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방송강의록을 교재로 하는 신설과목으로 코로나로 기말시험을 온라인 주관식시험으로
치루지만 나중에라도 쓰이면 좋을 듯해서 올려봅니다.
직업세계와 직업정보 ⧽⧽⧽⧽강의 연습문제
1강 인간의 삶과 일
⧽ 학습정리
▸일의 의미 - 일의 가치와 일의 다른 모습
▸일에 대한 관점 - 삶에 의미와 가치 부여
- 고통스러운 것, 비천한 것, 돈벌이 수단
▸노동으로부터 소외와 인간다움의 회복 - 물신성(物神性)의 보편화
- 인간다움의 회복방안
⧽ 연습문제
Q1. 다음 중 일(노동)에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실직은 삶을 불행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직업은 우울증 예방 차원에서 남녀모두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특별한 건강상의 문제가 없음에도 현업에서 일찍 물러난 사람들의 평균수명이 일반적인 평균수명에 비해 짧을 수 있다.
인간의 노동은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으로 엄격히 구분되어 있다.
Q2. 다음 중 노동에 대한 칸트(Kant)의 관점으로 옳은 것은?
노동은 원죄에 대한 ‘벌’이다.
재산(토지와 노예)과 일하지 않는 것은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본조건이다.
아이들이 일에 대한 충동과 열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학교교육을 실시해야한다.
주체는 오랫동안 혹은 반복적으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을 견뎌낼 힘이 있다.
Q3. 노동의 소외와 인간다움의 회복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존엄한 인간으로서 품격을 유지하면서 일할 수 있는 환경과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다운 근로조건, 의사결정에의 참여확대, 권한과 책임 부여 등 노동의 인간화(humanization of work)를 위해 노력해야한다.
직무의 속성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노동과 여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한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