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원예작물학(1-70p)
001. 채소의 식품적 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기질의 급원이다. ② 비타민의 급원이다.
③ 산성식품이다. ④ 약리적 효능이 있다.
정답 & 풀이 ③ / 9p 채소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002. 주요 채소의 기능적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① 고추-캡사이신 ② 토마토-리코핀,루틴
③ 치커리-락투신 ④ 생강-시니그린
정답 & 풀이 ③ / 15p 치커리-인티빈,클로로제닌산이다. 락투신은 상추의 주요물질이다.
003. 채소의 원산지와 주요채소가 다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중국,한국- 배추,참외 ② 지중해연안- 양배추,아스파라거스
③ 남아메리카- 호박(서양계),감자 ④ 중앙아시아- 오이,가지
정답 & 풀이 ④ / 25p 중앙아시아는 무,당근,양파,갓 멜론(2차) 등이 있고 오이,가지는 인도,열대아시아 채소이다.
004. 한국채소의 발달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홍만선의 [산림경제]에는 채소의 종자처리, 파종방법, 병충해방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② 19세기 후반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도시 근교의 채소원예가 성행하였다.
③ 1905년에 서울 뚝섬에 권업모범장을 설치하여 생산성향상에 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④ 1963년에 창립된 한국원예학회는 우리나라 굴지의 학회로 발전하였으며 분과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정답 & 풀이 ③ / 28p~31p
③번은 원예모범장에 대한 설명이다. 1905년에 서울 뚝섬에 원예모범장을 설치하여 생산성향상에 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005. 식용부위에 따른 채소의 분류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엽경채류- 배추, 파 ② 과채류- 무, 호박
③ 근채류- 셀러리, 마늘 ④ 엽경채류- 우엉, 마
정답 & 풀이 ① / 34p 엽경채류는 배추,양배추,시금치,상추,셀러리,마늘,양파,파 등이 있다.
006. 채소의 식물학적 분류의 학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마늘- Allium cepa L.
② 양배추-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③ 고구마- Ipomoea aquatica Forsk
④ 콩- Glycine max Merr
정답 & 풀이 ③ / 37p~40p 고구마의 학명은 Ipomoea batatas Lam.이다.
007. 채소작물의 품목별 현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채소재배면적의 43%는 김치의 양념재료가 되는 조미채소류가 차지한다.
② 과채류는 연중 소비요구가 커 시설재배면적 비율이 75%이상을 차지한다.
③ 양파는 총 채소면적의 19.3%를 차지하고 있다.
④ 배추, 무, 마늘은 총 채소면적의 10%이상을 차지한다.
정답 & 풀이 ③ / 52p~53p 고추는 총 채소면적의 19.3%를 차지하고 있다.
008. 채소작물 작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통재배는 일반노지에서 가장 적합한 시기에 어떤 시설도 이용하지 않고 재배하는 방식을 말한다.
② 반촉성재배는 온상에 육묘한 다음 시설 내에 정식하여 생육 또는 수확기의 전반까지는 보온이나 가온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이다.
③ 억제재배는 생육 또는 수확기의 전반까지는 노지로 재배하다가 후반부터는 보온이나 가온을 하면서 재배한다.
④ 촉성재배는 주로 온상에서 육묘하여 마지막 서리의 위험이 지난 다음 본밭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정답 & 풀이 ④ / 55p~57p 조숙재배는 주로 온상에서 육묘하여 마지막 서리의 위험이 지난 다음 본밭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009. 채소작물 경영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김해, 순천 등지는 기후가 온난하여 과채류의 촉성재배에 유리하다.
② 열무, 솎음배추, 알타리무 등이 가정원예에서 많이 이용된다.
③ 관광원예는 여가선용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면서 한편으로 생산물을 판매하는 경영형태이다.
④ 고랭지원예는 겨울철은 매우 추워 작물 선택이 제한되며, 평난지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량이 많다.
정답 & 풀이 ④ / 57p~64p 고랭지원예는 겨울철은 매우 추워 작물 선택이 제한되며, 평난지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량이 적다.
010. 채소의 주요 색소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카로티노이드계-리코핀,루틴 ② 안토시아닌계-크산틴,프라가린
③ 플라보이노드계-캅산틴,루틴 ④ 베타레인계-베타시아닌
정답 & 풀이 ④ / 14p 베타레인계-베타시아닌만 맞게 짝지어졌다.
