에 발생
② 병징 :움푹한 점무늬, 열매 부패
③ 감염후기 : 병든 부분에 연한 담홍색의 점질물이 생김

2

가지풋마름병

① 가지과 발생 : 토마토, 가지, 감자, 고추, 담배
② 토양에서 오래 생존
③ 병징 : 지체부를 절단하면 녹갈색으로 변색, 누르면 오백색의 즙액이 나옴.
④ 방제 : 정식시 뿌리에 상처 주지 말고, 지온 상승 방지 위해 짚으로 피복

3

채소무름병

100여개 작물에 큰 피해줌

4

고추(TMV) 모자이크병


① TMV : 고추모자이크병 일으키는 대표적 바이러스
② 병징 : 새잎→황화증상, 어린잎→담황색의 모자이크 형성
③ 전염원 : 종자, 토양
④ 수확기 : 극심한 피해 입힘

5

뿌리혹병


① 균체가 가지는 플라스미드의 T-DNA 부분이 식물호르몬 생산해서 발생
② 병징 : 뿌리, 줄기의 뿌리목에 발생
③ 전염원 : 토양


 
(11강~14강)
1) 곤충 번성에 기여한 특징 : 작은크기, 조직화 된 몸, 높은 유전 상이성, 공진화, 날개, 짧은세대, 변태

   1. 작은 크기 : 적 피해 숨거나, 바람에 의한 이동 쉬움. 필요 에너지양 적음. 중력의 영향 적음. 추락에 의한 손상 적음.

   2. 조직화 된 몸

   3. 높은 유전적 상이성

   4. 공진화 : 여러 종들 사이의 상호관계 통한 진화

   5. 날개 : 먹이, 적합 환경 찾아 이동 쉬움.

   6. 짧은 세대 : 한 살이가 짧아 개체 수 빨리 증가

   7. 변태 : 서로 다른 먹이 취하며 종내 경쟁 피함
2) 곤충의 기능 : 분해, 경기, 쇄토, 수분매개자, 포식자∙포식기생충, 먹이원(식품원)
3) 체벽(외골격)
   1. 외부 충격, 병원균으로부터 보호

   2. 탈수 막아줌,   외부자극→내부로 전달

   3. 움직임 충분히 가능하도록 해줌(단단, 부드런 부분들 이어져 있음)

4) 마디

   1. 마디 형성(분절) : 여러개 마디로 나뉘는 것→유연성 가짐

   2. 체절 : 마디 형성시 하나의 몸마디

   3. 합체절 : 몸마디가 몇 개씩 합텨져 하나의 큰 체절 이룸

   4. 마디연합 ① 여러 마디가 하나의 중요기능 맡을 수 있게 합체절을 이루는 과정

               ② 머리, 가슴, 배 →세 개의 기능성 합체절로 구성

5) 가슴 : 앞가슴, 가운데가슴(앞날개), 뒷가슴(뒷날개)  /  각 가슴마디→다리가 한 쌍씩, 경판이 덮음.
6) 날개 : 굳은날개(딱정벌레), 반굳은날개(노린재), 두텁날개(메뚜기), 인편(나비목-막질의 날개 보호)
7) 기관계 (호흡계) : 기문(숨구멍), 기관지(기문에서 몸 안으로 난 관), 기관소(기관지가 끝으로 가며 가늘어진 부분)

8) 신호물질 ① 페로몬 : 성페로몬, 계급조절페로몬, 경고페로몬
            ② 카이로몬 : 분비자 ↓, 감지자↑

            ③ 알로몬 : 분비자 ↑, 감지자(이득, 손해 없음)
           ④ 시노몬 : 분비자 ↑, 감지자 ↑                                                                 -5-


9) 메뚜기목 : 뒷다리 퇴절이 발달                                                                          
10) 나비목  ① 온몸과 날개가 인편으로 싸여 있다.
           ② 번데기→피용
           ③ 나비목 유충 : 배다리 끝에 갈고리발톱이라는 작은 갈고리들이 모여 미끄러지지 않음.

 

11) 난생(산란) : 알을 낳아 부화하는 것, 대부분의 곤충.
12) 단위생식 : 수컷 없이 암컷 혼자 새끼 낳음. 처녀생식.

13) 알을 보호하는 장치  ① 알주머니(난낭, 난협) 만듬    ex : 사마귀, 바퀴
                       ② 산란 후 알 위에 거품 씌움.

                        ③ 털을 덮는 경우              ex : 매미나방

                        ④ 알 낳는 장소 숨김           ex : 땅속(메뚜기), 풀줄기(실잠자리)


14) 변태  ① 불완전변태 : 알-약충-성충    ex: 잠자리, 강도래, 하루살이
          ② 완전변태   : 알-유충-번데기-성충

15) 번데기의 종류 : 나용(많은 종류 번데기),  피용(나비, 나방),  위용(집파리)


(15강~17강)

1) 해충 많은 순서 : 나비목>매미목>딱정벌레목
2) 경제적 피해수준 : 경제적 손실이 나타나는 해충의 최저밀도, 해충에 의한 피해액과 방제비가 같은 수준인 해충밀도.

