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교육과 교육학--정답.hwp
제 4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정답.hwp
제 5장,교육의 심리학적 기초--정답.hwp
제 7장 교육의 과정과 실제-정답.hwp
<교육의 이해>---->정답
1장. 교육의 개념, 목적 및 형태
1.인간의 특성을 교육과 관련하여 규정할 때 가장 적합한 것은? 3 [2010-동계] p4
① 정치적인 존재 ② 유희적 존재 ③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 ④ 경제적 존재
2. 교육적 관점에서 인간의 특성을 규정한 것은? 4 [2014-대체] p4
① 언어적 존재 ② 사회적인 존재 ③ 종교적인 존재 ④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
3. 인간을 ‘교육적 존재’로 규정하는 이유로서 타당한 것은? 4 [2010-기말] p4
① 인간은 사회 속에서 태어나서 성장한다.
②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출생시 매우 나약하다.
③ 인간은 자연에 의해 선천적으로 선한 존재로 태어난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특성을 배우고 습득한다.
4.‘교육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말하는 것은? 4 [2012-대체, 2013-기말, 2015기말] p5
① Homo Ludens ② Homo Sapiens ③ Homo Erectus ④ Homo Educatus
5. 인간의 특성을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로 규정하는 관점은? 1 [2011-대체,2013-대체] p4-5
① 교육적 관점 ② 종교적 관점 ③ 사회적 관점 ④ 정치적 관점
6. 인간을 ‘교육적 존재’로 규정하는 이유로서 타당한 것은? 3 [2012-대체] p5
① 교육은 인가의 성장을 추구하는 활동이다.
②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출생시 매우 나약하다.
③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특성을 배우고 습득한다.
④ 인간의 삶에 있어서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다.
7.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의 짝은? 4 [2013-대체] p6
“사회가 제시하는 기전의 문화나 가치체계를 개인이 ( )하는 과정을 통해서 수용하고 그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 )라 한다”
➀ 이론화- 인간화 ➁ 합리화- 성숙화 ➂ 추상화-실체화 ➃ 내면화-사회화
8. 교육을 일컬어 ‘사회의 거울’이라 하는 까닭은? 3 [2015 기말] p6
①교육은 정치적으로 가치중립적인 활동이기 때문 ➁모든 사회에 있어 교육의 목적이 동일하기 때문
➂교육은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하여 결정되기 때문 ➃ 교육은 인간의 삶에 있어 필수적인 조건이기 때문
9.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0-동계, 2012-대체] p7
①[인간사회]: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교육인간]:교육은 인간을 형성하다.
③[사회교육]:사회는 교육의 결과에 따라 변화한다.
④[인간교육]: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 성장한다.
10.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2-기말] p7
①[인간교육]:인간은 교육적 존재이다.
②[교육인간]:교육은 인간만이 할 수 있다.
③[인간사회]: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④[교육사회]:교육은 사회를 유지.발전시킨다.
11.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3-대체]] p7
➀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➁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➂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에 의해 발전한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만물의 영장이 된다.
12.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2014-기말] p7
➀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➁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➂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에 의해 발전한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만물의 영장이 된다.