011. 다음 중 채소와 기능성 물질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p.15
①고추 - 루틴 ②양배추 - 이눌린
③수박 - 엘라테린 ④생강 - 시니그린
정답 &풀이 ④ 고추 - 캡사이신 / 양배추 - 비타민U / 수박 - 시트룰린
012. 다음 중 카로티노이드계의 색소성분으로 볼 수 없는 것은? p.14
①리코핀 ②크산틴 ③루틴 ④캅산틴
정답 &풀이 ③ 루틴은 플라보오니드계의 색소성분에 속한다.
013. 다음 중 백합과에 속하는 작물로 볼 수 없는 것은? p.37~40
①아스파라거스 ②부추 ③리크 ④토란
정답 &풀이 ④ 토란은 천남성과에 속한다.
014. 다음 중 서양채소로 볼 수 없는 것은? p.33
①양송이 ②연근 ③강낭콩 ④피망
정답 &풀이 ② 연근은 동양채소에 속한다.
015. 시설 내에서 생육의 전기간을 가온이나 보온을 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의 작형으로 옳은 것은? p.54~57
①조숙재배 ②보온재배 ③촉성재배 ④보통재배
정답 &풀이 ③ 촉성재배에 대한 설명이다.
016. 우리나라의 일반 고추재배의 작형으로 옳은 것은? p.54~57
①억제재배 ②촉성재배 ③반촉성재배 ④조숙재배
정답 &풀이 ④ 우리나라의 일반 고추재배는 대부분 조숙재배로 이루어진다.
017. 다음에서 색소성분의 계통이 바르지 않은 것은 ? 14p
① 리코핀 - 카르티노이드계 ② 크산틴 - 카르티노이드계
③ 케르세틴 - 플로보노이드계 ④ 델피니딘 - 베타레인계
정답 & 풀이 ④ 델피니딘 - 안토시아닌계
01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0-12P
① 비타민 A는 정상적인 발육과 상피세포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② 비타민 A는 농녹색의 채소 잎에 많으며 녹색의 정도에 따라 함량이 크게 다르다.
③ 비타민 C는 피부와 연골에 있는 콜라겐의 생성과 아미노산의 대사에 관여한다.
④ 비타민 A는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딸기, 피망 등에, 비타민 C는 고춧잎, 쑥갓, 시금치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정답 & 풀이 ④ 비타민 A는 고춧잎, 쑥갓, 시금치 등에, 비타민 C는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딸기, 피망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001. 채소의 식품적 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기질의 급원이다. ② 비타민의 급원이다.
③ 산성식품이다. ④ 약리적 효능이 있다.
정답 & 풀이 ③ / 9p 채소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002. 주요 채소의 기능적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① 고추-캡사이신 ② 토마토-리코핀,루틴
③ 치커리-락투신 ④ 생강-시니그린
정답 & 풀이 ③ / 15p 치커리-인티빈,클로로제닌산이다. 락투신은 상추의 주요물질이다.
003. 채소의 원산지와 주요채소가 다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중국,한국- 배추,참외 ② 지중해연안- 양배추,아스파라거스
③ 남아메리카- 호박(서양계),감자 ④ 중앙아시아- 오이,가지
정답 & 풀이 ④ / 25p 중앙아시아는 무,당근,양파,갓 멜론(2차) 등이 있고 오이,가지는 인도,열대아시아 채소이다.
004. 한국채소의 발달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홍만선의 [산림경제]에는 채소의 종자처리, 파종방법, 병충해방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② 19세기 후반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도시 근교의 채소원예가 성행하였다.
③ 1905년에 서울 뚝섬에 권업모범장을 설치하여 생산성향상에 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④ 1963년에 창립된 한국원예학회는 우리나라 굴지의 학회로 발전하였으며 분과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정답 & 풀이 ③ / 28p~31p
③번은 원예모범장에 대한 설명이다. 1905년에 서울 뚝섬에 원예모범장을 설치하여 생산성향상에 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005. 식용부위에 따른 채소의 분류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엽경채류- 배추, 파 ② 과채류- 무, 호박
③ 근채류- 셀러리, 마늘 ④ 엽경채류- 우엉, 마
정답 & 풀이 ① / 34p 엽경채류는 배추,양배추,시금치,상추,셀러리,마늘,양파,파 등이 있다.
006. 채소의 식물학적 분류의 학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마늘- Allium cepa L.
② 양배추-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③ 고구마- Ipomoea aquatica Forsk
④ 콩- Glycine max Merr
정답 & 풀이 ③ / 37p~40p 고구마의 학명은 Ipomoea batatas Lam.이다.
007. 채소작물의 품목별 현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채소재배면적의 43%는 김치의 양념재료가 되는 조미채소류가 차지한다.
