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데이터과학과

통계.데이터과학과 학생 게시판

조회 수 30 추천 수 2 댓글 1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통계데이터과학과의 파이썬데이터처리 과목과 컴퓨터과학과의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에 관한 내용입니다.

아직은 1강도 공개되지 않은 시점이고,

각 강의 목차만 게시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목차만 ChatGPT에 넣어서 비교해 보았습니다.

(물론 교재는 지금 구할 수 있지만... 아직 목차도 안 읽었...)

 

파이썬 문법을 알고 있다는 가정에서 물어보았습니다. (ChatGPT의 페르소나는 통계학과 교수 정도로 잡아두었습니다.)

1. 두 과목, 어떻게 다른가요?

1) 파이썬데이터처리 (통계데이터과학과 3학년)

  • 한마디로 ‘데이터를 깔끔하게 만드는 기술’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과목이에요.

  • 현장에서 많이 쓰는 pandas 라이브러리를 통해

    • 데이터를 불러오고,

    • 결측치(빠진 값)와 이상치(비정상 값)를 탐지·처리하고,

    • 데이터 포맷을 바꾸거나, 합치고, 숫자 크기를 조정하는(스케일링) 등

  • 데이터 분석에서 ‘모델링’ 이전에 꼭 필요한 전처리의 거의 모든 주요 기법을 실습합니다.

  • 실제로 분석 업무를 해보면, 분석보다 전처리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리거든요.
    그래서 이 과목에서 배우는 내용이 정말 실무에서 중요해요.


2)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 (컴퓨터과학과 2학년)

  • 이 과목은 ‘데이터 분석 전체 프로세스’를 두루 경험할 수 있는 수업이에요.

  • 오픈소스 도구(파이썬, pandas, Matplotlib, GitHub 등)를 활용해서,

    • 데이터 수집(웹스크래핑, API),

    • 데이터 저장 및 관리,

    • 데이터 전처리,

    • EDA(탐색적 데이터 분석),

    • 통계적 분석, 기계학습, 딥러닝,

    •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제작 등

  • 분석의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씩 다 실습해 볼 수 있습니다.

  • 또, 텍스트·이미지·시계열 등 다양한 데이터도 다뤄볼 수 있어서, 데이터 분석의 ‘맛보기’ 코스를 좀 더 폭넓게 경험할 수 있죠.


2. 공통점은 뭔가요?

  • 파이썬, pandas, 웹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등 분석의 기초가 되는 부분은 두 과목 모두 다룹니다.

  • 실습이 많고, 실제 데이터셋을 활용해서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PI 활용, 웹스크래핑 등 실제 데이터 수집 방법도 배웁니다.

  • 둘 다 ‘실제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는 실력’을 키우는 게 목표에요.


3. 차이점은?

항목 파이썬데이터처리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
핵심 키워드 전처리, 결측치/이상치, 데이터 품질           전체 분석 과정, EDA, 머신러닝, 시각화
깊이/넓이 전처리 깊게 분석 전체 과정 넓게
데이터 종류 주로 정형 데이터 정형/반정형/비정형/시계열 등 다양
실습 도구 pandas 위주 pandas, Matplotlib, GitHub 등 오픈소스 다양
응용 단계 전처리에 초점 전처리부터 분석/시각화까지 모두

 


4. 둘 다 들으면 시너지가 날까?

네, 시너지 충분히 납니다!

  • ‘파이썬데이터처리’에서 데이터 다루는 기본기와 전처리 스킬을 제대로 다지고,

  •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에서 그걸 바탕으로 실제 분석 프로젝트를 한 번 쭉 경험해 볼 수 있어요.

  • 특히, 실무에서는 전처리와 분석을 번갈아가며 계속 반복하게 되는데,
    두 과목을 다 들으면 “내가 지금 데이터를 제대로 다루고 있는지”
    “분석 결과에 신뢰성이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는 눈이 생깁니다.

  • 파이썬 문법이 이미 익숙하다면,
    코딩 기초에서 헤매지 않고 바로 실전 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할 수 있어요.


5. 교수로서 추천한다면...

  • 데이터 분석 실무나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은 분이라면 두 과목 다 듣는 걸 적극 추천합니다!

  • 전처리를 ‘수박 겉핥기’로 끝내지 않고, 제대로 익혀두면
    나중에 머신러닝, 딥러닝 등 고급 과정에 가서도 훨씬 수월해집니다.

  •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데이터 실습도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실력”을 만드는 데 정말 도움이 되거든요.

 

이렇게 비교하네요.

 

파이썬 문법이 없는 상태에서는 아래처럼 답변됩니다.

 

좋은 질문이에요!
파이썬 문법을 아직 잘 모르는 상태에서
**‘파이썬데이터처리’**와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을 수강할 경우
학생 입장에서 느낄 난이도와 실질적인 공부 부담을 교수로서 현실적으로 말씀드릴게요.


1. 파이썬 문법이 부족하면, 어느 정도 힘들까요?

  • 두 과목 모두 “코드 실습”이 많은 수업이에요.

  • 파이썬 문법, 특히 리스트/딕셔너리/반복문/함수/슬라이싱/조건문
    기본적인 문법이 익숙하지 않다면
    수업을 따라가면서 코드가 왜 이렇게 동작하는지,
    오류가 났을 때 어디서 잘못된 건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을 수 있어요.

  • 실습을 하다가 **‘에러 메시지’**가 뜨거나,
    예제 코드가 돌아가지 않을 때
    어디서부터 봐야 할지 막막해질 수 있습니다.


2. 과목별 난이도

1) 파이썬데이터처리

  • 초반(파이썬 기본, pandas 소개 파트)

    • 파이썬 기초 개념과 실습 환경을 설명하는 시간이 있어서
      완전 초보자도 따라갈 수 있도록 도와주긴 하지만,
      기본문법 설명이 아주 짧게 지나갈 가능성이 커요.

