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조회 수 2519 추천 수 1 댓글 27
Atachment
첨부 '11'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사료학)

 1장 사료의 분류 및 한국 사료산업의 현황 
1) 사료학 : 가축이 생명유지, 생산활동 할 수 있는 영양소가 포함된 사료에 대한 영양적 가치와 향상을 연구하는 학문.

2) 사료 선택 시 고려사항 1. 영양소공급, 이용성, 기호성, 소화, 취급 간편성, 친환경, 메탄까스
                        2. 안전성 담보 : 사료에서 기인하는 광우명(BSE-육골분)
                        3. 경제성 : 사료비→전체 축산경영의 60% 이상 차지

3) 영양가치에 따른 사료의 분류 : 조사료, 농후사료, 보충사료
  ∎ 조사료
     1. 초식동물 : 셀룰라아제 효소에 의해 소화, 섬유질(셀룰로오스) 함량이 높음. 용적 많음(소, 염소)
     2. 반추, 비반추 초식동물의 유지사료

      3. 축우 : TMR로 급여(완전배합사료)
              

 

4) 1. 단미사료(feed ingredient) : 배합사료에 혼합되는 하나하나의 원료    ex: 옥수수 : 도입 곡물 중 젤 많음.

   2. 배합사료 : 사료공장에서 규격에 맞게 생산된 것, 곡류, 강피류 : 배합사료에서 60%이상 차지

      ~ TMR (total mixed ration) : 조사료+농후사료+첨가제, 완전 혼합사료
5) 우리나라 농후사료는 1970년대 초 본격생산하기 시작, 최초 년간 32만 톤에서 최근에는 1,500만 톤을 생산함.
6) 축종별 생산량
  ~ 양돈 : 34~38(국내 배합사료 중 가장 많음)/ 양계: 25~2/   낙농: 7.1~11/   비육우: 17~18/   기타: 6~7

 

 3장 배합사료의 제조 
(원료 반입 및 저장 시스템)
1) 배합 형태
   1. 배치식(batch system-일괄혼합배합) 사료 공장 : 국내 사료공장 대부분 배치식
     ~ 모든 원료가 원료 빈(ingredient bin)에 저장된 후 설계 배합비율대로 배합기에 투입, 한번에 배합이 이루어짐.
        ① 원료반입 : 지정된 빈에 이동(옥수수∙밀 등 곡류)→   ② 액상원료 : 별도 탱크저장 후 사용(당밀)
        →③ 첨가제 : 예비배합 후 사용(비타민∙광물질)→  ④ 집진시설 : 먼지제거→  ⑤ 제어(조정실)

   2. 연속식 사료공장 : 생산제품 품목수가 제한되고, 사용하는 원료의 종류가 단순할 경우

   3. 종합식 사료공장 : 양계, 양돈, 젖소
2) 분쇄 공정
  1. 미국식 : 분쇄 후 배합 (버킷엘리베이트 사용-동력소요 적음),  곡물종류 적을때, 우리나라.
  2. 유럽식 : 배합 후 분쇄(분쇄 곡물저장 위한 원료 빈 필요없음). 수평 컨베이어 사용(투자비용저렴), 균일입자유지
3) 배합사료의 원료
  1. 벌크(주원료) : 에너지-옥수수, 소맥, 수수
     ① 기차, 트럭으로 공장까지 수송

      ② 계량 후 반입호퍼로 투입

      ③ 반송기(스크류, 드래그, 공기) 통해 정선기로 이송

      ④ 이물질 제거

      ⑤ 버킷 엘리베이터 통해 창고 밖 저장 사일로로 운반되어 분쇄, 가공되기 전까지 저장
  2. 벌크 또는 포장상태(부원료) : 단백질-대두박, 채종박, 밀기울, 어분
4) 벌크 원료의 반입 시스템
  1. 계량 시설 : 원료의 반입량 및 제품의 반출량 측정
  2. 반입 호퍼와 트럭 호퍼
  3. 반송용 컨베이어
      ① 스크류 : 고정된 통속에서 회전하며 사료 운반, 주로 수평운반용이나 30도 경사까지 가능
      ② 드래그 : 체인에 페달들이 재료운반(미세입자~알곡)
     ③ 공기 : 관 속으로 공기를 불거나 흡입해 운반                                                                    

