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척도의 4단계 쉽게 이해하기
1️⃣ 명목수준 (Nominal Scale) → “이름표 수준”
-
뜻: 그냥 이름표 붙여서 분류하는 것.
-
예시:
-
성별(남/여)
-
혈액형(A/B/AB/O)
-
종교(불교/기독교/무교)
-
-
핵심: “다르다/같다”만 알 수 있고, 크기나 순서는 없음.
👉 “분류만 가능”
2️⃣ 서열수준 (Ordinal Scale) → “순서 수준”
-
뜻: 순서는 있지만, 간격은 모름.
-
예시:
-
대회 순위 (1등, 2등, 3등)
-
만족도 (만족/보통/불만족)
-
-
핵심: 누가 더 높고 낮은지는 알지만, 얼마나 차이 나는지는 알 수 없음.
👉 “순위 매기기 가능, 차이의 크기는 불명확”
3️⃣ 등간수준 (Interval Scale) → “간격 수준”
-
뜻: 순서도 있고, 간격도 일정. 하지만 ‘절대적인 0’은 없음.
-
예시:
-
온도(0도라고 절대적으로 ‘없음’을 의미하지 않음)
-
시험 점수(60점, 70점, 80점 → 차이가 일정)
-
-
핵심: 얼마만큼 차이 나는지는 알 수 있음. 하지만 “절대 없음(0)”의 개념은 불명확.
👉 “순서 + 간격, 하지만 진짜 0은 없음”
4️⃣ 비율수준 (Ratio Scale) → “진짜 0이 있는 수준”
-
뜻: 순서, 간격, 그리고 절대적 0까지 있음.
-
예시:
-
키, 몸무게, 나이, 소득
-
0kg = 무게 없음 / 0세 = 나이 없음
-
-
핵심: 몇 배인지 비교 가능 (“A는 B보다 두 배 무겁다” 가능).
👉 “순서 + 간격 + 절대적 0”
✨ 한 줄 정리
-
명목 = 이름표 (그냥 구분만)
-
서열 = 줄 세우기 (순서만)
-
등간 = 시험 점수 (순서 + 일정 간격, 0은 애매)
-
비율 = 몸무게/나이 (순서 + 간격 + 진짜 0, 배수 비교 가능)
이거 구분하는 문제 나올것 같아요!
이 게시글 보니까 예전에 기말고사 공부하던게 생각나네요.
깔끔하게 정리해주셨네요 ^^
이 문제는 사회복지조사론 관련된 시험이라면 거의 필수라고 봐야죠.
과거 기출에서도 그렇구 단골손님입니다~
아래 게시글은 2년전에 이 문제와 관련된 내용이에요.
많은 학우님들이 댓글달았네요.
⬇ https://c-knou.com/socialwelfare/1068165#comment_1073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