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강 공중보건학의 개요 ◎ 공중보건학의 개요 √ 공중보건학(公衆保健學)이란? Public Health : 인구집단의 건강을 보호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학문 √ 공중보건학의 분야 환경보건분야 : 환경위생, 식품위생, 산업보건 등 질병관리분야 : 역학, 감염병관리, 만성질환관리 등 보건관리분야 : 보건행정, 인구보건, 보건영양, 학교보건, 보건교육, 보건통계 등 ❶ 공중보건학의 개념 ◎ 공중보건학의 정의(Winslow) ✚Public health is the art and science of preventing disease, prolonging life and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efficiency through organized community effort ✚공중보건학이란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며 과학이다. ◎ 공중보건학의 목표 ① 질병예방 ② 수명연장 ③ 신체적•정신적 효율 증진 √ 지역사회 노력(수단) ① 환경위생관리 ② 전염병관리 ③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④ 의료 및 간호서비스의 조직화 ⑤ 건강유지를 위한 사회제도의 발전 ◎ 공중보건학의 유사학문 공중위생학 : 환경위생에 중점을 두고 인구집단의 질병예방 및 건강관리를 다루는 학문 예방의학 : 의학에 기초를 두고 개인 또는 가족 중심으로 질병예방 및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문 지역사회 보건학 :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지역사회가 주체가 보건문제 해결에 관한 학문 지역사회 의학 :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그 지역의 보건의료문제 해결에 관한 학문 사회의학(social medicine) : 질병 또는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을 규명하여 건강을 증진 시키기 위한 학문 건설의학(construction medicine) : 최고 수준의 건강상태 도달을 목표로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문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