   4. 반입 정선기 : 이물질 제거(반입호퍼와 버킷엘리베이터 사이에 설치, 협잡물 거르는 것)

   5. 버킷 엘리베이터 : 원료제품의 수직이동, 집진기 부착 필수
  6. 디스트리뷰터(distributer) : 원료를 저장된 사일로,제품 빈에 보내줌
  7. 저장 사일로 : 주원료 반입시설, 호퍼빈(빈 바닥이 경사짐), 평바닥 빈(빈 바닥이 평평)

   8. 원료 빈 : 원료 배합 전 1~2일 가저장 장소

(분쇄 : 소화율 향상, 소비자 선호도 만족, 배합∙취급(사료가공시)∙펠릿 용이)
~ 분쇄 기계  1. 헤머밀 : 회전측(해머)와 필 사이에 원료가 부딪쳐 분쇄

              2. 버밀(맷돌), 어트리션밀(2개의 회전판이 역방향으로 회전분쇄)
             3. 롤러밀 : 두 쌍의 롤러 사이에 곡물유입 분쇄
                                                                                                                   -1-
(배합 시스템)
1) 배합 공정
  1. 예비배합 : 소량 혼합사료원료(비타민, 항생물질)+부형제(밀기울)을 미리 혼합해 양을 많게해 성분희석 목적
     ~ 예비배합 혼합물질 : 무기물, 비타민, 항생물질(과도첨가시 중독 현상 일으키기 땜 골고루 배합하는 것이 중요)
   2. 본배합 : 주원료(옥수수, 대두박 등)과 부원료를 본격 배합(배치식, 연속식)
     ~ 설탕 제조시 부산물 : 당밀, 우지(액상원료)
2) 배합 시설 및 기기
                                  
        (스크루 피더)                      (자동 조절 패널)                             (사료 정선기)
 원료빈에서 계량호퍼 이동시 사용                                              배합기내 덩어리, 이물질 제거
     

 

                                
    (수직식 배합기)                      (수평식 배합기)                            (연속식 배합기)
                                                 
(열처리 가공 시스템)
             

1

펠릿(pellet)

미립사료   → 열, 압력, 수분→ 단단하고 큰 덩어리로 만듬

2

플레이크(flake) 가공

곡류       → 열, 압력, 증기→ ①가습  ②굽기 ③압축  ④건조 및 냉각    

3

익스트루전(extrusion)

익스트루더 → 열, 압력, 수분→ 공기 중으로 배출, 팽창

                                                   펠릿→  

(벌크 반출 및 포장 시스템)
  1. 공정 : 포장 사료용 : 20~25K 포대로 재봉  /  펠릿 : 1톤, 2톤 단위
  2. 벌크제품 빈과 포장기 ① 벌크 : 지상 4.2m 위에 커다란 원형 사료 저장고, 호퍼각 최소 60도
                          ② 포장기 : 계량, 재봉, 팰릿 작업 동시에 이뤄짐.
(집진 시스템 : 목적→공장 내 먼지제거  ex : 사이클론, 필터, 백
  ~ 설치효과 : ①노동생산성 개선,  ②공장 유지비 감소 ③주변과 원만한 관계유지  ④분진폭발 위험예방
(배합사료공장의 시설 배치)
  1. 사료 가공 시설 : 분쇄, 팰릿, 원표빈, 예비배합
  2. 원료 반입 시설 : 저장 및 원료 빈에 가까운 곳 위치
  3. 주원료 저장 시설 : 공장 밖, 분쇄기∙원료빈에 근거리 위치
  4. 보일러 및 액상 원료 저장시설 : 액상원료를 위한 보일러 시설
(사료 곡물의 저장)
∎ 곡품의 품질, 중량 저하시키는 요인 : 온도와 수분, 곰팡이, 곤충, 진드기 및 설치류 (곡물의 호흡은 큰 영향없다)
  ~ 온도와 수분 : 저온, 건조일때 저장기간 증가함.
  ① 온도 : 모든 미생물 성장 결정    /  ② 수분 : 곡물 평균 함수율 13%
(액상 원료 저장 및 첨가 시스템) 
1) 액상원료 : 탱크 트럭으로 반입되어 저장 탱크에 저장 된 후 펌프에 의해 가열 탱크로 보내진다.
    1. 당밀, 우지 : 설탕제조시 부산물
   2. 액상원료 저장탱크에서 가열탱크로 이송→스트레이너 통해 덩어리, 이물질 제거
    3. 가열→액상사료의 원활한 혼합위한 방책  ① 당밀 50c,   ② 우지 120c 가열 후 배합사료에 첨가
    4. 가방법 : 배합시, 펠릿시, 펠릿 제조 후 표면에
2) 액상원료 첨가기술 유의사항 : 가늘고 고운 입자의 분사가 중요
  1. 점도가 낮으면 펌핑, 분사가 잘됨.(온도를 높이면 점도가 낮아짐)
   2. 우지 : 60~90C까지 가열
   3. 당밀 : 45C이상 오래 가열하면 캐러멜 현상발생 (분사직전 짧은 시간 65~90C까지 가열 분사가능)
  4. 우지 저장탱크 : 3개월에 한번씩 청소
  5. 배합 후 덩어리 제거위해 정선기 이용, 겨울철 보온에 주의

