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 게시판

조회 수 15378 추천 수 4 댓글 0

 

지역사회 복지 실천의 두 가지 관점 비교

A. 큰 사회 (Big Society)와 강한 사회 (Strong Society) 관점 비교

구분 큰 사회 (Big Society) 강한 사회 (Strong Society)
사회복지 관점 잔여주의 (선별 복지) 제도주의 (보편 복지)
기반 철학 신자유주의 기반 진보적 자유주의 및 사민주의(사회민주주의) 지향
국가의 역할 작은 정부 지향 (국가의 역할 축소 및 책임 이양) 국가가 외곽호(울타리)가 되어 개인 행복을 공적으로 책임짐
추진 방향 주민 공동체의 마을 만들기 (국가 역할 축소분 떠안기) 국가 만들기를 위한 마을 만들기 (튼튼한 사회보장 국가 지향)
실천 내용 민간 주도의 마을 만들기, 자조 모임, 사회적 기업 중심 보편 복지를 지향하는 시민 형성, 시스템 복지 및 사회보장 제도 강화
주요 효과 시장화 전략 기반, 경쟁력 강조, 개인의 책임성 및 불평등 인정 연대성 강조, 5대 악(Five Giants) 극복 위한 공공의 역할 강조

B. 큰 사회론의 주요 내용 및 정책

  1. 철학 및 책임 이양

    • 정치 철학: 민간과 지역 사회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사회 안전망을 보완하려는 의도. 작은 정부를 지향함.
    • 권한 부여: 국가보다 사회 공동체(Big Society)가 더 많은 권한을 가져야 함.
    • 책임 이양: 중앙정부의 역할을 지방 정부와 시민 사회(자조 그룹, 마을)로 이양함. 권한 이양보다 책임 이양이 강조됨.
  2. 주요 정책 방향

    • 주민이 지역 사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국가가 독려함.
    • 협동 조합, 상조 보험 회사, 자선 단체, 사회적 기업 등을 강하게 만들고 지원함.
    • 정부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여(개방성) 주민의 선택성책임성을 강조함.
    • 궁극적으로 정부 예산을 축소하고 사회적 활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함.
    • 지역 사회 공공 병원의 영리 병원 전환 등 시장화 전략과 직결됨.
  3. 철학적 기반

    • 개인의 책임성을 강조하며 불평등을 인정함.
    • 경쟁력 없는 개인(사회적 취약 계층)에 대해서는 지역 사회의 선한 마음을 가진 자원봉사자나 후원자가 도와야 함.
    • 이는 잔여적 복지에 집중하는 결과를 초래함.

C. 강한 사회론의 주요 내용 및 정책

  1. 철학 및 목표

    • 등장: 1950년 스웨덴의 국민의 집(Folkhemmet) 모델에서 시작됨.
    • 목표: 개인의 행복에 대한 공공의 책임을 증대하고 집단 연대를 강조함.
    • 시민 사회: 자선이 아닌 산업 사회에서의 연대를 통해 공동체 운영에 참여함.
  2. 5대 악(Five Giants) 정책

    • 영국의 베버리지 리포트에서 언급된 5대 악을 국가가 막아줘야 함.
    • 결핍(Want): 소득 결핍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이 없는 것).
    • 무지(Ignorance): 교육 정책 (양질의 노동력과 관련).
    • 질병(Disease): 공공 의료 지원.
    • 불결(Squalor): 주택 정책 (불결한 주거 환경).
    • 나태(Idleness): 양질의 일자리 공급 정책
  3. 실천 방식 및 시민의 역할

    • 마을 만들기: 국가 만들기를 통한 마을 만들기 (강한 사회들이 모여 국가를 더 강하게 만듦).
    • 시민의 역할: 국가 정책의 주도자가 될 수 있도록 추진하는 존재.
    • 소셜 액션: 국가 만들기를 위한 학습의 장소, 비판 및 토론의 장소, 때로는 저항의 장소가 됨.
    • 민주 시민 교육: 복지 국가 발전을 위한 핵심. 스터디 서클(학습 동아리)과 시민학교를 통해 권리와 의무가 있는 시민(시민권)으로 이해하고 보장받도록 노력함.
    • 국민의 집: 국가가 하나의 가족이 되어 시민들의 삶의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는 철학.

D.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 (로스만 모델 중심)

모델 주요 특징 실천가 역할
지역 사회 개발 모델 (Community Development) 주민들이 자조적으로 참여하여 지역의 성장을 논의하고 현안을 해결함 (평상시 반상회 모델). 조정자, 조력자, 교육 조직가.
사회 계획 모델 (Social Planning) 특정 문제 상황에 대해 원인을 찾고, 구조적/정책적 대안 마련을 위해 계획을 수립함. 전문가,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 기술적 접근.
사회 행동 모델 (Social Action) 공동체에서 소외되거나 억압받는 개인/집단을 위해 주민 운동을 통해 사회 구조 변화를 시도함. 조직가, 옹호자, 대변자.

