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 게시판

[일반]
🕰️ 2025.09.28 22:48
1920년대 진단주의 학파
조회 수 211 추천 수 0 댓글 0

진단주의 학파, 사회사업의 ‘의사 선생님’ 등장기

1920년대 미국. 사회복지가 막 전문직으로 자리 잡아가던 시절이었어요. 그 전까지는 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밥을 나눠주고 옷을 챙겨주는, 말 그대로 구호 활동이 중심이었죠. 그런데 갑자기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사회복지사들이 하얀 가운을 입고 청진기를 들고 있던 건 아니지만, 마음만은 이미 ‘의사 선생님’이 되어 있었어요.

왜냐고요? 그때 들어온 새로운 바람, 바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덕분이었죠. 인간의 마음속에는 무의식이 숨어 있고, 어린 시절의 경험이 성격과 행동을 만든다는 이야기는 당시로선 굉장히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사회복지사들은 생각했죠.

“아하, 단순히 돈이 없고 집이 없어서 문제가 생기는 게 아니라, 그 사람 마음속 깊은 사정까지 들여다봐야 하는구나!”

그리하여 탄생한 게 바로 진단주의 학파입니다. 이름 그대로, 문제를 진단(diagnosis) 하는 게 핵심이었어요.


환자 대신 클라이언트

진단주의 학파의 사회복지사는 마치 의사처럼 행동했습니다.

  • 클라이언트의 성격, 가족사, 과거 경험을 꼼꼼히 살펴보고

  • 왜 지금 이런 문제가 생겼는지 원인 진단을 내렸습니다.

  • 그리고 단순히 빵을 주는 대신, 상담을 통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려 했죠.

대표 인물은 바로 메리 리치몬드(Mary Richmond). 그녀가 1917년에 쓴 『Social Diagnosis』는 오늘날로 치면 사회사업 교과서 1권 같은 책이에요.


하지만…

이들의 방법은 한계도 있었습니다. 너무 ‘내면’에만 집중하다 보니, 가난을 만들어내는 사회 구조적 문제는 뒷전이었죠. 마치 “환자의 몸 상태”만 보다가 “그가 왜 병에 걸릴 수밖에 없는 환경”은 놓친 셈이었어요.

그래서 1930년대 대공황이 닥치자, 세상이 묻습니다.

“지금 사람들은 일자리가 없어서 굶고 있는데, 무의식 분석만 하고 있을 거야?”

그 비판 속에서 등장한 게 바로 기능주의 학파. 이들은 내면보다 환경과 사회적 기능 회복을 더 강조했죠.


정리하자면

  • 진단주의 학파 = 개인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문제를 의학처럼 진단하려 했던 사회사업의 초기 주류.

  • 한계 = 사회 문제를 간과.

  • 의의 = 사회복지를 단순 구호가 아니라 전문적 상담·치료 활동으로 끌어올린 첫걸음.


그러니까 진단주의 학파는 사회복지 역사 속에서 마치 “스스로를 의사라고 믿었던 사회복지사들”의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의 시도가 있었기에, 사회복지는 ‘밥 주는 일’에서 ‘사람을 이해하는 일’로 진화할 수 있었죠.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 게시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방송대 커뮤니티 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8170 0 2022.12.24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커뮤니티 홍보하고 포인트 적립하자! 73 게시판관리 3616 0 2023.09.20
공지 🎖 활동 메달 안내 및 기준 14 게시판관리 560 24 2025.07.30
공지 [공지] 글작성 상단 ChatGPT 에디터 기능 오픈 안내 7 nothregz 2966 0 2025.09.15
5713 일반 힝..포인트 부족으로 레포트 참고도 못하고..ㅠㅠ 20 꼬미삼 357 0 2025.03.25
5712 일반 힘들었지만 결과가 나름 만족스러워서 다행입니다ㅎㅎ 16 file comet 777 1 2024.06.10
5711 3학년 힘들고 어려운 길 12 니마 429 4 2025.04.29
5710 일반 힘든 기말;; 16 몽키 2692 2 2025.05.23
5709 일반 힘내세요! 16 mingkkk 481 4 2024.06.02
5708 일반 힘~!! 5 룰루랄랄라 5102 2 2022.11.17
5707 질문 휴학을하려고 하는대요.. 5 연우맘 354 0 2025.03.19
5706 일반 휴학신청 ㅜㅠ 5 순망 267 1 2025.07.31
5705 일반 휴학 or 졸업유보 의견 문의 2 신화 192 1 2025.07.29
5704 3학년 후배시민론이 사회복지사 자격증 딸 때 필요한 과목일까요? 5 사복복작 284 0 2025.03.12
5703 일반 후배시민론... 무슨 내용인가요? 6 이사벨라 1001 0 2024.06.10
5702 3학년 후배시민론,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시험 기출정리(2025,3-1) 5 퐁당시냇물 261 3 2025.06.15
5701 일반 후배시민론, 빈곤론, 시민론, 분배와 평등, 가족과문화 셤 끝나 자료 올려요 file 민준맘 393 3 2025.06.14
5700 3학년 후배시민론 학습문제 23 file 현수부 430 6 2025.05.15
5699 3학년 후배시민론 중간과제물 문의입니다 12 file 모오이 499 1 2025.02.27
5698 일반 후배시민론 중간 과제물 예시 10 file 미르마루 338 4 2025.02.25
5697 3학년 후배시민론 연습문제 8 file 곽복춘 878 3 2024.06.09
5696 질문 후배시민론 시험 정보 부탁드립니다 3 우리라임 286 1 2025.06.07
5695 질문 후배시민론 시험 범위? 7 가지어멍 284 1 2025.05.19
5694 3학년 후배시민론 문제 중 정답 2개? 14 앵두와둘리 674 0 2024.06.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86 Next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