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행본 : 저자명 (발행년도). 도서명 (판사항-판본이 여러개인 경우). 출판사주소지 : 출판사명.
(예시) 김무묭 (2019). 더쿠심리학. 더쿠 : 출판사.
2. 단행본(번역본) : 저자명 (발행년도). 도서명. 번역자명 (번역). 출판사주소지: 출판사명. (원전 출판 년도)
(예시) Rogers, C. (1998). 칼 로저스의 카운슬링의 이론과 실제. 한승호, 한성열 (번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42에 출판)
3. 단행본(편집도서 챕터) : 저자명 (발행년도). 챕터명, In 편집자명 (Ed.), 도서명 (pp.페이지). 출판사주소지: 출판사명.
4. 학위논문 : 저자명 (발행년도). 논문명 (학위종류, 학위수여기관). 온라인 위치(온라인에 있는 경우)
예시. 김나영 (2011). 대학생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저널 논문 : 저자명 (발행년도). 논문명. 저널명, 권(호), 페이지. doi(저널에 따라 doi 생략하는 경우 있음)
예시,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
6. 잡지 기사 : 저자명 (발행시기). 기사제목. 잡지명, 권(호), 페이지.
1) 온라인 기사의 경우 : 저자명. (발행시기). 기사제목. 잡지명, 권(호), Retrieved from 기사 URL
2) 저자가 드러나지 않은 경우 : 기사제목. (발행시기). 잡지명, 권(호), 페이지.
7. 신문 기사 :저자명 (발행일자). 기사제목. 신문명, pp. 면.
1) 온라인 기사의 경우 : 저자명. (발행일자). 기사제목. 신문명. Retrieved from 기사 URL
2) 저자가 드러나지 않은 온라인 기사의 경우 : 기사제목. (발행일자). 신문명. Retrieved from 기사 URL
8. 기타 온라인 자료 : 저자명 (발행일자). 제목 [종류]. Retrieved from URL
※ 쉬운 방법
https://scholar.google.es/ 들어가서 논문 찾은 다음 " 표시 눌러서 apa형식 복붙해오기
사실 논문쓸때 참조하면 좋을것같은 추천 방법
1. 잘 쓴 논문을 찾아서 그거에 맞게 쓴다(배끼라는 이야기 X. 문장 형식이나 구조 이런거를 참고하라는것)
이때 내 주제와 같은 논문은 참조하면 안됨
2. 참고 문헌은 학술지->국내 박사->국내 석사 논문으로 찾아볼것
3. 석사OR졸업 논문쓰는데 연구결과쓰는게 어렵다
-> 그냥 내 주제에 맞는 잘 쓴 석사 논문 가져와서 그거 비슷하게 해서 학우님들의 연구결과로 바꿔서 논문쓰는게 가장 좋습니다.
4. 논문이라고 다 잘쓴건 아니니. 여러가지 논문 비교해보길
5. 내 주제에 맞는 논문 보다보면 한명이 기계수준으로 논문쓰는 경우가 있거나 학우님들 논문과 적합한 주제를 먼저 쓴 사람이 있어요.
그럼 그냥 이 사람 최신 논문 찾아서 거기 참고문헌 다 보면 학우님들도 논문 쓸 수 있습니다.
6. 최신논문 찾아서 참고할것..ㅜㅠ 애초에 검색할때 10년으로 끊어서 검색 하는게 중요!
예)2009~2019 이런식 으루요.
2025년에 1999년 논문 찾아가면 욕 먹습니다...
출처: https://theqoo.net/square/1211365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