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올해 3학년 2학기에 편입한 학생입니다.
법학과로 편입은 했지만 실제로 법 공부는 처음 하는 것이라 모르는 것이 많네요.
내일까지가 최종수강신청일이라 제대로 신청한 게 맞을지 염려도 되고
하는 것이 따로 있어 괜한 욕심을 부린 것일까 걱정도 되지만 여기에서 많이 여쭤보며 도움 받겠습니다.
듣기로는 3학년이지만 저학년 과목부터 들어야 수월하다는 말이 있던데 정말인가요?
저번 등록기간에 이미 수강신청을 하고 교재도 구입해서 이미 한달 가까이 지나 교환도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긴 하지만 필요하다면 한두과목 정도는 저학년으로 다시 신청하여 교재도 구매할 예정입니다.
원격교육 제외하고
생활법률(3-교양)
인권법(4), 환경법(4)
세법(3), 법철학(3)
기본권의기초이론(2)
현재 이렇게 신청해둔 상태입니다.
법철학이 어렵다는 얘기를 듣기도 했고
현재 하는 일 때문에도 그렇고
과목 수를 줄여
인권법 세법 기본권의기초이론
생활법률 물권법
이렇게 신청을 할까 합니다.
물권법도 어렵다는 말이 있긴 했는데
통치의 구조가 1학기 헌법과목과 이어지는 것 같아서 아무 배경지식 없이 2학기에 들어도 되는 것인지 걱정이 되어서요.
(사실 어떤 과목이건 다 처음 접하는 제겐 어려울 것이라 보이지만)
형법각론이라는 과목도 있던데
1학기에 총론과목이 있더라구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총론을 들어야 각론이 더 쉽게 이해가 되나요?
아니면 연결지점은 있지만 각론을 들어도 무방한 것인가요?
통치의 구조나 2학기 다른 과목들도 1학기와 큰 연결성이 있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어렵다고 정평난 과목들은 어느정도로 어려울까요? 물론 개인차가 있을테고 그것에 좌우되지 않아야함을 알지만..
타과목에 비해 이해부분에 더 많은 노력을 들여야하는 것에서 어려운 것인지 과제나 교수님 수업이 어려운 것인지 궁금합니다.
질문요약을 하자면
1.저학년 과목을 우선 듣는 것이 더 쉽게 접근하는 방법일까요?
2.각론/총론 등 학기별 과목 연계성이 큰 편인가요?
3.특별히 어려운 과목이 있을까요?
정도 될 듯합니다.
아시는 한해서라도 답변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