13.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2015-기말] p7
➀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을 결정한다
➁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의 삶을 제한한다
➂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 성장한다
14. 인간, 사회, 교육의 관계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1-기말] p5-7
①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교육은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15. 인간, 사회, 교육의 관계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4-대체] p5-7
①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인간, 사회, 교육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16.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2011-기말,2013-대체] p8
① 뒤르켕(Durkheim) : 사회화의 과정
② 플라톤(Platon) :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 과정
③ 매슬로우(A. Maslow) :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 과정
④ 듀이(J. Dewey) : 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안내하는 과정
17.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4 [2010-기말] p8
① 듀이(J. Dewey):사회화의 과정
② 매슬로우(A. Maslow):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③ 스키너(B. F. Skinnner):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18.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3 [2014-기말] p8
① 플라톤(Platon):사회화의 과정
② 듀이(J. Dewey):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 과정
③ 매슬로우(A. Maslow):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뒤르켕(Durkheim):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19.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3 [2012-대체] p8
① 플라톤(Platon):사회화의 과정
② 듀이(J. Dewey):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③ 메슬로우(A.Maslow):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뒤르켕(Durkheim):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0.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2012-기말] p8
①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② 듀이(J.Dewey):인간행동의 게획적인 변화 활동
③ 매슬로우(A.Maslow):사회화의 과정
④ 스키너(B.F. Skinner):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21.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2 [2013-기말] p8
➀ 플라톤(Platon):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➁ 듀이(J. Dewey):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➂ 스키너(B.F. Skinner):문명된 삶의 형식으로의 입문식
➃ 피터스(R.S.Peters):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2.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4 [2014-대체] p8
➀ 뒤르켕(E. Durkheim):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➁ 매슬로우(A.Maslow):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➂ 스키너(B.F. Skinner):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➃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3. 다음 중 타당하지 않은 진술은? 4 [2011-대체] p8-13
① 교육은 인간형성의 과정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인간, 사회, 교육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④ 교육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다.
24. 피터스(Peters)가 제시한 교육의 개념적 요소로 맞게 설명된 것은? 2 [2015-대체] p8
① 규범적 요수 : 교육은 학습자의 인간적 존엄성과 권리존중
② 인지적 요소 : 교육은 지식과 이해, 지적 안목의 형성 추구
③과정적 요소 : 교육은 가치로운 것의 전달을 내포
④ 중립적 요소 : 교육은 정치적인 중립성을 추구
25. 교육의 개념적 요소들로 바르게 묶은 것은? 4 [2012-기말, 2013-대체] p10
➀ 의도성, 가치중립성, 훈련과 주입
➁ 의도성, 정치적 발전, 경제적 효율성
➂ 의도성, 가치중립성, 교육자에 대한 존중
➃ 의도성, 가치지향성, 전인적 인간 변화에 대한 관심
26. 교육과 훈련의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1-기말] p12
① 교육은 지식을, 훈련은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② 교육은 학교에서, 훈련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진다.
③ 교육은 학습자를 존중하나, 훈련은 학습자를 존중하지 않는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훈련은 지엽적 능력의 형성을 추구한다.
27. 교육과 훈련의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4-기말] p12
① 교육은 지식을, 훈련은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② 교육은 학교에서, 훈련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진다.
③ 교육은 교사가 하지만, 훈련은 누구나 할 수 있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훈련은 지엽적 능력의 형성을 추구한다.
28. 교육의 개념적 조건중 ‘가치지향성’을 설명한 것은? 3 [2013-기말] p12
① 교육은 가치중립성을 추구한다.
② 교육은 인간행동의 변화를 추구한다.
③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의 변화를 추구한다.
④ 교육은 인간형성을 통한 사회변화를 추구한다.
29. 교육의 개념적 조건 중 ‘가치지향성’을 설명한 것은? 3 [2011-대체, 2012-대체, 2014-기말] p12
① 교육은 가치중립성을 추구한다.
② 교육은 지식과 기술의 전달을 추구한다.
③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의 변화를 추구한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추구한다.
30. 교육의 개념적 요소로 보기 어려운 것은? 2 [2015 기말) p9~13
①가치지향성 교육방법의 ②경제적 효율성
③전인적 인간변화에 대한 관심 ④피교육자의 인간존엄성에 대한 존중
31. 전인적 인간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1-대체, 2015 기말] p12
① 자율적 사고능력을 갖춘 인간 ② 주체적인 지적 안목을 지닌 인간
1장. 교육의 개념, 목적 및 형태
1.인간의 특성을 교육과 관련하여 규정할 때 가장 적합한 것은? 3 [2010-동계] p4
① 정치적인 존재 ② 유희적 존재 ③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 ④ 경제적 존재
2. 교육적 관점에서 인간의 특성을 규정한 것은? 4 [2014-대체] p4
① 언어적 존재 ② 사회적인 존재 ③ 종교적인 존재 ④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
3. 인간을 ‘교육적 존재’로 규정하는 이유로서 타당한 것은? 4 [2010-기말] p4
① 인간은 사회 속에서 태어나서 성장한다.