(공장의 안전관리)
    1. 훈증 : 미생물 사멸→곡물 저장 엘리베이터, 곡물저장시설
   2. 훈증제 중독 예방 : 훈증제 특성 이해, 훈증제 노출 경감심 결여
       ~ 훈증제 중독사고 예방 ① 훈증 전∙후 24시간 이내 금주
                               ② 버킷 엘리베이터 아래쪽 구덩이, 건물 낮은지역 훈증가스 남아있으므로 주의
                               ③ 2인 1조 작업                       ④ 가축에게 급여시 알곡에만 사용.              -2-

 

 

 4장 사료의 가공 기술 
   ∎ 사료의 가공 처리의 득실에 대하여 개관하였는데, 생초나 건초는 세절하지 않고 전장으로 먹이는 것이 좋다.

   ∎ 건초와 볏짚 같은 것은 삶아 먹이지 말고 펠릿으로 만들어 먹이는 것이 섭취량을 많게 하여 좋다.

   ∎ 사료의 박편은 곡류를 증기로 처리하거나 또는 증기 처리 없이 열과 높은 압력을 가하여 납작하게 누른 것으로,        
     반추가축 동물에게는 사료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료를 삶거나 증기로 찌면 볏짚∙콩깍지같이 부피가 크고 딱딱한 것은 부드럽고, 용적 적어지며, 구수한 향미.

   ∎ 볏짚과 같은 저질 조사료는 여러 가지 화학적 처리를 하여 사료 가치를 증진시켜서 가축에게 급여한다.

(조사료의 물리적 처리)

∎ 건초 : 청초를 수분함량이 15%이하로 건조, 조사료 공급, 반추위 동물에 필수
1) 조사료의 건초

   1. 자연건조법 : 청초를 햇볕, 바람이용해 건조, 수분증발 촉진(프로피온산, 포름산, 건초압쇄기 이용)
  2. 발효건조법 : 청조를 퇴적해 발효열 이용,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갈색건초
  3. 인공건조법 : 통품, 화력

2) 사일리지 : 풀이 없는 고초기 급여, 축사내 주년 급여가 목적

   1. 원료의 예취 ① 사일리지 원료 수확 : 단위면적당 생산량 최대일때
                 ② 청예 옥수수의 수확적기→황숙기,    황숙기 제조시 단점→설사, 산미

   2. 예건 ① 적정 수분함량 70%(수분함량 적음 젖산균 번식 어려움),   하베스토아→적정수분량 50%
         ② 사일리지 내 : 수분과다→영양소 손실, 부족→유산균 증식억제             ③ 미생물 생육 위해 필요
   3. 세절 : 사료 잘게 부숨
      ①1~4cm 자름 취급 용이   ②사일로에 많은 양의 원료 충진    ③압착 잘됨      ④젖산발효가 생성되는 좋은 조건
   4. 원료 충진(사일로에 원료 투입), 진압(원료를 혐기상태로 만듬)
3) 조사료의 세절(짧게 자름), 분쇄(가루처럼 부숴뜨림)
  1. 세절 ①소화에 필요한 에너지 감소, 에너지 섭취량 증가, 허실량 감소
         ② 단점 : 지나친 세절은 섭취량 증가, 소화율 저하, 가공시 시간과 노동력 소요
  2. 분쇄(grinding) 및 펠릿팅
      ① 분쇄 : 기계이용해 조사료 입자크기 감소
      ② 펠릿팅 장점 : 사료섭취량 유생산량, 체중증가
      ③ 펠릿시 : 이상각화증 등의 역효과 발생가능

