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QQk0qnexSeWqebYogXpFq1P5JWozNEWlqULrAPctUJ6ChQw/viewform
* 연습문제
1. 고령화의 개념으로 바른 것은?
① 고령화는 노화가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심리적 변화만 지칭한다.
② 고령화사회는 생물학적 고령화와 전혀 상관이 없는 개념이다.
③ 1960년 전체 인구의 2.9%가 노인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이다.
④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은 고령화라는 부정적인 과정을 겪는다.
③ 고령화는 신체적・사회적 변화도 포괄하며, 생물학적 고령화를 겪는 인구가 많아지는 사회가 고령화사회이고, 고령화는 긍정적인 과정도 포함한다.
2. 우리나라 고령자 통계에 나타난 사실로 잘못된 것은?
① 우리나라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연령이 높을수록 자살욕구는 높다.
② 탈산업화 패러다임의 결과가 고령화의 기본 축을 이루고 있다.
③ 건강보험의 노인의료비는 전체의 30%가량 된다.
④ 대부분의 노인이 스스로 건강하지 못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② 산업화의 결과가 고령화와 연결된다.
3. 고령화가 낳는 사회적 차원의 문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사회적 빈곤 ② 사회복지체제의 부족
③ 삶의 질 격차 ④ 자아정체성의 위기
④ 자아정체성의 위기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이다.
4. 의존적이고 무기력한 고령층을 활동적이고 자립적인 고령층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자립적 고령화 ② 노인교육 ③ 평생교육 ④ 활동적 고령화
④ 활동적 고령화의 정의이다.
5. 평생교육적 차원의 노인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노인을 학습자로 보는 규정이 삶을 능동화한다.
② 노인은 장애를 가진 집단에서 벗어나, 학습상담이나 자원봉사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③ 직업을 제공하기 때문에 쓸모 있는 노인이 될 수 있다.
④ 노인학습공동체를 만들어 문화예술 영역에서 활력화될 수 있다.
③ 노인교육이 직접적으로 직업을 제공하지는 않으며, 직업이 없는 노인=쓸모 없는 노인이라는 도식은 잘못된 것이다.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