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해서 아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의료사회복지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등 3개 자격증은 "영역별 사회복지사" (전문사회복지사) 로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취득 후에, 수련기관에서 1년 (1,000시간) 이상의 수련을 하면,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과목은 의료사회복지론, 정신건강론, 정신건강사회복지론, 학교사회복지론 등 4개이죠.)
그런데, 최근에 '교육복지사' 라는 것을 알게 됐네요.
자격증은 아니고, 학교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업무를 하는 분들을 말하며,
이분들을 각 학교에서 '교육복지사' 라고 채용하네요.
https://www.law.go.kr/admRulLsInfoP.do?chrClsCd=&admRulSeq=2100000188400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관리·운영에 관한 규정
[시행 2020. 5. 1.] [교육부훈령 제332호, 2020. 5. 1., 일부개정]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그런데,
https://www.kassw.or.kr/page/s4/s4.php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 게시판 - 구인정보
에 들어가서, 각 학교의 교육복지사 채용공고를 보면,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있어야만 지원할 수 있는 학교도 있고,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만으로도 지원할 수 있는 학교도 있네요.
또한, 타 자격증으로도 지원할 수 있고요.
그럼,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육복지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검색해도, 둘은 같다고 하는 분들도 있고, 다르다고 하는 분들도 있네요.
아시는 분들 계실까요?
현직 교육복지사입니다. 지역 및 뽑는 자격증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사. 교육복지사. 지역사회전문가라는 명칭을 쓰고, 최근에는 복지상담사로 뽑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명칭을 쓰던 학교사업외에 지역구의 공동사업등을 통해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같은 것이라 말씀들으신 것에 저도 동의합니다(경기도 교육복지사로 활동하고 있는 제가 서울 학교에서 활동하면 지역사회전문가임).
학교사회복지사로 뽑을경우,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증이 꼭 필요합니다. 교육복지사는 사회복지사1급으로 지원가능하고 청소년지도사, 평생교육사 등으로 지원해서 활동중인 분들도 계십니다. 지역사회전문가는 서울지역에서 쓰고 있는 명칭으로 전에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으로 지원했었는데 교육청홈페이지에서 구인공고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복지상담사는 위클래스가 없는 초등학교에서 주로 뽑는 것 같은데, 상담실 역할을 병행한다고 들었고 현직분들 얘기들어보면 청소년상담사를 동시에 가지고 계시다고 들었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