②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출생시 매우 나약하다.
③ 인간은 자연에 의해 선천적으로 선한 존재로 태어난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특성을 배우고 습득한다.
4.‘교육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말하는 것은? 4 [2012-대체, 2013-기말, 2015기말] p5
① Homo Ludens ② Homo Sapiens ③ Homo Erectus ④ Homo Educatus
5. 인간의 특성을 ‘가능성과 성장의 존재’로 규정하는 관점은? 1 [2011-대체,2013-대체] p4-5
① 교육적 관점 ② 종교적 관점 ③ 사회적 관점 ④ 정치적 관점
6. 인간을 ‘교육적 존재’로 규정하는 이유로서 타당한 것은? 3 [2012-대체] p5
① 교육은 인가의 성장을 추구하는 활동이다.
② 인간은 다른 동물에 비해 출생시 매우 나약하다.
③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특성을 배우고 습득한다.
④ 인간의 삶에 있어서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다.
7.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의 짝은? 4 [2013-대체] p6
“사회가 제시하는 기전의 문화나 가치체계를 개인이 ( )하는 과정을 통해서 수용하고 그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 )라 한다”
➀ 이론화- 인간화 ➁ 합리화- 성숙화 ➂ 추상화-실체화 ➃ 내면화-사회화
8. 교육을 일컬어 ‘사회의 거울’이라 하는 까닭은? 3 [2015 기말] p6
①교육은 정치적으로 가치중립적인 활동이기 때문 ➁모든 사회에 있어 교육의 목적이 동일하기 때문
➂교육은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하여 결정되기 때문 ➃ 교육은 인간의 삶에 있어 필수적인 조건이기 때문
9.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0-동계, 2012-대체] p7
①[인간사회]: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교육인간]:교육은 인간을 형성하다.
③[사회교육]:사회는 교육의 결과에 따라 변화한다.
④[인간교육]: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 성장한다.
10.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2-기말] p7
①[인간교육]:인간은 교육적 존재이다.
②[교육인간]:교육은 인간만이 할 수 있다.
③[인간사회]: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④[교육사회]:교육은 사회를 유지.발전시킨다.
11.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3-대체]] p7
➀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➁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➂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에 의해 발전한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만물의 영장이 된다.
12.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2014-기말] p7
➀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➁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➂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에 의해 발전한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만물의 영장이 된다.
13. 인간,교육,사회의 상호작용 관계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2015-기말] p7
➀ [사회→교육] : 사회는 교육을 결정한다
➁ [교육→인간] : 교육은 인간의 삶을 제한한다
➂ [인간→사회] :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➃ [인간→교육] ; 인간은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 성장한다
14. 인간, 사회, 교육의 관계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1-기말] p5-7
①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교육은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15. 인간, 사회, 교육의 관계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2 [2014-대체] p5-7
① 인간은 사회로부터 독립적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인간, 사회, 교육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다.
