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론 과목 2018년~2019년 기말시험 기출문제입니다.
문제항목별로 관련 교재페이지를 표시해 놓았습니다.
기출문제 풀어보시면서 관련 내용 찾아보기 편하시라고 만들어 보았습니다.
파일내용중 일부
장애인복지론, 프로그램개발과평가
2019학년도 1 학기 3 학년 3 교시 |
||||
※ 정답 하나만을 골라 반드시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OMR 답안지에 표기할 것. |
학 과 |
|
감독관 |
인 |
학 번 |
- |
성 명 |
|
|
|
|
|
1과목 |
장애인복지론 |
(1~35) |
|
|
출제위원:방송대 김영애 |
|
||
출제범위:교재 및 워크북, 멀티미디어강의 전 범위 |
||||
|
|
|
1. WHO에서 발표한 장애에 관한 분류기준이 아닌 것은?
① ICF ② ICIDH
③ IMF ④ ICIDH-2 p.7
2. 다음 중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른 하나는?
① 사람들이 수어를 사용하지 못해 청각장애인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② 휠체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버스를 타는데 어려움이 있다.
③ 장애를 가지고 있어 취업이 안된다.
④ 나는 장애인이기 때문에 특수학교에 다닐 수 밖에 없다.
p.16
3. 장애개념의 사회적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장애는 사회적 억압에서 비롯된 문제이다.
② 장애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장애인의 기능적 제한이나 심리적 상실이다.
③ 손상을 가진 사람들을 장애화 하는 것은 사회이다.
④ 장애운동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p.5~6
4. 장애인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장애인’ 이라는 단어는 「장애인복지법」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②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에 대한 정의는 개별적 모델을 따르는 경향이 크다.
③ 장애인복지법상 정신적 장애란 발달장애와 정신장애를 말한다.
④ 장애인 정의와 범주는 모든 국가가 동일하다. p.20~22
5. 장애인과 관련된 호칭으로 바른 표현이 아닌 것은?
① 비장애인
② 장애여성
③ 휠체어이용장애인
④ 정상인 방송강의 1강(강의록)
6. 장애인복지 이념 중 “타인에게 의존하는 삶을 최소화하면서, 자신에게 주어진 선택 가능성에 기초하여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하는 것”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① 자기결정 ② 사회통합
③ 사회정의 ④ 정상화 p.32
7. 장애인과 관련해서 언론이 가장 신중하게 사용해야 할 단어는 무엇인가?
① 자립생활 ② 사회통합
③ 극복 ④ 인권 p.42
8.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유형이 아닌 것은?
① 뇌전증장애
② 장루․요루 장애
③ 알코올중독
④ 지적장애 p.56
9. 장애유형별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뇌병변장애 유형에는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등이 있다.
② 시각장애인은 모두 점자해독이 가능하다.
③ 안면장애는 사회적 장애의 대표적 사례이다.
④ 정신장애 유형에는 조현병, 분열형 정동장애 등이 있다.
p.5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