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용작물학 Ⅰ (벼와 쌀) ♦
1장 쌀과 쌀음식
1) 백미 100g 中 1. 탄수화물(당질) : 75.5g 가장 많음 (당질의 80%는 녹말)
2. 단백질(6.8g) : 글루텔린(70~80%), 프롤라민
① 글루텔린에 있는 리신(필수아미노산) : 밀가루, 옥수수 2배
② 아미노산가(단백질 영양가) : 다른 곡류보다 우수
③ 쌀의 단백질 함량 : 밀보다 약간 낮으나 질이 우수하며 체내에서 소화흡수율 높다.
3. 지방(1.3g), 섬유(0.3g), 각종 비타민∙무기질이 들어있다.
2) '쌀밥 중심 식사'에 의한 칼로리 구성 : 이상적인 영양기준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 = 65 : 15 : 20)에 잘 일치.
3) 전통 쌀음식 : 죽, 떡, 엿, 과자, 술, 음청류, 식해, 고추장, 된장, 식초 등이 있으며, '문화상품'으로서 가치가 높다.
찌는 떡 |
빚는 떡 |
술로 부풀리는 떡 |
설기, 시루떡 |
송편, 경단 |
증편 |
4) 세계의 쌀 : 약 1억 5천만 ha에서 현미로 약 4억 5천만톤이 생산.
~ 아시아 : 전세계 벼재배면적의 약 89%를 차지하고 세계쌀의 약 91%를 생산
5) 쌀 생산하는 나라 : 115개국, 그 중 중국 인도 두 나라가 세계 쌀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 우리나라의 쌀 생산량 : 세계 총생산량의 1.2%이며, 단위면적당 수량은 최상위에 있다.
6) 쌀은 수요공급의 균형 이루나, 쌀 교역량이 생산량의 약 4%에 불과하여 밀∙옥수수에 비해 수급의 안정성이 낮다.
7) 우리나라 : 경지면적→58%가 논, 생산량→1976년 이후 연평균 500만 톤 이상, 최근 10년 쌀의 자급률은 91~108%이다.
1. 우리나라 기후 : 여름에 강우량 많고 온도 높아 벼농사에 적합
2. Mg/K비 높은 것은 쌀의 밥맛 좋다.
8) 우리나라 벼 생산량 증가요인 : 품종기여도(50%), 재배기술(26%), 기상요인(23%)
9) 3대 식량작물 : 벼, 밀, 옥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