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생 프로파일을 작성 너무 어려워요. 과제 보다 더 여럽네요.
선배님들께 궁금한 점이 있어서 도움요청합니다.
전공이수과목 적을때,
제가 청소년 교육학과의 '가족상담 및 치료'을 신청했는데요,
프로파일에 적어도 되는 건가요? 헷갈립니다.
실습목표를 달성 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은 어떻게 적어야 할까요.
복지실천론이랑 복지실천기술 배운적이 없어서 실천관련한 척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기재해야 하는지 작성 팁 부탁드려요.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가족상담 및 치료는 적으시면 됩니다.
# 실습을 마친 후 목표달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은 그렇게 어렵게 생각 안 하셔도 됩니다.
프로파일 6번. 실습을 통해서 성취하고자 하는 본인의 목표를 세 가지 정도 적으셨으면,
그 세 가지 목표에 대해 달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을 적는 것이고요.
실천론/실천기술 과목과 상관 없어요.
참고로 제가 한 것 공유할께요. 참고만 하세요. 지도교수님이 오케이 하신 건이에요.
======================================================
6. 실습을 통해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
첫째, 노인복지 현장, 특히 독거노인 관련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그분들의 사회적 위험의 심각성을 직접 보고 그러한 분들에게 어떤 서비스들이 있는지, 업무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둘째, 클라이언트와 직접 대면하는 경우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문제나 욕구를 파악하여 슈퍼바이저 선생님께 정확히 전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어떠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복지를 실천하는지 배우고자 합니다.
셋째, 기회가 주어진다면 사회복지기관에서의 재무, 회계, 관리 등의 행정 업무도 배우고 싶습니다. 이전에 다녔던 회사에서도 영업부 소속이었으나 회계업무에 관심이 많아 회계 관련 공부도 하고 관련 자격증도 취득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업무를 배우면서 사회복지기관에서의 행정 업무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첫째, 실습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업무, 업무절차를 충분히 설명가능해야 하며, 이러한 부분은 실습일지에 기록을 해둠으로써 알 수 있습니다.
둘째, 클라이언트와 대면 후에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알게된 문제, 파악된 욕구 들을 실습일지에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하고, 이에 대한 슈퍼바이저 선생님의 피드백을 통하여 배울 수 있습니다.
셋째, 행정 업무는 슈퍼바이저 선생님의 교육과 실습으로 이루어지므로 교육과 실습 후 슈퍼바이저 선생님의 피드백을 통하여 정확하게 업무가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