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음악은 시각적 자극보다 음악적 청각 자극을 더 각성시키고, 음악의 통로를 통해 타인과 상호관계를 맺고 자기표현을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허혜리, 이윤연, 김지은, 2016). 음악은 인간의 의사소통을 뒷받침해주어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의사소통에는 노래활동을 통해 사회적 상황을 문장으로 표현(최세민, 2016)하여 의사소통적 표현을 하는 변화(유원경, 2022)가 나타났다.
사회적 상호작용에는 눈맞춤, 모방, 대답하기, 차례 기다리기 등의 기술이 향상되었고, 또래들과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손은주, 2013). 이처럼 지체장애인들의 음악활동 혹은 프로그램이 의사소통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단일 변인을 증진시키는 연구는 보고되고 있으나, 이 둘의 변인을 함께 증진시키는 연구는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체장애인의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변인을 연관지을 필요가 있다.
2) 연구 목적
따라서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함께 고려한 음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련된 선행된 연구를 고찰할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음악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체장애인의 의사소통을 돕고, 자연스러운 표현을 유도하여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