② 과채류는 연중 소비요구가 커 시설재배면적 비율이 75%이상을 차지한다.
③ 양파는 총 채소면적의 19.3%를 차지하고 있다.
④ 배추, 무, 마늘은 총 채소면적의 10%이상을 차지한다.
정답 & 풀이 ③ / 52p~53p 고추는 총 채소면적의 19.3%를 차지하고 있다.
008. 채소작물 작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통재배는 일반노지에서 가장 적합한 시기에 어떤 시설도 이용하지 않고 재배하는 방식을 말한다.
② 반촉성재배는 온상에 육묘한 다음 시설 내에 정식하여 생육 또는 수확기의 전반까지는 보온이나 가온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이다.
③ 억제재배는 생육 또는 수확기의 전반까지는 노지로 재배하다가 후반부터는 보온이나 가온을 하면서 재배한다.
④ 촉성재배는 주로 온상에서 육묘하여 마지막 서리의 위험이 지난 다음 본밭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정답 & 풀이 ④ / 55p~57p 조숙재배는 주로 온상에서 육묘하여 마지막 서리의 위험이 지난 다음 본밭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009. 채소작물 경영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김해, 순천 등지는 기후가 온난하여 과채류의 촉성재배에 유리하다.
② 열무, 솎음배추, 알타리무 등이 가정원예에서 많이 이용된다.
③ 관광원예는 여가선용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면서 한편으로 생산물을 판매하는 경영형태이다.
④ 고랭지원예는 겨울철은 매우 추워 작물 선택이 제한되며, 평난지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량이 많다.
정답 & 풀이 ④ / 57p~64p 고랭지원예는 겨울철은 매우 추워 작물 선택이 제한되며, 평난지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량이 적다.
010. 채소의 주요 색소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카로티노이드계-리코핀,루틴 ② 안토시아닌계-크산틴,프라가린
③ 플라보이노드계-캅산틴,루틴 ④ 베타레인계-베타시아닌
정답 & 풀이 ④ / 14p 베타레인계-베타시아닌만 맞게 짝지어졌다.
011. 다음 중 채소와 기능성 물질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p.15
①고추 - 루틴 ②양배추 - 이눌린
③수박 - 엘라테린 ④생강 - 시니그린
정답 &풀이 ④ 고추 - 캡사이신 / 양배추 - 비타민U / 수박 - 시트룰린
012. 다음 중 카로티노이드계의 색소성분으로 볼 수 없는 것은? p.14
①리코핀 ②크산틴 ③루틴 ④캅산틴
정답 &풀이 ③ 루틴은 플라보오니드계의 색소성분에 속한다.
013. 다음 중 백합과에 속하는 작물로 볼 수 없는 것은? p.37~40
①아스파라거스 ②부추 ③리크 ④토란
정답 &풀이 ④ 토란은 천남성과에 속한다.
014. 다음 중 서양채소로 볼 수 없는 것은? p.33
①양송이 ②연근 ③강낭콩 ④피망
정답 &풀이 ② 연근은 동양채소에 속한다.
015. 시설 내에서 생육의 전기간을 가온이나 보온을 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의 작형으로 옳은 것은? p.54~57
①조숙재배 ②보온재배 ③촉성재배 ④보통재배
정답 &풀이 ③ 촉성재배에 대한 설명이다.
016. 우리나라의 일반 고추재배의 작형으로 옳은 것은? p.54~57
①억제재배 ②촉성재배 ③반촉성재배 ④조숙재배
정답 &풀이 ④ 우리나라의 일반 고추재배는 대부분 조숙재배로 이루어진다.
017. 다음에서 색소성분의 계통이 바르지 않은 것은 ? 14p
① 리코핀 - 카르티노이드계 ② 크산틴 - 카르티노이드계
③ 케르세틴 - 플로보노이드계 ④ 델피니딘 - 베타레인계
정답 & 풀이 ④ 델피니딘 - 안토시아닌계
01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0-12P
① 비타민 A는 정상적인 발육과 상피세포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② 비타민 A는 농녹색의 채소 잎에 많으며 녹색의 정도에 따라 함량이 크게 다르다.
③ 비타민 C는 피부와 연골에 있는 콜라겐의 생성과 아미노산의 대사에 관여한다.
④ 비타민 A는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딸기, 피망 등에, 비타민 C는 고춧잎, 쑥갓, 시금치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정답 & 풀이 ④ 비타민 A는 고춧잎, 쑥갓, 시금치 등에, 비타민 C는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딸기, 피망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