④ 인간은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16.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2011-기말,2013-대체] p8
① 뒤르켕(Durkheim) : 사회화의 과정
② 플라톤(Platon) :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 과정
③ 매슬로우(A. Maslow) :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 과정
④ 듀이(J. Dewey) : 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안내하는 과정
17.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4 [2010-기말] p8
① 듀이(J. Dewey):사회화의 과정
② 매슬로우(A. Maslow):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③ 스키너(B. F. Skinnner):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18.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3 [2014-기말] p8
① 플라톤(Platon):사회화의 과정
② 듀이(J. Dewey):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 과정
③ 매슬로우(A. Maslow):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뒤르켕(Durkheim):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19.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3 [2012-대체] p8
① 플라톤(Platon):사회화의 과정
② 듀이(J. Dewey):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③ 메슬로우(A.Maslow):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④ 뒤르켕(Durkheim):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0. 교육의 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2012-기말] p8
①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② 듀이(J.Dewey):인간행동의 게획적인 변화 활동
③ 매슬로우(A.Maslow):사회화의 과정
④ 스키너(B.F. Skinner):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21.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2 [2013-기말] p8
➀ 플라톤(Platon):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➁ 듀이(J. Dewey):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➂ 스키너(B.F. Skinner):문명된 삶의 형식으로의 입문식
➃ 피터스(R.S.Peters):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2. 교육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4 [2014-대체] p8
➀ 뒤르켕(E. Durkheim): 인간행동의 의도적 변화과정
➁ 매슬로우(A.Maslow): 끊임없는 경험의 개조과정
➂ 스키너(B.F. Skinner):자아실현을 위한 인간형성의 과정
➃ 플라톤(Platon):영원한 이데아의 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과정
23. 다음 중 타당하지 않은 진술은? 4 [2011-대체] p8-13
① 교육은 인간형성의 과정이다.
② 인간의 성장가능성은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③ 인간, 사회, 교육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④ 교육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다.
24. 피터스(Peters)가 제시한 교육의 개념적 요소로 맞게 설명된 것은? 2 [2015-대체] p8
① 규범적 요수 : 교육은 학습자의 인간적 존엄성과 권리존중
② 인지적 요소 : 교육은 지식과 이해, 지적 안목의 형성 추구
③과정적 요소 : 교육은 가치로운 것의 전달을 내포
④ 중립적 요소 : 교육은 정치적인 중립성을 추구
25. 교육의 개념적 요소들로 바르게 묶은 것은? 4 [2012-기말, 2013-대체] p10
➀ 의도성, 가치중립성, 훈련과 주입
➁ 의도성, 정치적 발전, 경제적 효율성
➂ 의도성, 가치중립성, 교육자에 대한 존중
➃ 의도성, 가치지향성, 전인적 인간 변화에 대한 관심
26. 교육과 훈련의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1-기말] p12
① 교육은 지식을, 훈련은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② 교육은 학교에서, 훈련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진다.
③ 교육은 학습자를 존중하나, 훈련은 학습자를 존중하지 않는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훈련은 지엽적 능력의 형성을 추구한다.
27. 교육과 훈련의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4-기말] p12
① 교육은 지식을, 훈련은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다.
② 교육은 학교에서, 훈련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진다.
③ 교육은 교사가 하지만, 훈련은 누구나 할 수 있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훈련은 지엽적 능력의 형성을 추구한다.
28. 교육의 개념적 조건중 ‘가치지향성’을 설명한 것은? 3 [2013-기말] p12
① 교육은 가치중립성을 추구한다.
② 교육은 인간행동의 변화를 추구한다.
③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의 변화를 추구한다.
④ 교육은 인간형성을 통한 사회변화를 추구한다.
29. 교육의 개념적 조건 중 ‘가치지향성’을 설명한 것은? 3 [2011-대체, 2012-대체, 2014-기말] p12
① 교육은 가치중립성을 추구한다.
② 교육은 지식과 기술의 전달을 추구한다.
③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의 변화를 추구한다.
④ 교육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추구한다.
30. 교육의 개념적 요소로 보기 어려운 것은? 2 [2015 기말) p9~13
①가치지향성 교육방법의 ②경제적 효율성
③전인적 인간변화에 대한 관심 ④피교육자의 인간존엄성에 대한 존중
31. 전인적 인간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2011-대체, 2015 기말] p12
① 자율적 사고능력을 갖춘 인간 ② 주체적인 지적 안목을 지닌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