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eMQRKsvAXG3tg8UHuu1fyEUf37K8xCOgEX0Xp_pcgfp0jbbQ/viewform
* 연습문제
1. 노인 취업 현황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2011년 64세 이상 노인의 약 20% 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②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생계비 마련이다.
③ 농어촌보다는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일수록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다.
④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 중 가장 많은 지위를 차지하는 것은 일용근로자 이다.
② ① 65세 이상의 약 34%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③ 농어촌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의 비율보다 높다. ④ 노인의 지위는 자영업이 가장높다.
2. 다음은 어떠한 노인 취업교육 관련 기관에 대한 설명인가?
•노인들의 일자리 창출 및 활성화와 노인의 권익보호를 위한 공동사업, 교육 및 훈련, 조사연구사업 등의 수행을 목적으로 2001년에 최초로 설립된 사단법인이다.
•014년 현재 전국 114개소에 총 4만 5,000여 명의 노인이 참여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노인일자리 사업과 연계하여 공공분야(공익형, 복지형)와 민간분야(인력파견형, 시장형)의 일자리와 관련한 취업 관련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①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 ② 한국노인인력개발원 ③ 대한노인회 ④ 시니어클럽
④ 위 설명은 시니어클럽에 대한 설명으로, 시니어클럽은 공공분야의 근로와 함께 특히 민간 영역에서 노인 스스로 주도적으로 시장을 개척하여 사업을 통해 노인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3. 노인대상 취업교육이 보다 활발히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은?
① 새로운 직종을 개발하기보다 노동집약적 직종에서 능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② 다양한 국가 및 민간단체에서 이를 진행하기보다는 한 곳에서 중앙집권적으로 이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③ 노인의 능력 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보다는 노인이 갖고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④ 프로그램 수의 양적 팽창에 힘쓰기 보다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교육과 취업의 연계성을 높이는 교육이 필요하다.
④ ① 저 숙련, 저임금의 직종에서 벗어나 노인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직종 개발이 필요하다. ② 다양한 단체에서 자신들의 장점을 활용하여 노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직종 개발 및 이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노인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노인에게 다양한 교육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노인의 직업능력에 대한 부정적 사회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4. 다음은 노인 자원봉사에 대한 어떠한 사회학적 관점을 설명하는가?
•노년기 이전에 자원봉사활동을 한 사람은 노년기에도 지속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자 한다.
•노인마다 서로 다른 성격과 생활방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특성을 고려한 봉사활동에 참여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① 지속 이론 ② 활동 이론 ③ 교환 이론 ④ 인정 이론
① 지속 이론에 따르면 노년기 자원봉사 활동은 젊어서부터 갖고 있는 한 인간의 사회봉사에 대한 견해 및 행동이 지속된 현상으로 본다. 노인집단을 유사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로 가정하기보다는 젊어서부터 그들이 어떠한 특성을 갖고 있었는지를 파악하여 적절한 봉사의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5. 다음 내용은 노인 자원봉사가 갖는 어떠한 노인교육의 의미에 대한 설명인가?
노인의 자원봉사는 노인이 갖고 있는 지식, 기술, 태도, 경험 등을 필요한 곳에 제공하는 활동이다. 자연스럽게 자원봉사자와 대상자 간의 인격적 관계 속에서 대상자는 노인자원봉사자가 갖고 있는 지식, 사고방식, 태도, 기술 등을 자주 접하게 되면서 이를 배우게 된다.
① 노인을 위한 교육 ② 노인에 의한 교육
③ 노인에 관한 교육 ④ 노인의 교육
② 노인 자원봉사는 교육활동으로 계획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노인 자원봉사자가 교수자의 역할을, 노인의 자원봉사를 받는 대상자가 학습자의 역할을 하게 되는‘노인에 의한 교육’ 현상이 나타난다.
감사합니다.