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범위는 1~5강이었습니다.
오늘 오후에 시험보고 왔는데요.
전체적으로 어렵지는 않았는데요, 14번에 해당하는 학자는 생각을 전혀 못했네요.
이번 학기에 새로 제작되었고,
기존 기출문제 교수님과 현재 강의하시는 교수님도 다르고...
기출은 참고 정도만 해야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원래 워크북을 기본으로 공부하려고 했는데...
막상 멀티미디어강의를 듣다보니 워크북보다는...
걍 강의록이 더 좋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물론 만점 받으려면 교재도 보는게 좋을 듯 합니다.
- 기능이론과 같은 것? 사회유기체론
- 미국 1966년 교육효과.... ? 콜만보고서
- 두 문제가 출체되었으며, 한문제는 지문이 있었고, 다른 한 문제는 문제로만 물어봤어요.
- 제가 문제를 성급하게 봐서 그랬을 수 도 있지만,
- 아니라면 동일한 문제가 이렇게 나오면 안되는 건데용...
-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는 어느 성격? 조건 평등
- 적절한 사회적 지위 휘득? 사회적 선발
- 블라우와 던컨 연구 내용이 아닌 것?
- 헛갈린 지문이 있음
- 아버지 직업이 자녀 교육과 직업에 영향
- 아버지 직업과 본인의 교육이 직업에 영향
- 이데올로기 기구가 아닌것? 군대
- 우리나라에서 학교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던 이유는? 의심하지 않고 받아 들였다의 의미가 있는 것.
- 학교효과에 대한 연구 자료로 적당하지 않은 것? 청소년패널, 한국교육종단연구, 한국교육고용패널, 하나 아닌것...
- 보상교육과 관련이 없는것? 영국 우선, 프랑스 우선, 우리나라 학교복지사업, 프랑스
- 법과 제도적으로 교육기회 .. ? 허용적 평등
- 신교육사회학적 특징(성격)이 아닌것?
- ......기존 교육내용을 비판한 .....? 신교육사회학
- 학생의 격차를 줄이는 것...? 평등성
-
교육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학자? 문제가 길지는 않았는데... 기억이 애매하네요.
아마도 기말에도 포함되는 범위라 미세하게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대충 공부한 거에 비해 성공했네요.
그럼 기말까지 모두 화이팅입니다!!!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