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학)
1장 사료의 분류 및 한국 사료산업의 현황
1) 사료학 : 가축이 생명유지, 생산활동 할 수 있는 영양소가 포함된 사료에 대한 영양적 가치와 향상을 연구하는 학문.
2) 사료 선택 시 고려사항 1. 영양소공급, 이용성, 기호성, 소화, 취급 간편성, 친환경, 메탄까스
2. 안전성 담보 : 사료에서 기인하는 광우명(BSE-육골분)
3. 경제성 : 사료비→전체 축산경영의 60% 이상 차지
3) 영양가치에 따른 사료의 분류 : 조사료, 농후사료, 보충사료
∎ 조사료
1. 초식동물 : 셀룰라아제 효소에 의해 소화, 섬유질(셀룰로오스) 함량이 높음. 용적 많음(소, 염소)
2. 반추, 비반추 초식동물의 유지사료
3. 축우 : TMR로 급여(완전배합사료)
4) 1. 단미사료(feed ingredient) : 배합사료에 혼합되는 하나하나의 원료 ex: 옥수수 : 도입 곡물 중 젤 많음.
2. 배합사료 : 사료공장에서 규격에 맞게 생산된 것, 곡류, 강피류 : 배합사료에서 60%이상 차지
~ TMR (total mixed ration) : 조사료+농후사료+첨가제, 완전 혼합사료
5) 우리나라 농후사료는 1970년대 초 본격생산하기 시작, 최초 년간 32만 톤에서 최근에는 1,500만 톤을 생산함.
6) 축종별 생산량
~ 양돈 : 34~38(국내 배합사료 중 가장 많음)/ 양계: 25~2/ 낙농: 7.1~11/ 비육우: 17~18/ 기타: 6~7
3장 배합사료의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