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 많이 했는데 나름 느낌이 좋았던것 같습니다.
사회복지정책론
전체적으로 문제가 기출문제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나왔습니다.
워크북이랑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정책대안 탐색 및 미래예측기법에 관한 문제 (보기 지문은 델파이, 집단토의, 계량적 분석기법, 점증적 접근방법이 나왔습니다. 해당 보기들의 특징을 알고 계셔야 할것 같아요. 제기억으로 저는 계량적 분석기법에 관한 내용이 나왔습니다.)
- 상향식, 하향식 접근방법에 관한 문제
- 정책 대안을 상호 비교 분석하기 위한 기법에 대한 내용
- 한국 복지서비스에 관한문제 (한국관련문제 3문제 나왔어요)
-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에 관한 문제
- 사회복지 재원에 관한 문제 (기업복지)
- 정책유형별로 나눈 소득재분배 기능에 관한 문제 (세대간 재분배, 단기적 재분배에 관한 문제입니다.)
사회복지조사론
정책론하고 동일합니다. 출문제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나왔습니다.
이 과목도 워크북이랑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사회조사의 정치성에 관한 문제
- 조사연구상 연구윤리에 관한문제
- 증거기반실천에 관한 문제
- 리커트척도에 관한 문제
- 단일사례조사에 관한 문제
- 등화비율에관한 문제
- 사회복지조사의 개념에 관한 문제
- 조사설계에 관한 문제
- 조사설계중 자주 쓰는 설계는 무엇인가
- 욕구조사가 필요한 이유에 관한 문제
- 양적조사에 관한 문제
지역사회복지론
많은 학우님들이 말씀하신대로 기출과 교재로만 공부해서는 안될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 지역사회의 의미
2. Big Society(큰사회론)에 관한 문제 (2~3개 나왔습니다.)
3. Strong Society(강한 사회론)에 관한 문제 (2~3개 나왔습니다.)
4. 몬스로드와 윌슨의 임파워먼트 모델이 아닌것은
5. 자원봉사의 필요성이 아닌것은
6. 자원봉사에 관한 문제 1개 더 나왔습니다.
7. 사회체계이론의 개념
8. 프레이리 시민 교육론
9. 2강 마지막에 나오는 지사복 실천방향 (공공재와 공유재, 공동체에 관한 문제)
= 아동을 위해 횡단보도를 설치하는것과 공원설립을 예로 들었습니다.
10. 커뮤니티 센터에 대해 옳은것은
최대한 기억해보려고 했으나... 기억이 잘 나지않아 이 정도만 기재하였습니다.
시험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