   3. 사료의 분쇄
       ① 장점 : 소화율 개선, 배합효율 증대, 가축 기호성 증진, 원료 취급의 편의성 증가
      ② 단점 : 사료단가 상승, 분진 발생, 가축의 위궤양 발생

(조사료의 화학적 처리)
                                                                                                       

1

가성소다 처리

① 헤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팽창으로 반추미생물의 소화 도움.

② 단점 : 고가, 취급어려움, 토양오염/  보완 : 건식처리 및 증기처리

2

암모니아 처리

알칼리 처리의 단점 보완, 소화율 향상, 조단백질 함량 증가

3

석회 처리

① 간이석회 볏짚 제조법 : 볏집을 석회수에 2~3일감 담궈둠
② 자비석회 볏집 제조법 : 삶는 방법
③ 석회수, 가성소다수를 표면에 뿌려 만드는 방법

4

과산화수소 처리

리그닌 제거, 저질사료의 소화율 개선, 생산성 증가

5

알칼리 처리

① 짚 부드러워짐, 규산 함량 적어짐, 소화효소의 침투 잘되 소화가 잘됨
② 전분가가 2~3배로 증가 (에너지가 수준이 밀기울과 비슷해짐)
③ 칼슘 공급 효과 커짐
④ 단점 : 영양소 파괴(단백질∙비타민∙카로틴 재료 알칼리 처리 NO), 영양소 손실 큼.

1

압편
= 롤링(rolling)
= 플레이킹(flaking)

① 2개의 편평한 롤러 사이로 곡류 통과시켜 납작하게 누름
② 종피에 흠을 내서 내부로 소화효소 침투 용이

③ 크림핑(crimping) : 파상인 양면 사이로 통과

2

앞출

①성글게 분쇄한 곡류→증기처리→압력→좁은구멍 통 / 녹말 젤라틴화로 소화율향상
②장점 : 기호성∙소화율 증진, 가축 급여용이, 성형가능, 양어용 이용가능

3

박편 처리

곡류→증기∙열∙압력 가해 누름→사료 깨뜨리지 않고 두께만 얇게 가공 후 수분 건조

4

볶기, 튀기기 가공

압력 급변 현상 이용 (수분함량 감소, 유해물질 사멸, 저장성 증진, 비용 저렴)

5

자비(물에 끓임),  
증기 처리

①장점 : 용적 감소, 향미증진, 병원균 사멸
②단점 : 단백질응고로 소화율↓, 연료∙노력손실, 비타민 파괴, 볏짚 섭취량 증가 NO

6

수침처리

전체 파쇄해서 물에 담금

7

가루사료

① 펠릿, 익스팬딩 제조위한 전단계, 가루사료보다 더욱 미세한 입자로 분쇄
② 단점 : 분진폭발 위험, 가축의 편식 가능성

8

팰릿팅

1)공정과정   ① 원료∙배합사료 입자도 조절
             ② 펠릿용 가루사료에 대한 사전 수열처리
             ③ 사전 수열처리 사료의 펠릿 성형, 절단, 건조
2)장점 : 소화용이, 미생물∙독성물질 감소,섭취량 증가, 허실양∙먼지 적음
3)단점 : 시설비 많이 듬. 열에 약한 비타민류 파괴                            -3-  

9

익스트루딩

1)원료 압축 충진→가압→배출구로 압출
2)목적 ①소화율∙이용성 극대화
      ②향영양성 인자의 불황성화
      ③단백질 열변성 극대화→구조 변화유발→보호단백질∙인조육 단백질 생산가능
       ④가공대상사료의 밀도∙비중∙부피 변화 가능성

10

익스팬딩

① 펠릿팅 전 에너지 투입 증가시켜 펠립 품질개선
② 펠릿보다 온도 높아 전분의 열처리 정도 커짐
③ 펠릿성형에 부적합한 고섬유사료, 고지방사료에 적용가능

11

플레이크

통 알곡→스팀→압편

(배합사료의 가공기술)

 5장 사료의 품질관리 
   ∎ 품질관리는 원료사료의 구매에서 최종 생산까지의 품질에 관한 일괄적인 관리를 뜻한다.