3)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 해충밀도가 경제적 피해수준에 도달하는 것 억제위해 방제수단 써야하는 밀도수준.

1)

재배적 방제

1. 포장위생

2. 경운 : 해충의 먹이,서식장소, 월동처가 경운 후 토양에 묻히므로 부화∙우화하지 못하게 함.

3. 윤작과 혼작

4. 재배관리의 개선

5. 내충성 품종의 이용 ① 해충에 대한 저항성 : 해충의 선호성, 작물의 항생성 및 내성의 차이
                     ② 내충성, 기작에 따라 작물피해 차이 보이는 원인
                            ~ 해충의 산란,먹이로 적당하지 않을것

                            ~ 해충의 생활에 유해할 것

                            ~ 해충이 가해랄 때 견디어 내는 능력 높을 것

   

2)

기계∙물리적 방제

1. 기계적 방제 : 포살, 유살
2. 물리적 방제 : 온도(고온∙저온), 습도, 광선(유아등∙방사선), 소리, 색을 이용
                ~ 유아등 : 곤충의 주관성을 이용해 해충 죽임.

3)

화학적 방제

1. 장점 : 약효 빠름, 정확, 방제면적 자유롭게 조절, 한 번 사용으로 많은 해충 동시방제
2. 단점 : 유용천적의 살충, 잠재해충의 해충화, 살출제 저항성 해충의 출현, 인축에 대한 독성
3. 접촉제 약제 :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유기인계 살충제,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4. 보조제 : 협력제   ex : piperonyl butoxide

5. 기피제 : DEET(diethyltoluamide)
6. 교차저항성 : 1종의 살충제로 곤충에 누대 선발했을 때 2종 이상의 살충제에 대해
               저항성이 나타나는 현상

4)

생물적 방제

1. 해충의 밀도 억제 피해 감소시키기 위해 기생자 또는 포식자 등의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

2. 포식성 천적 : 쌀좀알벌↔나방류/ 칠리이리응애↔응애류/ 무당벌레↔진딧물/
                칠성풀잠자리↔진딧물/  으뜸애꽃노린재↔총채벌레/

                꽃등에↔진딧물(호리꽃등에는 상업화에 성공해 시설 내 진딧물 방제에 이용)

3. 기생성 천적 : 콜레마니진디벌, 온실가루이좀벌, 굴파리좀벌
4. 천적 미생물의 비교 : 세균(빠름), 바이러스(느림), 진균(대단히 느림)

5)

헹동적 방제

성페로몬 : 종 내 다른 성의 개체를 유인하기 위해 몸 외부로 분비하는 화학물질

6)

종합적
해충관리

각종 방제수단을 서로 모순되지않게 유기적으로 조화∙병용시켜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이하에서 유지, 해충의 방제를 통제하는 방제체계


                                                                                                              -6-
4) ① 잠재해충 : 발생밀도가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이하, 방제비보다 피해액 적어 방제가 오히려 손해이므로 방제대상 않됨.

 

   ② 돌발(간헐)해충 : 해충밀도가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넘음. 방제수단 강구

5) 상대밀도 : 지역적 차이 알기위해 유아등∙포충망∙유인체에 잡힌 개체수를 밀도의 지표로 이용

1

법적 방제

국가 명령에 의한 방제, 동식물의 철저한 검역, 문제해충의 박멸작업수행

2

화학적 방제

① 해충의 유인제∙기피제 이용한 밀도 억제 방법,
② 농약∙불임제∙성장저해재 이용한 해충방제

3

생물적 방제

천적으로 곤충 활용하는 방제

4

종합적 방제,
종합적 해충관리(IPM)

여러 가지 방제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종합관리 수행

6) 비검역병해충 : 국내에 널리 분호하여 수입농산물에 부착되어 있어도 소독 등 검역조치 취하지 않는 병해충

(18강)                                                                                       - 7 dk -
1. 비래해충 : 벼멸구, 흰등멸구, 흑명나방

2. 우리나라 월동 : 벼잎선충, 애멸구, 벼물바구미, 이화명나방, 먹노린재

1

벼물바구미

① 성충→벼잎 갉아먹어 잎에 가는 흰색선 나타냄

② 유충→뿌리를 갉아먹어 뿌리가 끊어져 키가 크지 못하고 분얼 못함.

2

이화명나방

① 주로 벼를 가해하나 벼과 잡초 중 피, 갈대, 줄풀 등에도 피해를 줌
② 유충 : 잎살→잎집 속→줄기내로 들어감. 잎∙,줄기가 갈색으로 변하고 고사한다.

