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forms.gle/8L9raXbQVuDWKHFE9
12강 내용별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1)- 1) 성인 기초·문해교육
2) 인적자원개발(HRD) 교육 프로그램
3)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1. 문해교육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 적절한 내용은?
① 문해교육은 학습결과를 평가하는 것이 무의미 하므로 개인의 학습능력을 키워야 한다.
②평생교육시설의 체계적인 문해교육 프로그램보다는 양적인 수를 늘리는 것이 우선이다.
③ 비문해에 대한 사회적 관점이 전환되고 공적 지원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④노인기의 비문해 학습자와 같은 특정연령의 문해교육 프로그램만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2. 다음 중 문화교육의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문화교육을 통해 문화나 예술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②문화교육은 문화·예술을 전승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자기만족을 위한 교육이다.
③문화교육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과 책임감을 심어준다.
④문화교육은 문화 및 예술을 즐길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가르쳐 주는 것이다.
3. 성인 기초 문해교육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해 설명해 보자.
4. 문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해보고, 향후 발전과제에 대하여 논의해 보자.
5.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전형적인 것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지니고 있는 장단점과
함께 향후 발전과제에 대해 토론해 보자.
12강 정답 3 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