 

   ∎ 원료는 주로 외국에서 수입되며 윈료의 품질은 수분, 온도 등의 영향을 받는다.

   ∎ 최종 생산물은 색상, 냄새, 이물질의 혼입, 분쇄입자도, 가공상태를 점검한다.

   ∎ 최종 생산물은 화학분석을 실시하며 가장 좋은 품질검사는 직접 가축에 급여하는 사양시험이다.

   ∎ HACCP는 사료 원료의 입고부터 제조·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이다.

1) 배합사료의 생산원가 중 주원료비가 차지하는 비중 70% (옥수수)
2) 원료 영양성분량 변이 요인 1. 자연적 요인 : 원료의 품종, 생장조건, 원산지, 수확 및 저장방법
                            2. 가공 요인 : 종실의 착유, 전분제거, 탈피, 발효 및 첨가물 처리
                            3. 변이계수 : 가장 높은 원료→육골분,  가장 낮은 것→대두박
(원료의 성분규격)

   1. 곡류 : 물리적 특성 규정(용적비중∙수분함량∙이물질함량∙쇄살함량), 품질변이 심해 입고시 영양소함량 분석
  2. 식물성 단백질 사료 : 수분∙단백질 분석, 항영양성 인자 분석
  3. 동물성 단백질 사료 : 어분 : 살모넬라 오염원으로 작용
     ① 어분, 육분, 육골분(광우병 유인물질), 육분 탱키지, 혈분, 우모분, 가금 부산물, 골분
     ② 펩신 소화율 통해 열처리 여부 평가
  4. 유지(지방)사료 : 동물성(우지+돈지), 식물성(대두유, 옥수수)  

(원료의 저장 중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수분, 온도, 원료의 상태
   1. 수분 : 8%(생물학적 활동 중단), 23%(원료 사용불능), 수분∙습도 증가시→곤충 및 미생물 성장 활발해짐.
  2. 온도 : 곰팡이에 의한 손상
  3. 원료의 상태 : 원료의 변질 진행정도, 바구미나 기타 곤충의 오염정도, 곡류의 쇄실 함량

(부형제-carrier) : 표면 거칠고 구멍 있어 미세 첨가제를 표면에 잘 흡착할 수 있어야 함.  ex: 거친 말분, 대두분, 옥분
           
(사료의 품질검사 방법)
   1. 이화학적 방법
      ① 체에 의한 선별 및 비중선별
     ② 용적중 측정 : 일정한 용적에 대한 사료의 중량,  용적중 젤 가벼운 것→전분박
     ③ 현미경 검사 : 크기작아 육안 식별 어려운 시료 확대 검사                                                    
   
 2. 화학적 방법

 

 

                   이용 기계

1

수분

건조용 오븐

2

조단백질과 아미노산

조단백질→켈달장치

3

조지방과 지방산

조지방→에테르∙속슬렛,  근래→속스텍∙지방 추출기

4

조섬유

남는 잔류물 태워 측정

5

조회분과 광물질

조회분→전기 회화로(연소로)

6

총에너지

열량 측정기 이용


(HACCP-해썹 : 사료 원료 입고~제조∙유통에 이르는 전과정)
  1. 위해물질이 사료에 혼입∙오염되는 것 사전 방지 위해 각 과정 관리하는 기준
  2. 위해분석(HA), 중요관리점(CCP)

                                            -4-      
 6장 농후사료 
   ∎ 가축에게 필요한 영양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에너지원이 되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이다

 

   ∎ 배합사료 중의 약 70% 정도는 곡류사료가 차지하기 때문에 이들이 사료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다.

   ∎ 옥수수는 배합사료의 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중요한 단미사료원이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 밀을 너무 곱게 분쇄하면 입안 및 소화기관 내에서 끈기가 있는 반죽 모양의 식괴를 이루어
      기호성을 떨어뜨리며 소화기 장애를 일으키므로 약간 거칠게 분쇄하여 급여하는 것이 좋다
  ∎ 강피류 : 밀을 도정할 때 생산되는 밀기울, 벼의 도정과정에서 나오는 쌀겨, 옥수수 제분과정에서 부산물이다.