E. 지역사회 복지 실천의 주요 기술

  1. 시민 교육 (Civic Education)

    • 목표: 시민권(자유 보장)과 사회권(기본 생존 보장)을 인식하도록 함.
    • 효과: 침묵하는 대중에서 말하는 존재(정치적 인간)로 성장하도록 함.
    • 방법론: 문해 교육, 세상 읽기/맥락 읽기를 통해 사회 구조의 문제 본질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도록 함.
    • 결과: 돌봄의 대상에서 권리의 주체로 나섬.
  2. 임파워먼트 (Empowerment)

    • 개념: 개인에게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권리권력을 갖도록 부여하는 것.
    • 전략: 무력감의 원인(억압적 사회 구조, 보복의 두려움 등)을 직시하고, 연대를 통해 권력을 사회적 자본으로 형성하도록 유도함.
  3. 조직화 (Organization)

    • 목표: 지역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적 구성을 통합하고 연대하며, 민주적 방식으로 공동 목표를 성취하도록 함.
    • 핵심: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유연화된 공동체를 만들고, 지방정부의 책임성 강화를 유도함.
    • 알린스키 전략: 주민의 경험에서 시작하여 공동체 이익을 주장하며, 주민들이 스스로 문제 해결 능력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함.

F. 지역사회 복지 실천의 역사적 흐름 (영국 사례 중심)

  1. 자선 조직 협회 (COS,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배경: 구호 사업의 중복과 낭비를 막기 위해 조직화된 자선을 시작함.
    • 관점: 빈곤을 개인의 도덕적 책임으로 간주. 빈민 개인에게 초점을 맞춤.
    • 활동: 우애 방문원(Friendly Visitor)을 통해 구호 자격 유무를 판단하고 개별적인 원조 제공.
  2. 인보관 운동 (Settlement Movement):

    • 배경: 빈곤을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제도 개선을 목표로 함.
    • 활동: 빈곤 지역에 거점을 마련(토인비 홀 등)하고 주민들과 함께 문제 개선을 위한 사회 운동으로 발전시킴.
    • 초점: 계급 간 상호 교류를 통해 불평등을 해결하고 빈곤 계급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함. 궁극적으로 복지는 국가 책임이라는 사회 운동으로 발전함.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 게시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방송대 커뮤니티 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8249 0 2022.12.24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커뮤니티 홍보하고 포인트 적립하자! 73 게시판관리 3669 0 2023.09.20
공지 🎖 활동 메달 안내 및 기준 15 게시판관리 687 26 2025.07.30
6016 질문 사회복지실습 신청 타지역으로도 가능할까요? 소속대학 변경하신 분 있으실까요? new 클라우드 0 0 2025.10.24
6015 실습 용인시 실습처 리스트입니다. newfile 연두누나 109 1 2025.10.24
6014 정보 [세부시간표] 창원학습관 사회복지정치학 출석수업 new comet 107 2 2025.10.24
6013 공통 2025년 2학기 사회복지학과 기말시험 범위 4 newfile 동네형 171 4 2025.10.24
6012 일반 실습처 구하기 힘드시죠 6 new 나랑께 215 4 2025.10.24
6011 정보 사회복지정책론 11강 복습용 서술형 문제 (Notebooklm 이용) 1 new 찰스배 146 0 2025.10.24
6010 정보 사회복지정책론 교재 13장 내용 구조화(길을 잃지 않는 지도 - 숲을 먼저 보기) 1 newfile 찰스배 148 0 2025.10.24
6009 질문 사회복지현장실습 신청 후 실습처 못구하면 어떻게 되나요? 2 혤혤 594 2 2025.10.23
6008 일반 가족상담 및 치료는 담당 교수부터 출석수업 강사까지 쓰레기네요 진짜 3 file 박나은삼촌 685 3 2025.10.23
6007 1학년 중간과제물 미제출 4 보거스b 754 0 2025.10.23
6006 일반 과제마감날짜 문의- 시일내 올렸다가 정정 3 file 굿잡 694 1 2025.10.23
6005 3학년 3학년 1학기 편입생 학우동기님 중 12월20~26년 5월15일 실습하시려는 학우님(실습기관 찾는방법 어려우신 학우님) 3 연두누나 669 5 2025.10.23
6004 실습 3학년 1학기 편입생 학우동기님 중 12월20~26년 5월15일 실습하시려는 학우님(실습기관 찾는방법 어려우신분) 연두누나 638 3 2025.10.23
6003 질문 과제 내 교과목명에 다른 과목명 표기 괜찮을까요?ㅜㅜ (파일명은 정상) 1 크리링 663 0 2025.10.23
6002 질문 기말시험 6과목을 하루에 3과목씩 나눈다면 8 녹색광선 850 1 2025.10.23
6001 정보 사회복지정책론 교재 12장 내용 구조화(길을 잃지 않는 지도 - 숲을 먼저 보기) 4 file 찰스배 659 2 2025.10.23
6000 정보 [세부시간표] 대전충남 사회복지정치학 출석수업 comet 728 1 2025.10.23
5999 정보 사회복지정책론 교재 11장 내용 구조화(길을 잃지 않는 지도 - 숲을 먼저 보기) 2 file 찰스배 772 1 2025.10.23
5998 일반 [봉사활동]시민옹호인 활동 기본교육 참여자 모집 file 재간동희 793 2 2025.10.23
5997 질문 지역사회복지론 출석대체 과제 5 히메히메 923 2 2025.10.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1 Next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