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BnJOC8B-M0Ku0G9VMD0K679oyl6AcH9bLnZE7t9t2zot0Pg/viewform
* 연습문제
1. 퇴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경제적 정의에 의하면 유급 직위에서 물러나 퇴직 연금을 받는 상황을 가리킨다.
② 사회적 정의에 따르면 직장에서 수행하던 역할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③ 사회적 정의에 따르면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후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것은 퇴직이 아니다.
④ 퇴직에 대한 심리적 정의는 퇴직 직후에 형성된 것이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④ 퇴직에 대한 심리적 정의는 퇴직 이후에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한다.
2. 다음은 어떤 이론에 대한 설명인가?
•노년기는 중장년기의 연장으로서 노인은 중장년기의 수행활동,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는 것이 성공적 노화라고 가정
•이 이론의 주장에는 사회에서 경제적 활동을 하는 구성원이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자본주의 사회의 인식이 반영됨
① 역할 이론 ② 계속 이론 ③ 활동 이론 ④ 분리이론
③ 활동 이론에서는 한 인간의 활동은 생활의 만족도 및 사회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며, 따라서 퇴직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활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가정한다.
3.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정년이 보장되어 있는 경우 정년 근처에 이르러 퇴직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② 퇴직 이후를 대비한 ‘소득과 자산’ 및 ‘여가활동’ 영역의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③ 퇴직 준비교육은 퇴직 이후 10년 정도의 삶을 준비하는 교육을 의미함
④ 건강 영역의 준비는 다른 교육에서 많이 다루므로 퇴직준비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을 배제하는 경향이 있음
② ① 퇴직준비에는 많이 시간과 고민이 필요하므로 5~10년 전부터 퇴직준비교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퇴직 준비교육은 퇴직 이후 장기간의 인생설계에 대한 삶을 준비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④ 퇴직 이후 건강한 삶은 모든 활동에 기초가 되므로 건강을 준비하는 교육내용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4. 퇴직자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퇴직준비교육의 주요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재무 영역 ② 자기이해 영역 ③ 부부관계 영역 ④ 외국어 영역
④ 퇴직 이후 높은 생활만족도를 갖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야 하며, 자신이 어떠한 것을 좋아하고 어떠한 인생의 방향을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확신과 좋은 부부관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외국어 영역은 퇴직 이후 삶의 만족도와 직접적 관련이 부족하다.
5. 퇴직준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아닌 것은?
①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체 및 국가 역시 퇴직준비교육의 필요성을 보다 인식해야 한다.
② 40대 초중반 부터 차근히 장기적으로 퇴직준비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③ 현재 많은 교육이 가족과 함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효과성이 떨어지므로 미래에는 가족 참여를 제한해야 한다.
④ 강의식 교육을 진행하기보다는 사례조사, 현장 방문, 조별 발표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③ 퇴직은 개인적 사건임과 동시에 가족 전체가 경험하는 사건이므로 가족도 함께 퇴직준비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재는 가족 참여 프로그램의 수가 적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