   ∎ 옥수수 가루 제조시 20~22%, 밀가루 제조시 25~28%, 현미도정시 5~6%가 생산된다

   ∎ 비타민 B군∙인∙단백질∙조섬유가 많으나 변이가 심한 것이 문제이며 영양소의 함량을 조절하는 데 이용된다.

   ∎ 근괴사료로 타피오카가 많이 사용되는 데 리나마린이란 유해성분이 있어 문제가 된다.
   ∎ 지방사료는 사료에 에너지를 배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그 종류로는 동물성과 식물성이 있다.

   ∎ 동물성 중 우지, 돈지, 계유 등이 가격상 사료로 이용되며 특히 도축시 많이 생산되는 우지가 많이 사용되며
       이 때 많이 사용하면 축산물의 상품가치가 낮아질 수 있다.

   ∎ 식물성 단백질원 : 종실에서 채유하고 남은 부산물이 이용, 대두박(가장 많이이용),을 임자박, 호마박, 채종박, 아마박 등이 있다.

   ∎ 식물성 박류는 그 속에 영양저해물질이 있고 고시폴, 글루코시놀레이트, 미로시나제 등이 함유되어 있다.

 

(농후사료)

1

에너지 사료

1. 가축에게 필요한 영양소 중 중요한 것은 탄수화물과 단백질(에너지원)
2.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 가소화에너지(DE), 정미에너지(NE)로 표시

3 ① 곡류 사료   : 탄수화물(배합사료 중 70% 차지) : 옷수수, 밀, 보리 등
  ② 강피류 사료 : 강피류 : 밀기울, 쌀겨, 보리겨 등
  ③ 근괴  사료  : 근괴사료-전분 :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등                  

2

지방질 사료

1. 가축 생산능력에 따라 에너지수준을 높여야 하는데 곡류만으로 충족 못함 
2. 유지사료 ① 식물성 기름 : 옥수수 기름 등
           ② 동물성 기름 : 어유, 쇠고기 기름 등

3

단백질 사료

각종 종실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박류     ① 식물성 : 대두박, 면실박 등
                                       ② 동물성 : 어분, 육가공 등

                                                                                                                     
   
--------------------------------------     에너지 사료 (곡류, 강피, 근괴)  --------------------------------------------------


(곡류 사료) : 에너지 공급원, 현재 국내에선 대부분 곡류사료를 수입에 의존  ex: 옥수수,수수,밀,보리,귀리,호밀,조,쌀 등

 옥수수-곡류 : 배합사료의 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미사료원
    1. 가용무질소물(NFE)이 주(탄수화물): 각종 에너지(TDN, DE, ME, NE)가 높은 것은 NFE 함량도 높음.
   2. 전분 에너지∙지방→ 높음.     /  3. 조섬유∙단백질∙칼슘∙인→적음.
   4. 제한 아미노산 : 트립토판, 리신

 밀(소맥)-곡류 : 주성분 전분(용도→밀가루 생산), 옥수수∙보리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음.

   1. 단백질의 아미노산 이용성 좋아 사료가치가 우수. 글로텐(찐득한) 함량 높음(좋은 펠릿 제품가능)
  2. 급여  ① 거칠게 분쇄 (곱게 파쇄 급여시 : 기호성저하, 소화장애야기)

           ② 단독급여시(단미사료로)→ 설사, 식욕부진(피틴태로 인한)
  3. 주요 생산국 : 유럽연합, 인도, 중국, 미국

   4. 돼지→배장근 면적 증가기여,   반추동물→성글게,     면양→통밀로 급여
  5. 제한 아미노산 : 리신 , 메티오닌


 수수-곡류 : 주성분 전분, 사료적 가치 옥수수와 유사, 단백질∙칼슘∙비타민 D 함량 낮음
   ~ 결점 : 탄닌(떯은 맛) 함량 높아 기호성, 소화율 저하

 