3

벼밤나방

이화명나방과 비슷, 유충이 침입한 줄기의 구멍 밖으로 배설물 내놓는 게 차이

4

벼잎벌레

① 성충∙유충 → 벼 잎 갉아먹음. 특히 유충의 피해 심함.

② 잎살을 갉아먹는데, 피해잎은 뒷면의 표피만 남고 잎의 표면에 많은 백색의 식흔이 나타남.

5

혹명나방

① 중국 남부에서 날아오는 비래해충
② 유충 : 벼잎을 한 개씩 세로로 말고 몇 군데를 철한 다음,
      그 속에서 잎살을 갉아먹어 잎이 백색으로 변하여 그물로 말아놓은 듯한 통모양으로 말라죽음.

6

벼멸구

① 월동 불가능 비래해충
② 약충∙성충 : 벼 포기의 하부 흡즙→밀도 높아짐 하엽부터 황생으로 변함→

              집중가해 받음 벼줄기 약해져 부러짐. 논의 군데군데에 둥굴게 집중고사현상 나타남.
③ 방제 : 내충성품종 재배. 질소비료 과다 피함. 100주단 암컷 단시형 선충이 20마리 이상 보일때.

④ 천적 : 벼멸구↔황산적거미

7

흰등멸구

국내 월동 불가능.

8

애멸구

① 국내 월동 가능
② 기주범위 넓음 : 벼, 밀, 보리, 옥수수, 수수, 조, 바랭이. 둑새풀, 포아풀, 줄풀 등
③ 바이러스병에 옮겨 간접 피해 위험       ex: 벼줄무늬잎마름병, 벼검은줄오갈병을 매개함.

 

9

배추벼룩
잎벌레

십자화과작물(무,배추, 양배추) 및 오이과식물을 기주로 함.

10

복숭아
혹진딧물

각종 바이러스 매개

11

조명나방

① 성충 몸길이 13~15 갈색, 뒷날개에 황색 띠가 한 줄 있다.
② 연 2~3회 발생
③ 기주범위 넓음 : 옥수수, 조, 수수, 생강, 목화, 토마토, 글라디올러스, 국화 등
④ 이삭썩음병 유발

12

감자뿔나방

방제 : 수확전 약제처리 통해 산란을 감소, 해충밀도 줄임. 저장 중 훈증소독 통해 해충 구제.
      수확후 잔재물 제거해 월동처 없앰.

13

시설해충

①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② 담배가루이 : 25종 이상의 바이러스병 매개

14

과수해충

① 복숭아순나방 : 성페로몬 트랩 설치
② 꽃매미 : 줄기∙가지 가해, 수액 빨아먹음.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6430 0 2022.12.24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2909 0 2023.09.20
공지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4 file 게시판관리 2324 2 2024.03.11
822 일반 방송통신대학교 - 농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10 게시판관리 3265 0 2014.02.10
821 농학과 왜..아무것도없지요 ㅠㅠ 1 뭐라고라 1891 1 2014.03.03
820 조용한 학구열~~~~^6^ 2 꺼벙이 1853 0 2014.03.04
819 농학과 모여라 ~ 3 세계미녀농부 2160 0 2014.03.10
818 나의 농부 여행기 2 file 꿈의농부 2067 0 2014.03.11
817 ㅍㅎㅎ 2 꺼벙이 2990 0 2014.03.12
816 우리 농학과는.............텅텅비었네요... 3 jeha1130 2382 2 2014.03.25
815 공부는 어떻게~~ 1 yj50002 1255 0 2014.08.31
814 3학년 이런.... 활성화가 안돼어있네요 1 사라다 568 1 2015.02.06
813 조용한 학과 2 슬픈호랑이 605 0 2015.02.23
812 신입생 문의 드립니다. 4 서기윰 662 0 2015.02.25
811 3학년 오늘(2015.08/12(화) ~ 첨~ 가입했는데..농학과 게시판이 어찌 썰렁하네여... 2 한도은 565 1 2015.08.18
810 3학년 가입인사겸 좋은 사이트 몇군데 알려드려요. OTL .. 지금보니 제목이 스팸 같네요... 이대희 637 1 2015.12.16
809 잘부탁드립니다 주가령 290 0 2016.02.24
808 농학과 1학년!! 3 file 빠른20살 531 0 2016.03.04
807 안녕하세요~ 1 하얀구슬 310 1 2017.02.07
806 3학년 봄이 오나봐요~ 투명 363 0 2017.03.03
805 3학년 2018 편입했어요 3 조재형 379 1 2018.01.29
804 3학년 3학년 편입했습니다. 1 연금술사 598 2 2018.02.19
803 일반 고추비료 주는 방법과 시기, 시비량, 비료 1 file 화이트원 16222 0 2019.06.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2 Next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