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미한 기억을 더듬으면서 적는거라 정확하지 않을 순 있어요 !
그리고 제가 적었던 것들은 문제로 나온 것도 있지만 번호로 나와서 정답이였던 것도 있어요 ! 이것저것 혼합되어 있으니 참고만 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
산업복지
필라데피아 선언 관련 문제
시대적 노동의 특징
구조체계적 접근에서 노동이란?
여성 노동의 의미
관점에 따른 잇슈
갈등의 제도화
구조체계적 1차적 합의, 2차적 합의
노동의 원자화랑 고용관계 개별화를 하는 이유는?
연대임금제도
작업장 위험에 대한 계급적 성격
산재보험
장애인 차별의 내용
산업복지는 문제 잘 읽으시고 말이 안되는 것만 고르시면 술술 풀리실꺼예요!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되는 과목인 것 같습니다!!
제가 어려운 문제들은 즐겨찾기(?) 했었는데 산업복지론이 제일 없었어요!! 그래도 기본적인 용어는 공부하셔야 할 것 같아요~
사회복지개론
기출문제에 계속 나오는 개인 vs 제도
영국 인구 조사국 vs 올리버
케인스 vs 하이에크
버츠캘리즘 vs 블래처리즘
역사적 제도주의
신빈민법
렌 마이드너 모델
에스핑 앤더스의 탈 상품화 & 계층화
사회복지 분야 기관의 기능
선배시민 2문제
한국의 노동 정치 역사
사회복지개론은 기출문제 그대로 나온 경우도 있긴 한데 생각보다 강의 내용의 문제가 더 많았던 느낌이예요 ㅠㅠ
약간 뒷통수 맞은 느낌이였습니다... 제일 쉬울 줄 알아서 가볍게 공부했었거든요..
교재, 워크북으로 공부 팠는데 처음보는 멘트..? 같은 것도 많았어서 너무 기출이랑 워크북에 의존하면 안될 것 같은 느낌이예요 ! 제 개인적인 느낌입니당 ! 참고만 해주세요!!
장애인복지론
장애인 복지 이념
장애유형
장애인 직업 재활 시설 3가지
맞춤형 고용 서비스
장애인 복지 관련 바우처
자립생활 지원서비스 내용
생애주기별 장애 특징
장애와 가족 특징
장애인 복지가 제일 기억에 안남네용..
++++장애인 복지 용어도 중요하긴 한데 그 배경이라고 해야하나..? 전체적인 흐름으로 기억하시면 좀 더 문제 풀이에 용이하실꺼예요~
예를 들면 1960년대에는 무슨 시설이 설립되었는지? (문제에 안나왔습니다!!) 이런식으로 지문에 많이 나와요!
이제 3과목 끝났네요 저는 다음주 금요일에 또 3과목 남아있어서 다시 공부하러 총총..
다들 마지막 기말까지 끝까지 화이팅 해주시고 !
저의 글이 미래의 시험 치는 학우와 후배들에게 큰 도움이 됐다면 만족입니당 ^_^
#산업복지 #사회복지개론 #장애인복지론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