 보리-곡류 : 주로 식용, 가격이 비싸 사료로 어려움.(최근 총체보리로 이용)
  1. 닭 ① 육성중 닭, 브로일러 : 사용량 제한 (에너지 낮고 섬유소 많기 때문)     ② 산란계 : 옥수수 전량대체가능
  2. 돼지 : 육성돈→등지방 두께 얇게(체지방 희고 굳게), 배장근 단면적 넓게
  3. 반추가축 : 옥수수∙수수에 비해 사료가치 저하(겉보리에 섬유서 많아 전분이 낮음)
   
 연맥-곡류 : 전분이 주성분
  1. 서아시아가 원산, 저온강함, 척박토양 잘자람, 위도 높은곳 많이 생산, 단위동물 부적합(조성분 함량 높음)
  2. 말 : 사료로 이용, 위궤양 예방 효과
   3. 가금 : 카니발리즘 예방, 제한 급여목적 사용
  4. 돼지 : 등지방 두꼐 감소, 위궤양 발생 억제효과

 호밀-곡류 : 사초용 종자로 주로 수입, 식빵 제조용, 앙콜생산용으로 이용, 밀과 유사
 쌀-곡류 : ① 사료로 이용시 가격이 비쌈  →② 총체벼로 이용 : 알곡 달린 식물전체를 사일리지 형태로 저장이용

(강피류) : 1. 가루 제조시 (%)                                                                                          -5-
         2. 에너지 공급원, 현재 국내에선 대부분 곡류사료를 수입에 의존  ex: 옥수수,수수,밀,보리,귀리,호밀,조,쌀 등
         3..곡물 가공해 사람이 식용할 전분 제외한 부산물
          4. 종류 : 밀기울, 쌀겨, 보리겨, 대두피, 옥수수겨, 탈지강, 글루텐 피드
          5. 함량 많은 것 : 단백질, 조섬유 비타민 B, 인(에너지 함량은 적다)
         6. 부피가 커서 영양소 함량 조절 유용(가축의 변비방지, 영양소 희석제)
         7. 제한아미노산 : 메티오닌

 밀기울(강피류) : 종류 → 밀기울, 중분, 말분, 정강, 세실, 밀배아         

1

 옥수수

 20~22

2

 밀가루

 25~28

3

 현미도정

  5~6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6427 0 2022.12.24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2907 0 2023.09.20
공지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4 file 게시판관리 2324 2 2024.03.11
822 일반 방송통신대학교 - 농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10 게시판관리 3264 0 2014.02.10
821 농학과 왜..아무것도없지요 ㅠㅠ 1 뭐라고라 1891 1 2014.03.03
820 조용한 학구열~~~~^6^ 2 꺼벙이 1853 0 2014.03.04
819 농학과 모여라 ~ 3 세계미녀농부 2160 0 2014.03.10
818 나의 농부 여행기 2 file 꿈의농부 2066 0 2014.03.11
817 ㅍㅎㅎ 2 꺼벙이 2990 0 2014.03.12
816 우리 농학과는.............텅텅비었네요... 3 jeha1130 2382 2 2014.03.25
815 공부는 어떻게~~ 1 yj50002 1255 0 2014.08.31
814 3학년 이런.... 활성화가 안돼어있네요 1 사라다 568 1 2015.02.06
813 조용한 학과 2 슬픈호랑이 605 0 2015.02.23
812 신입생 문의 드립니다. 4 서기윰 662 0 2015.02.25
811 3학년 오늘(2015.08/12(화) ~ 첨~ 가입했는데..농학과 게시판이 어찌 썰렁하네여... 2 한도은 565 1 2015.08.18
810 3학년 가입인사겸 좋은 사이트 몇군데 알려드려요. OTL .. 지금보니 제목이 스팸 같네요... 이대희 637 1 2015.12.16
809 잘부탁드립니다 주가령 290 0 2016.02.24
808 농학과 1학년!! 3 file 빠른20살 531 0 2016.03.04
807 안녕하세요~ 1 하얀구슬 310 1 2017.02.07
806 3학년 봄이 오나봐요~ 투명 363 0 2017.03.03
805 3학년 2018 편입했어요 3 조재형 379 1 2018.01.29
804 3학년 3학년 편입했습니다. 1 연금술사 598 2 2018.02.19
803 일반 고추비료 주는 방법과 시기, 시비량, 비료 1 file 화이트원 16222 0 2019.06.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2 Next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