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통계학 2019년 2학기 기말
1. 다음 중 정규분포 N( , )의 분포 특성을 좌우하는 수치는? 6장 (129)
① 모수 ② 관찰값 ③ 특성값 ④ 통계량
2. 자료의 퍼짐정도를 나타내는 통계량은? 5장 (96)
① ② ③ ④
①중앙값 ②모수분산 ②가중평균 ④산술평균 ①③④대푯값으로 위치를 나타낸다.
3. 옳은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받아들일 때 발생하는 오류는? 9장 (186)
① α ② β ③ 1-β ④ 제 3종오류
4. 가설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경우는? 9장 (191, 199, 202)
① > 0 ②
③ p < 0.001 ④
P값은 유의확률.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최소한의 유의수준을 의미한다. 즉, 귀무가설을 채택할 때 기각값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P<α일 때 귀무가설 기각
5. 가설검정을 양측검정으로 해야 하는 경우는? 9장 (193)
가. 고단백 사료가 돼지 체중증가에 효과적인지를 검정한다.
나. 신품종 고추의 수확량이 기존 품종과 차이가 있는지 검정한다.
다. 안토시아닌 함량이 조만성을 높이는지 검정한다.
라. 신농약이 기존의 것보다 배추벌레 박멸에 효과적인지 검정
1. 다음 중 정규분포 N( , )의 분포 특성을 좌우하는 수치는? 6장 (129)
① 모수 ② 관찰값 ③ 특성값 ④ 통계량
2. 자료의 퍼짐정도를 나타내는 통계량은? 5장 (96)
① ② ③ ④
①중앙값 ②모수분산 ②가중평균 ④산술평균 ①③④대푯값으로 위치를 나타낸다.
3. 옳은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받아들일 때 발생하는 오류는? 9장 (186)
① α ② β ③ 1-β ④ 제 3종오류
4. 가설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경우는? 9장 (191, 199, 202)
① > 0 ②
③ p < 0.001 ④
P값은 유의확률.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최소한의 유의수준을 의미한다. 즉, 귀무가설을 채택할 때 기각값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P<α일 때 귀무가설 기각
5. 가설검정을 양측검정으로 해야 하는 경우는? 9장 (193)
가. 고단백 사료가 돼지 체중증가에 효과적인지를 검정한다.
나. 신품종 고추의 수확량이 기존 품종과 차이가 있는지 검정한다.
다. 안토시아닌 함량이 조만성을 높이는지 검정한다.
라. 신농약이 기존의 것보다 배추벌레 박멸에 효과적인지 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