  • 중반 이후(전처리 실습 파트)

    • pandas를 사용한 코드 실습이 대부분이라
      예를 들어, DataFrame을 불러오고, 컬럼을 선택하거나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고르는 등
      기초 문법을 알아야 하는 상황이 반복됩니다.

    • 파이썬 기초가 약하면 중간부터 난이도가 확 올라간다고 느끼기 쉽습니다.

2)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

  • 이 과목은 아예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파트를 별도로 두고 있어요.

    • 시퀀스 슬라이싱, 리스트 컴프리헨션, 문자열 처리, 컨텍스트 관리 등
      실습을 통해 파이썬 기본기를 다질 수 있도록 커리큘럼이 설계되어 있긴 해요.

    • 하지만 이 파트도 **‘강의에서 한 번 다루고 넘어가는 수준’**이기 때문에
      파이썬 기초를 잘 모르면
      실습이나 과제, 이후 분석/시각화 단계에서
      에러를 스스로 해결하기 힘들 수 있어요.

  • 데이터 수집·분석·시각화 등 전 과정이 코드 중심이므로
    파이썬 코드를 자유롭게 다루는 것이 필수입니다.


3. 실제로 학생들이 많이 하는 실수

  • 코드 복사-붙여넣기만 하다가
    조금만 구조가 바뀌거나, 데이터가 다르면
    어떻게 수정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 변수명 실수, 인덱싱/슬라이싱 혼동, 함수 사용 오류 등이
    파이썬 기초에서 자주 막히는 포인트입니다.


4. 추천하는 학습 전략

  1. 파이썬 기초(특히 데이터 다루기, 리스트/딕셔너리, 반복문, 조건문, 함수 등)를
    최소한 1~2주 정도 ‘별도로’ 공부하고 시작하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 유튜브, 인프런, 생활코딩, 파이썬 공식문서 등 무료 자료도 충분합니다.

    • pandas 기본 문법을 함께 익히면 더 좋아요.

  2. 강의에서 제공하는 예제 코드를 한 줄씩 주석 달면서 따라 해보세요.

  3. 모르는 문법이나 함수는 바로 검색하거나, 공식 문서/AI 튜터 등을 활용해서
    스스로 익히는 습관을 들이면,
    과목 난이도가 훨씬 내려갑니다.


5. 정리: 교수로서의 현실 조언

  • 파이썬 기초가 없으면
    초반에는 ‘이해’보다는 ‘따라하기’에 그치고,
    중반 이후에는 ‘따라하기도 버거워질 수’ 있습니다.

  • 두 과목 모두 파이썬 코딩 역량이 성취의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최소한 ‘자료구조(리스트, 딕셔너리)’와 ‘반복문, 조건문, 함수’ 정도는
    직접 타이핑해서 출력해보며 익혀두는 것

    성공적인 수강의 비결입니다.

 

물론 아직은 강의내용도, 난이도도 알 수 없지만 그냥 AI의 답변일 따름이지만, 혹시라도 과목선택에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게시합니다.

 

아참 저는 두 과목 다 수강합니다.

  • profile
    데미안 9시간 전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통계.데이터과학과

통계.데이터과학과 학생 게시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7927 2022.12.24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3501 2023.09.20
공지 🎖 활동 메달 안내 및 기준 4 게시판관리 122 2025.07.30
» 3학년 파이썬데이터처리 /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 1 update 버텍스엣지 30 2025.08.01
222 4학년 자연언어처리 과목에 대하여 1 updatefile 버텍스엣지 19 2025.07.29
221 일반 [통계데이터과학과] 그럼 첫 학기에 무엇을 신청해야 하는거야? (2학기 버전) 1 updatefile 버텍스엣지 265 2025.07.29
220 일반 교재가 왔군요... 1 updatefile 버텍스엣지 47 2025.07.29
219 질문 노베이스 3학년 2학기 편입생입니다ㅠㅠ 2 ezez 62 2025.07.28
218 과공지 [통계데이터] [중요] 25_2학기 신·편입생 OT 일정 안내 comet 34 2025.07.25
217 과공지 [통계데이터] 25_2학기 2·3학년 편입생 수강신청 교과목 관련 안내 comet 49 2025.07.25
216 2학년 파이썬과 R 과목에 대하여 (+폐지 이후 대체이수 방법) file 버텍스엣지 79 2025.07.24
215 질문 수강신청 고견부탁드립니다. 2 혜승맘 79 2025.07.21
214 1학년 통계 데이터과학과 진학 희망하는 문과 수포자입니다. 선배님들 조언을 구합니다. 2 얌미의꿈 84 2025.07.21
213 4학년 베이즈데이터분석 과목에 대하여 file 버텍스엣지 39 2025.07.18
212 일반 이번학기 수강신청... file 버텍스엣지 51 2025.07.18
211 과공지 (중요)「파이썬과R」 교과목 폐지 안내 1 comet 117 2025.07.11
210 일반 가입인사드립니다. 없지요 9 2025.07.05
209 일반 25년 2학기 통계데이터과학과 출석수업 일정 1 file 버텍스엣지 98 2025.07.04
208 정보 계산기 매뉴얼을 위한 Gems (Gemini 설정) file 해맑은 93 2025.06.15
207 정보 나의 Gems (Google Gemini 설정) file 해맑은 121 2025.06.15
206 정보 2016년 1학기 기말 정답표 입니다. file 천하무적큰별 102 2025.06.08
205 정보 2017년 1학기 기말 정답표 입니다. file 천하무적큰별 93 2025.06.08
204 정보 2018년 1학기 기말정답표 입니다. file 천하무적큰별 106 2025.06.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