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강. 제초제2
1. 제초제 중 글리포세이트(glyphosate)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이행성 제초제이다.
② 비선택성 제초제이다.
③ 과수원이나 비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방제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❹ 토양처리형 제초제이다.
(글리포세이트는 경엽처리형 제초제이다.)
2. 산아미드계 제초제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대부분 잡초발생전 또는 작물을 심기 전에 토양에 처리하는 제초제이다.
② 이 제초제는 토양표면을 뚫고 나오는 신초나 뿌리에 흡수된다.
❸ 이 제초제는 식물체의 분열조직에 집적되어 억제작용을 한다.
④ 해당되는 제초제로는 alachlor, butachlor 등이 있다.
(산아미드계 제초제는 생식기관보다 영양기관에 집적된다. )
8강. 제초제의 흡수·이행·대사
1. 식물체에 처리된 제초제를 흡수하는 부위가 아닌 것은?
① 뿌리
② 종자 및 신초
③ 잎
❹ 목질화된 줄기
(제초제 흡수 부위는 뿌리, 종자 및 신초, 잎, 줄기 등이다.)
2. 광합성 산물이 잎에서 각 부위로 이행하는 것을 체관부 이행이라고 한다.
❶ O
② X
(광합성의 생성물은 생성부위에서 이용 부위로 이행된다. 이때의 이행을 체관부 이행이라고 한다. 물관부 이행은 뿌리에서 물을 잎까지 이행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